수소차 진행상황

  • #3930370
    ㅡ츹ㅊ 174.***.50.59 818

    미국에서의 수소자동차(Hydrogen Fuel Cell Vehicle, FCEV) 시장은 아직 소규모이지만, 몇몇 자동차 회사들이 수소차를 판매하고 있으며, 특히 캘리포니아주를 중심으로 인프라가 구축되어 있습니다. 아래는 현재 미국에서 수소차 관련 주요 내용을 정리한 것입니다.

    1. 현재 미국에서 판매 중인 수소자동차 (2025년 기준)

    제조사. 모델명. 비고
    Toyota (일본). Mirai. 가장 많이 팔린 수소차, 2세대 모델 판매 중
    Hyundai (한국). NEXO. 미국 내 두 번째로 많이 팔림
    Honda (일본). CR-V e:FCEV. 2024년 말 출시 (클래리티 후속)

    2. 수소차 주요 판매 지역
    • 캘리포니아주
    • 수소충전소 인프라가 가장 잘 구축됨 (약 50개 이상 운영 중)
    • 수소차 판매도 거의 이 지역에 한정됨
    • 하와이주
    • 일부 수소충전소 운영, 그러나 제한적

    3. 미국 내 수소차 관련 인프라 및 정책
    • 정부 지원
    • 연방 세금 공제 + 캘리포니아 주정부 인센티브 (최대 수천 달러)
    • 충전소
    • 대부분이 도심 또는 고속도로 인근
    • 수소 부족이나 유지보수로 일시적으로 사용 불가능한 경우도 있음

    4. 미국 기업의 수소차 개발 현황
    • GM: 수소 연료전지 기술을 상용차 및 군용 차량용으로 개발 중 (Hydrotec 시스템)
    • Ford: 현재 승용차는 계획 없음, 상용차/트럭에 연구 중
    • Nikola Motors (미국 스타트업): 수소전기 트럭 개발 (Tre FCEV 등)

    5. 수소차의 미래 전망
    • 단기: 충전 인프라 부족 및 차량 가격 문제로 확산 제한
    • 장기: 상용차(트럭, 버스 등) 중심으로 성장 가능성 있음
    • 경쟁: 전기차(BEV)가 수소차보다 인프라와 시장성이 더 빠르게 성장 중

    필요하시면 수소충전소 지도나 차량 비교표, 또는 전기차 vs 수소차 장단점도 정리해드릴 수 있어요. 더 알아보고 싶은 부분이 있으신가요?

    역시 자동차는 조지,앨라 에서 생산 품질이 좋군요 굿~~럭

    • 수소차 161.***.57.15

      수소충전소는 조루 증상이 해결안되면 무용지물임. 5분충전이 2시간이 될수 있다는.

      ②. 충전 압력, 재고 부족

      수소 충전 압력이 부족해지면 충전을 하는 데까지 필요한 압력만큼 올라갈 때까지 대기를 해야 합니다. 그래서 바로 앞에 차가 충전을 하고 가서 압력이 내려가면 다시 오를 때까지 대기해야 합니다. 급냉으로 저온의 수소 가스를 주입하다 보니 충전 건이 얼기도 합니다. 그러면 충전 주입구와 건이 얼어붙어서 녹여야 하는 일이 생기곤 하죠. 또한 하루에 충전 가능한 수소의 양도 한정적이라서 재고가 부족해지면 트레일러 차량이 하루에 몇 번씩 교체하러 오는데, 한번 교체하는데 필요한 대기 시간은 약 1시간 정도 소요가 됩니다.
      [출처] 수소차 오너가 알려주는 수소 충전에 대한 불편한 진실|작성자 지구인

    • 라라랜드 163.***.133.118

      수소차 몰면 장점이 뭔가요?
      환경 말고 개인적인 이득

    • ?? 66.***.6.85

      수소차가 진정 친환경적인지? 내 눈 앞에 안보인다고 공해물질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 아닌데..

      친환경이라 할 수 있는 물 분해를 통한 수소 발생은 영구기관같은 거라서 에너지 효율성이 낮을 수 밖에 없는데,
      수소가 과연 궁극적인 에너지원이 될까요?

    • aa 192.***.156.11

      네 더 정리해주세요. 수소차 충전소는 시도때도 없이 고장이라던데…

    • 초보 71.***.213.100

      수소자체는 친환경인데 그거 만드는 필요한 전기발전이 클린하지 않으면 눈가리고 아웅임.

    • 라라랜드 163.***.249.14

      그건 전기차도 마찬가지 아닌감

      • ?? 66.***.6.85

        전기는 태양이든 풍력이든 자연 에너지원을 쫌이라도 활용하지요.
        수소는 어떻게든 인공적으로 만들어내야 하니까 에너지 활용이나 환경적 측면에서 전기차에 뒤질 수 밖에.
        물론 소비자 입장에선 큰 관심 아닐수도 있으나,
        기술적 측면을 말하는 것임.

    • ㅡ츹ㅊ 174.***.51.189

      유럽 수소자동차

      유럽의 수소자동차(FCEV) 산업은 친환경 모빌리티 전환과 에너지 안보 강화라는 목표 아래 정책적 지원과 기술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시장 성장에는 여전히 도전 과제가 존재합니다. 아래에 유럽 수소자동차 산업의 주요 현황을 정리해 드립니다.

      🚗 유럽 수소자동차 산업 현황

      1. 정책 및 인프라 확대
      • EU의 수소 전략 강화: 유럽연합(EU)은 2030년까지 재생수소 수전해 용량 40GW 달성과 연간 1,000만 톤의 수소 생산을 목표로 설정했습니다. 이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에너지 자립과 탈탄소화를 위한 전략의 일환입니다 . 
      • 국가별 수소 생산 목표:
      • 독일: 수전해 설비 목표를 기존 5GW에서 최소 10GW로 상향 조정.
      • 프랑스: 6.5GW 규모의 설비 용량 목표 설정.
      • 네덜란드: 2032년까지 8GW의 설비 보급 목표 설정.
      • 영국: 저탄소 수소 생산 용량 목표를 기존 5GW에서 최대 10GW로 상향 조정 . 
      • 수소 인프라 투자: 공공 및 민간 부문에서 수소 충전소 등 인프라 확충에 대한 투자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 

      2. 시장 성장과 도전 과제
      • 시장 성장률: 유럽 자동차 연료전지 시장은 2022년 기준 약 0.5억 달러 규모였으며, 2032년까지 연평균 14.1%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 판매량 감소: 2024년 1분기 유럽에서 도요타 미라이가 424대 판매되며 전년 동기 대비 137.4% 증가했으나, 전체 수소차 판매량은 감소세를 보였습니다 . 
      • 도전 과제:
      • 충전 인프라 부족: 수소 충전소의 부족은 소비자들의 수소차 구매를 저해하는 주요 요인 중 하나입니다.
      • 수소 생산 및 저장 비용: 수소의 생산과 저장에 드는 높은 비용은 경제성 확보에 어려움을 주고 있습니다.
      • 기술적 문제: 연료전지의 내구성 및 성능 향상 등 기술적 개선이 필요합니다 . 

      3. 주요 기업 및 프로젝트
      • BMW의 수소 트럭 시장 진출: BMW는 이베코(Iveco), DHL, TEAL 모빌리티와 협력하여 유럽 내 수소 기반 대형 트럭 운송 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하는 H2Haul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 
      • 현대차의 수소차 전략: 현대차는 넥쏘(NEXO) 후속 모델을 2025년에 출시할 계획이며, 상용차 라인업 확대를 통해 수소차 분야를 리드하려 하고 있습니다 . 

      🔍 결론

      유럽은 수소자동차 산업의 성장을 위해 정책적 지원과 인프라 투자를 강화하고 있으며, 주요 자동차 제조사들도 수소차 개발에 적극 참여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충전 인프라 부족, 높은 수소 생산 비용, 기술적 도전 과제 등으로 인해 시장 확대에는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지속적인 투자와 기술 개발을 통해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해 나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더 구체적인 국가별 정책이나 기업 전략에 대해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면 알려주세요.

      일본 수소자동차

      일본은 수소경제 선도국으로서 수소자동차(FCEV)의 보급과 관련 인프라 확충에 지속적으로 힘쓰고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 몇 년간 수소차 시장은 정체 상태를 보이고 있으며, 이에 대한 다양한 원인과 대응 전략이 논의되고 있습니다.

      🚗 일본 수소자동차 산업 현황

      1. 정책 및 인프라
      • 국가 전략: 일본 정부는 2017년 ‘수소 기본 전략’을 발표하고, 2030년까지 수소차 80만 대 보급과 수소 충전소 900개소 설치를 목표로 설정했습니다. 이후에도 ‘그린 성장 전략’ 등을 통해 수소경제 전반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 인프라 현황: 2024년 기준으로 일본 내 수소 충전소는 약 160여 개소가 운영 중이며, 정부와 민간이 협력하여 충전소 확충에 노력하고 있습니다.

      2. 시장 동향 및 과제
      • 보급 현황: 도요타의 미라이(Mirai)와 혼다의 클라리티(Clarity) 등이 대표적인 수소차로 출시되었으나, 최근 몇 년간 판매량은 정체 상태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충전 인프라 부족, 차량 가격, 경쟁 기술(예: 전기차) 등 다양한 요인에 기인합니다.
      • 기술 개발: 일본 기업들은 수소 저장 기술, 연료전지 효율 향상 등 기술 개발에 지속적으로 투자하고 있으며, 상용차 및 수소 연료전지 드론 등 다양한 분야로의 확장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3. 주요 기업 및 프로젝트
      • 도요타: 수소차 미라이의 2세대 모델을 출시하며, 수소차 기술 개발에 지속적으로 투자하고 있습니다.
      • 혼다: 클라리티 수소차의 생산을 중단하였으나, 향후 수소 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모빌리티 솔루션 개발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 닛산: 전기차에 주력하고 있으나, 수소 연료전지 기술에 대한 연구를 병행하고 있습니다.

      🔍 결론

      일본은 수소자동차 산업의 선도국으로서 정책적 지원과 기술 개발에 힘쓰고 있으나, 시장 보급 확대에는 여러 도전 과제가 존재합니다. 충전 인프라 확충, 차량 가격 인하, 기술 경쟁력 강화 등이 향후 수소차 보급 확대의 핵심 요소로 작용할 것입니다.

      더 구체적인 정보나 특정 기업의 전략에 대해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면 알려주세요.

    • 민달팽이 163.***.249.14

      수소차 산업이 “망하느냐”는 질문은 단순히 흥망성쇠로 판단하기엔 복잡한 요소들이 얽혀 있습니다. 2025년 현재 수소차 산업은 도전과 기회가 공존하는 과도기에 있습니다. 주요 내용을 정리해드릴게요:

      ✅ 수소차 산업의 어려움
      경제성 부족: 수소차는 차량 가격뿐 아니라 충전 인프라 구축 비용이 높아, 전기차에 비해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평가가 많습니다 1.
      충전 인프라 부족: 수소 충전소는 설치 비용이 높고, 운영도 까다로워 보급 속도가 느립니다.
      정책 불확실성: 미국 등 일부 국가에서 친환경 정책이 후퇴하거나 방향이 바뀌면서 수소 산업에 대한 지원이 줄어들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1.
      기술적 난제: 수소의 저장·운송·안전 문제는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입니다.
      ✅ 긍정적인 전망과 기회
      정부의 지속적인 투자: 한국을 포함한 여러 나라에서 수소도시, 수소특화단지, 청정수소 발전 의무화 제도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 중입니다 1.
      상용차·중장비 분야에서의 가능성: 수소차는 승용차보다는 버스, 트럭, 기차, 선박 등 장거리·고출력 운송 수단에서 더 유리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기술 국산화 진행 중: 고가의 외산 장비를 국산화하려는 노력이 이어지고 있으며, 시간이 지나면 원가 절감 효과도 기대됩니다 1.
      📌 결론
      수소차 산업은 지금 **”망하는 중”이 아니라 “성장통을 겪는 중”**이라고 보는 것이 더 정확합니다. 단기적으로는 전기차에 밀릴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특정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가능성이 큽니다.

      혹시 수소차 관련해서 더 궁금한 점이 있으신가요? 예를 들어:

      수소차 vs 전기차 비교?
      현대차의 수소차 전략?
      수소 인프라 현황?
      원하시는 주제로 더 깊이 들어가 드릴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