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Forums Investment 2023년초 미국부채한도협상에서 미국채권 변동성 질문?? 2023년초 미국부채한도협상에서 미국채권 변동성 질문?? Name * Password * Email 숫자를 바꾼 건 제가 쓴 글이니 알고 있는데요. 기대를 줄였습니다. 20-25는 TMF 차트의 모양만 보고 대충 거기까지 가면 좋겠다 싶었던 것이고. 12-14달러는 30년 이자율 차트까지 보니 이자율이 2는 커녕 2.5까지 하락하는 것도 쉽지 않겠다 싶은 생각이 또 들었습니다. TMF 가격이 $20까지 올라가려면 지금부터 100% 상승인데, 그러려면 30년 이자율이 2%p 감소해서 1.54%까지 내려 가야 합니다. 그래프를 보면 과거 1.54까지 간 적이 있느냐 하면 있긴 있습니다. 그런데 그런 날이 앞으로 10년 내 다시 올 것 같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요. 지난 10년간 페드가 미 금리를 초저금리로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은 (경제위기 구간 제외) 중국이 저임금을 바탕으로 제공하는 초저물가 덕분이었습니다. 미국이 아무리 금리를 내려서 경기 초호황을 만들어도 중국 덕분에 미국에 인플레가 발생하지 않았죠. 좀 심하게 요약하면, 중국이 저임금 노동력을 갈아 넣어 준 덕분에 연준이 초저금리를 유지할 수 있었고 그 덕분에 미국 빅테크가 초호황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었다라는 것이죠. 연준이 지금 고금리로 물가 세게 한 번 잡더라도 다시 지난 10년의 영광을 재현하는 건 안 된다는 말이죠. 앞으로는 중국이 없으니까요. 이제는 금리 내리면 경제 성장, 그리고 그에 따른 인플레 발생하는 정상적인 경기 사이클로 돌아갈 겁니다. 초저금리를 유지하지 못하면 적당한 수준의 금리가 되겠죠. 1-2년 후 경기 부양이 시작되면 단기 금리는 2% 이하로 내려갈 수 도 있겠지만, 장기 금리는 2% 이하 어려울 것 같아요. 이자율이 2%까지 하락하는 게 매우 힘든 목표라면 (이건 제 생각) 2.5%나 그 이상 정도까지만 내려가는 것을 기대하는 게 적당한 기대이지 않을까 합니다. 게다가, 저 개인적인 목표는 금리가 3% 정도까지만 하락해도 만족스러운 정도입니다. 저는 거래 당 7% 정도 먹으면 만족하는데, 이번 TMF 거래는 12% 수익 중입니다. 1.5개월에 포트폴리오 12% 상승이니까 지금 정리해도 만족스러운 거래이긴 한데, 지금 정리해서 다른 곳에 넣을 곳이 없어요. 그래서 TMF 유지입니다. I agree to the terms of service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