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ce president 가 정확히 어떤 직위인가요?

  • #161852
    궁금이 125.***.76.15 39282

    한국에 있는 사람입니다. 궁금해서 현지의 정확한 실정을 알고 싶습니다.

    흔히 한국에서 vice president 라고 하면 부사장으로 번역합니다.
    그런데 이것은 실상을 너무도 오도하는 듯 합니다.
    industry 에 따라서는 가장 흔해 빠진게 vice president 라는 얘기도 듣습니다.
    한국으로 치면 독립부서도 아닌 과장이나 대리에 해당한다는 말도 있는데요.
    국장급정도나 되어 보이는 senior vice president 를 수석 부사장으로 번역하는 오류는
    이제 졸업하고 싶군요. executive vice president 는 임원급이 맞는 거 같고요.

    다들 자기가 속한 industry 에서 vice president 는 어느정도의 지위인가요?
    비등기 이사, 부장, 독립부서 아닌 과장, 아니면 대리인가요?
    director 와 vice president 와의 관계는 어떤가요?

    • 206.***.32.194

      회사마다 달라요. 제 보험회사 경험에 의하면
      AVP (assistant VP) = 과장정도
      VP = 부장정도
      senior VP = 이사 정도?
      executive VP = 부사장

      그리고 자기가 속해있는 business unit의 VP와 holding company의 VP는 천지차이죠.

      • 68.***.17.194

        ” business unit의 VP와 holding company의 VP는 천지차이죠. ” ==> 어떤 차이인지 구체적인 설명을 부탁드려도 될까요?

        • 76.***.180.87

          제 회사의 경우 총 직원이 500명 정도인데 Bermuda에 본사가 있고 미국 Dallas, TX에 미국 법인의 본사가 있고 Atlanta, GA에 미국법인에 속해있는 business unit이 있었습니다. 그 business unit에 직원이 15명 정도 였는데 그중에 President가 한명, VP가 3명 이었고 그 President의 미국법인 타이틀은 Senior VP 였구요. 계열사에선 사장이지만 본사에선 상무이고 뭐 이런식이죠.

    • VP 69.***.42.70

      미국에서 Vice President 또는 Director 의 등급은 인더스트리 마다 차이가 많이 납니다.

      일반적으로 미국계 은행에서 다음의 경우에 Vice President 직급 받습니다.
      –> 총 경력 대략 7년차 (MBA 안했을 경우)
      –> 또는 MBA후 3년차 이후

      유렵계 은행의 경우는 Vice President 대신에 Director 라는 명칭을 쓰는 곳도 있고요. 즉, 미국은행 Vice President가 유렵은행 Director 하고 동급이라고 보면 되고요.

      이쪽 바닥이 직급 명칭 체계가 좀 복집하고, 상당히 뻥튀기 되어 있습니다.

      그외에 미국에서 비금융권의 경우에는, Vice President면 말그대로 ‘부사장’급이 맞고, Director이면 말그대로 ‘이사대우’급이 맞고요.

    • 우린 98.***.1.209

      저희 회사 같은 경우는 그래도 밑에 150-200명 정도있고 한국의 담당이나 상무급입니다.

    • 지나가다 149.***.7.28

      5000~10000명급 s/w company인데,

      CEO – Sr. VP – VP – Sr. Dir – Dir – …

    • nvidian 216.***.112.21

      nvidia에서는 VP = 부사장. 해당 그룹내에서 젤 높은 사람. 아마 IT는 비슷할듯

    • 똘똘이 173.***.250.32

      제 업종에서는 사장과 쥬니어 엔니지어를 제외하고는 열명 정도 팀장이면 개나 소나.
      자기가 높은 사람이라는 것을 강조 하고 싶은 사람은 senior vp, 자기가 생각해도 vp 붙이기 좀 민망한 사람은 assistant vp 등등.

    • 우리 회산 63.***.44.156

      우리 회사는
      CEO-CFO-COO-CTO-CMO (최강 권력자들)
      밑에 VP-Sr Director-Director-General Manager-Manager-assit Manager-Sr Staff-Staff

      엔지니어는 직급은 따로 있음. prin-Sr-Junior-2-1 순

      아 지역에 따라 GM 위에 AM (Area Manager) 도 있음.
      한국어 번역 한번 해볼려고 했는데, 포기….VP 가 부사장인지 부회장인지 모르겠음.
      한가지 확실한건 Director 부터는 엄청난 파워임. GM 이 보통 부장이라고 해석하니깐(한국에서) 아마 Director 부터 임원인듯 하네요.

      친구 회사 보니깐 (회계) Partner 란 최고 직급도 있던데 우리 회사는 없음.

    • 장비 98.***.63.3

      저희 회사는 메이저 통신장비회사인데 저희 브랜치 2200명의 총 책임자가 VP더군요. 그리고, 통상적으로 부하직원 100명정도까지는 매니저, 300명까지는 디렉터라고 칭하구요.

    • hmm 67.***.52.240

      아이티쪽은 그렇군요.
      투자은행쪽에 VP는 정주행 한사람은 7년차에 받을수 있는 위치죠.
      실질적으로 처음 매니저 트랙을 타기 시작하는 위치 인거 같습니다.
      물론 그래도 총 일년에 받을수 있는 돈은 아이티 부사장보다 많을수도 있죠. 프론트라면.
      예전엔 토종 한국인 중에 VP급도 많지 않았으나
      대원외고-민사고 에서 초창기에 나간 인재들이 지금쯤 이 레벨에 도달해 있는 경우가 많더군요.

      • 이어서 67.***.52.240

        본문에 대리는 너무 했구. 과장 정도 직급인거 같습니다.
        대리는 엠비에이 하고 시작하는 어소시에이트 들이 대리급인거 같습니다.
        2000년대 초기만해도 월가 투자은행 VP정도로 1-2년 정도만 트랙레코드가 있어도 한화나 두산(오너 자식들이 그래서 인지 몰라도 해외파를 참 아끼는 대기업들)에선 상무급으로 뻥뛰기 해서 영입하기도 했는데. 이제 그 거품도 많이 빠져서 인지 한국이나 금융권에서 팀장 정도로 취급해 줍니다 요즘은…

    • 69.***.18.65

      이매뉴얼 더만이라고 골드만 삭스에서 퀀트로 일하던 분이 자기 책에서 그랬죠. 자기가 VP라고 하면 회사 밖 사람들은 전부 자기가 골드만 삭스 전체에서 두 번째로 높은 사람이라고 생각했다고요. 그 당시 VP가 200명 쯤 있었다고 써 놨었던 것 같습니다.

    • 궁금이 125.***.76.15

      위 댓글들 고맙습니다.

      인더스트리에 따라 팀장급부터 2200명의 직원을 거느리는 부회장급까지 있군요. 이제 확실히
      감을 잡았으니 상대를 대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참고로 제가 직접 가본 Non-profit 은 본사 직원이 100명 수준인데
      연봉 300K 수준의 executive VP 5명, 연봉 170K 수준의 senior VP 11명이 있고 그 밑에
      director 가 있는 구조이더군요.

      과거에 내가 관계된 곳에서 이곳 senior VP 를 모셔놓고 수석 부회장으로 번역해놓은 것을 보고
      좀 부끄러운 생각이 듭니다.

      위에 소개 되지 않는 분야에 계시거나, 알고 계신분들도 회사의 규모/업종과 함께 vice president 현황을 좀더 reporting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제조 75.***.78.99

      저는 제조업회사 다니는데요
      아주 높은 분들 말고, 제가 볼수 있는 사람중에서 젤 높은 사람이
      Sr.VP 이고 그 밑에 VP들이 있습니다.
      생산쪽 관련 VP는 밑에 수백명씩 데리고 있기도 하구요
      저같이 개발쪽에 있는 VP들은 20~50명정도 데리고 있습니다.
      인사쪽 VP는 밑에 대여섯명 데리고 있는 사람도 있구요

      VP밑에 manager 와 director들이 있는데 딱히 뭐가 다른지도 잘 모르겠더군요

      한국과 비교하기는 좀 힘듭니다만,
      아는 분이 한국에서 상무보(예전엔 이사라고 불렀구요. 이제는 이사라는 직함은
      한국서 없어졌다고 하네요. 작은 기업들이나 쓰고 있구요)하시는 분이
      VP라고 영어 명함에 써놨더군요
      부장들은 Manager, director, general Manager등등
      임의로 적당히들 쓰는것 같던데요

    • 이어서 125.***.76.15

      윗글을 쓰고 TV를 보는데, 특파원보고 프로그램에서 미국 캐리에 있다는 computer programming 기업 SAS를 소개하면서, 30대후반 내지 40세 내외의 여성을 인터뷰하며 인사담당 부사장으로 타이틀을 내보내고 있군요. 아마도 인사팀장이나 인사부장이 더 정확할 것 같습니다 ㅠ.ㅠ

    • 98.***.227.197

      우선 한국회사의 경우 최근의 경향은 많은 회사가 직급과 직책을 이원화해서 사용합니다. 예를 들면, 전무사장이라면 직급은 전무인데 직책은 사장입니다. 또한 팀장제도가 생긴 이후에 한국의 회사조직도 과장팀장부터 시작해서 부장팀장, 상무팀장, 심지어는 전무팀장도 있습니다. 이런 제도는 서구식 제도로 바뀌는 상황으로 봅니다. 그리고, 한국에서도 사내 직급에 관계없이 대외적으로 보기좋은 직책(일본말로 마이가리)을 명함에 사용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미국회사의 VP는 직책인 경우가 많습니다. 회사의 사장을 president, 사업본부장을 vice president라고 하거나 큰조직의 경우에는 사장을 CEO, 사업본부장을 president, 세부 조직의 장을 vice president라고 합니다. director는 일반적으로 소규모 독립된 조직의 장을 일컫는데 이것도 맘대로 쓰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이런 직책이 조직의 규모에 따라 파워나 부하직원의 수가 천차만별입니다. 글로벌 대기업의 경우 VP는 상당히 높은 수준인데 local 회사의 경우 VP는 그냥 이름 뿐인 VP인 경우도 많습니다. 대외적으로 소개되는 타이틀은 업무상의 타이틀이고 실제의 가치는 급료로 결정됩니다.

      과거 한국의 경우 직급이 꼭 급여수준이었습니다. 그래서 직급에 연연했구요. 그런데 서구식의 연봉제가 활성화되고 각각의 급여가 차등화되면서 직급에 연연하는 행동이 줄었습니다. 하지만 한국은 아직도 직급이 급여수준을 반영합니다. 같은 직급에서 급여가 차이가 나는 경우는 있어도 과장이 부장보다 많이 받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그래서 내부적으로는 낮은 직급도 대외적으로 높은 직책으로 불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미국에서는 타이틀과 급여수준은 꼭 정비례하지 않습니다. 더불어 연령과 타이틀과 급여수준도 상관관계가 한국에 비하면 약합니다. 그러니까 미국회사의 타이틀은 그냥 타이틀이라 봐야 될 것 같습니다.

    • 아버지 63.***.44.156

      이건 그냥 참고 사항인데 한국 대기업에 다니셨던 아버지 회사 명함을 우연히 본적이 있는데,
      당시 상무이사이셨는데 영문으론 Vice President 로 적혀 있더라구요. 당시 아버지 위에 전무이사가 대표이사였고 이분은 President로 적혀 있었습니다.

    • 저도 166.***.141.62

      저도 투자은행은 아니고 금융권입니다.
      저희회사는 특이하게 VP는 임원입니다. 한국으로치면 이사정도?
      제가 여기선 시니어메니저인데(한국에선 차장정도) citi나 hsbc에서 같은 직급은 VP인것같더군요.즉 인더스트리마다 다르다고 하기보단 회사마다 다르다고 봐야겠네요.

    • 미국기업종사자 166.***.14.107

      은행쪽 분야는 과장급이 다 vp타이틀 달고 있습니다. 왜 그런지는 모름.. 하지만 연봉은 과장급입니다.
      대기업쪽으로 가면 우리나라와 비슷한 상황이 됩니다. 과장 부장 (director)급이 실무를 다 담당하고 senior director 차장급이 두꺼워지고 vp숫자는 급격히 줄어듭니다. 딱 한국 대기업 상무급. Senior vp나 executive vp가 전무구요.
      중견기업에서도 과장 부장급이 실무를 담당하고 vp 급은 임원진(executives)로 들어갑니다. 중견기업의 vp 연봉이 대기업의 senior director 연봉급이 됩니다.

      예를들어 2천만달러-8천만달러 회사가 중견기업이면 이 회사의 과장이나 8천만달러 이상의 대기업의 과장이나 은행의 vp는 연봉이 거의 비슷하지만 중견기업이나 대기업이 테크놀로지 기업이면 과장이 은행의 vp보다는 연봉이 높고요. 중견기업 vp 는 은행 vp보다 1.5배에서 2배 정도 높은 연봉. 대기업 vp는 중견기업 vp보다 약 20~30%연봉이 높습니다.

    • 답답 180.***.83.184

      위에 분 무슨 생각이신지..정말 어느정도 규모있는 미국은행이나 금융회사에서 일하시는것 맞나요? 한국 일반회사와 미국 금융/은행이랑 직급수가 현저히 다른데 VP가 단순히 과장이라고요? 아래부터 올라가서 analyst면 사원, associate이면 대리, VP면 과장으로 설마 생각하시나요? 재대로 좀 알고 대답하시길. 미국 금융/은행 같은 경우 많아봤자 직급이 5~6개가 정도가 전부입니다. Chief 제외하고 보통 Managing Director가 가장 높은데 Analyst부터 MD 사이에 직급이 크게 3개 (Associate, VP, ED) 밖에 보통 없어요. 가끔 회사에 따라 Senior Associate이나 AVP가 하나 끼어있을수있지만요. 따라서 경력에 따라 associate이 과장 이상으로 역할을 맡는경우가 많고 VP면 보통 팀 하나는 관리하는 정도라서 팀장 정도로 봐야하는게 맞습니다. executive director 부터 managing director를 임원급이라고 보는게 맞고요. 그리고 한국과 달리 항상 수직적이지 않습니다. VP아래 몇명의 VP가 있을수도 있고요. 제발 올바른 정보를 좀 주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