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W engineering Entry Level 포지션 질문

  • #3062514
    Junior 58.***.91.5 1278

    컴퓨터공학을 전공하는 유학생이며 중소기업 인턴십 참여중입니다.

    현재 관심있는 회사, 지역에 있는 회사를 검색하던 와중에

    Software Engineer Open Position 만 봐도 대부분의 회사들이 Senior 레벨이상을 요구합니다.

    학부 졸업생이 Entry Level 포지션에 들어가는 방법이 어떤게 있나요.

    큰기업같은 경우는 1~2년, 3년 이상의 경력자들을 뽑는데 맨 처음 경력은 어디에서부터 쌓아야 하나요?

    미국에서 Entry Level부터 시작하신 분들이 어떤 준비를 하였고 그 과정이 궁금합니다.

    또한 커리어의 시작을 처음부터 개발자로 하지 않고 QA로 시작하여 개발부서로 바꾸는 경우도 있나요.

    • C++14 76.***.20.76

      별로 없지만 fresh grad 포지션 오프닝을 열심히 찾아서 지원하는 게 중요합니다. 원래 졸업 후 첫 직장 구하는 게 좀 어렵습니다.
      QA가 잘 맞는다면 QA로 시작하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습니다. 다만 돈은 조금 덜 받긴 하겠지만 아직 어리시면 큰 상관 없을 것 같습니다.

    • 수명 24.***.10.6

      대기업은 fresh grad 포지션을 따로 포스팅합니다.
      구글같은 tech 회사들은 꼭 하더라고요.

      머 그건 대기업이고요.

      보통은 인턴으로 시작해서 인턴쉽 끝나면서 정직원으로 발령이 나던지
      아니면 정말 운 좋게 열심히 인터뷰 보면서 경력직에 들어가야 합니다.

      아니면 초반에는 여러 리쿠링 펌을 연락해서 리쿠링 펌을 통하는거도 방법입니다.
      IT 계열이 정말 첫 직장이 가장 어려운거 같습니다. 그 후에는 머.. 여기 저기서 오라고 하니가요..

      QA쪽은 비추고요.
      차라리 DevOps쪽으로 빠지시는거도 좋을거 같습니다만.
      프로그래밍을 주로 하는 업종은 아니지만
      스크립팅도 하고.. 어플리케이션 디플로이먼트 및 관리도 하는 직업이라.

      저는 프로그래머로 시작했다가 지금은 DevOps를 합니다.
      원급님과는 정 반대군요.

      • 전문연 64.***.6.186

        안녕하세요.
        요즘 커리어와 관련해 고민이 많아 이렇게 문의 드립니다.
        DevOps의 경우 주로 어떤 tool 이라든지 주로 사용하는 특정 언어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 C++14 174.***.80.99

      DevOps 라면 리눅스 잘 알아야 하고 bash랑 python이 기본..

      • 전문연 73.***.216.59

        답변 감사합니다!

    • 심해어 156.***.191.104

      위에 나온 거처럼 new grad, emerging talent등의 이름으로 따로 뽑아요. 경력직에 대한 수요가 물론 더 큽니다.
      지금부터 눈여겨 보세요. 경력에 대한 차이점도 있지만, 일찍 뽑고 졸업할 때까지 기다려준다는 것이 사실상 가장 큰 차이입니다. 일반적인 포지션은 빨리 와서 일을 시작할 수 있는 사람을 찾지요.

    • 175.***.41.156

      썸머인턴 말고 졸업생들이 들어가는 인턴십도 있나요?
      사실상 졸업 1-2년 전부터 들어갈 곳들을 미리 노크를 해봐야하는군요.
      이게참 어렵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