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art tv 활용하는 법 정보 부탁드립니다.

  • #2968204
    지나다가 107.***.250.115 4225

    5년쯤 전에 산 TV가 어제 갑자기 화면이 안나오네요. 그당시 55인치에 3D로 마음먹고 투자했는데… 쩝. 주말에 코스코가서 하나 장만해야되지 않나 싶네요. 다행이 TV 가격이 많이 떨어진 것은 반가운 소식이나 목돈주고 산 티비가 5년만에 사망한 것이 다시 안타깝네요.

    이제까지는 smart tv기능은 사용하지 않았고, 컴퓨터 연결해서 tbogo를 통해 한국방송 다운받아 보았어요. 그런데 사용하던 컴퓨터도 워낙 고령이신지라 이번 기회에 우리집 비디오 시스템을 새롭게 세팅 할까합니다.

    요즘 추세는 PC는 연결하지 않고 스마트폰이나 태블렛의 Mirroring을 이용하여 보시는 분들도 많은 듯하고, 하드디스크를 네트웤으로 연결하여 무선(?)으로 다운로드한 영화를 보는 분들도 있는 듯하던데 현재 사용하시는 방법을 추천해주셨으면 합니다.

    인터넷에도 일반 내용은 있는데 미국에 살면서 한국방송을 즐기는 제 입맛에 딱 맞는 방법은 이곳에 사시는 분들께 추천받는 것이 좋을 듯해서요. 여러분들의 고견 기대합니다.

    • DLNA 38.***.150.66

      저는 보통 한국 방송이나 영화를 PC나 NAS에 다운 받아 TV로 봅니다.
      1. PC로 보는 방법.
      제일 간단한 방법으로 PC에 Window media player에 들어가 DLNA설정을 하여 PC를 서버로 사용하도록 합니다. 이방법이 좀 복잡해 보이신다면 더 간단한 방법으로 Plex 나 Serviio server를 다운 받으신 다음에 그 서버 라이브러리 셋팅에 다운받은 파일이 있는 폴더를 지정해줍니다. 서버가 설정된 PC는 앞으로 사게 되실 TV와 같은 네트워크안에 있어야 합니다. 이설정이 완료되었다면 TV를 켜시고 Input 고르는 페이지에 가시면 설정하신 서버가 뜨고 그 서버를 클릭하면 PC에 있는 파일들이 보이게 됩니다. 이과정은 TV제조사에 따라 상이할수 있습니다.
      2. NAS사용하는 방법
      계속 PC를 켜놓고 하는게 전깃세가 아깝고 하시면 좀더 전력소모가 적은 NAS를 사용하시는 방법도 있습니다. PC에 다운 받은 컨텐츠를 NAS로 이동시켜 놓으시면 1번과 같은 방법으로 TV에서 NAS에 저장된 컨테츠를 볼수 있습니다. 제가 듣기론 요즘 나오는 synology NAS제품들은 앱들이 좋고 해서 설정을 잘해놓으면 알아서 다운까지 받는다고 합니다.

      3. 삼성이나 LG제품들은 미러링 기능이 잘되어 있어서 별설정없이 핸드폰화면을 쏠수 있습니다.

      • 지나다가 107.***.250.115

        상세한 답변 감사합니다. 역시 PC가 하나 있는게 편하겠군요.

    • PF 24.***.232.218

      1. 요즘 스마트 티비는 자체적으로 웹브라우저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아서 티비에서 직접 인터넷을 통한 한국티비 시청이 가능합니다. 다만, 일부 웹의 기능을 지원하지 않아서 광고를 볼 수 없습니다. 저는 온디맨드코리아에서 한국티비 볼 때 광고를 보고 싶은데 전혀 광고없이 티비만 봐야하는 점이 안타깝네요.

      2. 비디오와 자막도 거의 대부분의 포맷을 다 지원하기 때문에 플래시 메모리 USB 3.0을 지원하는 걸 구입하면 컴퓨터에서 다운받은 영화를 감상하는데도 전혀 문제가 없구요. 요즘은 손가락 마디만한 메모리스틱이 128기가에 20불 정도면 아마존에서 살 수 있습니다. 속도 아주 빠릅니다.

      3. 3D를 지원하는 티비는 스크린위에 필름이 한번 더 덧대어지기 때문에 검은색을 표현하는데 아주 약간의 무리가 있습니다. 최근 삼성은 이같은 이유로 3D를 지원하는 티비를 생산하지 않습니다. 저도 같은 이유로 포기했구요.

      4. 저는 유튜브에서 좋아하는 채널을 다 구독하고 티비로 보기도 하구요. 운동 채널을 보면서 운동하기도 합니다.

      5. 미디어 센터로 사용할 피씨를 구입해서 티비(240Hz)에 연결했는데 30Hz밖에 지원을 안해서 반품했습니다.

      • 지나다가 107.***.250.115

        운동체널을 보면서 운동한다는 것은 아주 좋은 정보네요. 감사합니다.
        피씨를 보다가 Minix라는 제품이 평이 좋아 구입할까 생각했는데 님이 말씀하시는 30Hz, 240Hz 문제에 해당하는 듯하네요. 혹시 화면이 업데이트가 느려서 영화나 드라마를 보는데 지장이 있는지 궁금하네요. 어떤 제약 때문에 반품하셨는지를 알려주시면 합니다. 답변 미리 감사드려요…

        • PF 24.***.232.218

          재생빈도라고 하는데요, 회사에 따라서 motion rate, refresh rate 등 다른 용어들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초당 재생하는 프레임 횟수를 뜻하는데 사실 120이 넘으면 큰 의미가 없기는 합니다. 기술적인 부분들은 검색하면 많이 나오니까 이 정도로 하구요.

          사실 저는 맥 미니를 구입했는데, 4K는 지원을 하는데 모션 레이트가 30Hz 밖에 지원을 안해서 화면이 뚝뚝 끊어지는 경험을 했습니다. 티비는 240Hz까지 다 지원이 되구요. 애플 커스터머 센터에 문의를 했더니 맥 미니는 내장 그래픽 카드를 가지고 있는데 이게 문제라고 하더군요. 그래서 그냥 반품했습니다. 그런데 위에 말씀 드렸듯이 티비 자체에 웹브라우저가 탑재되 있고, 왠만한 어플리케이션 훌루, 넷플릭스 등등 다 자체적으로 가지고 있어서 컴퓨터를 사용할 필요를 전혀 못느끼고 있습니다. 그래서 일단은 컴퓨터는 과감히 포기했구요.

          다만 음악을 좋아해서 고가의 사운드바를 구입해서 연결해서 쓰고 있습니다.

    • ㅍㅍ 99.***.193.50

      미디어서버를 사용해보진 않아서 얼마나 편리할지 모르겠지만 일단 드는 생각은 (예전에 드라마 다운받고 뭐하던 생각이나서) 상당히 귀찮을것 같습니다. 애들이 어린집들은 자주보는 것들 그렇게 사용하면 좋겠군요. 전에 아는 분이 플레이스테이션을 이용해서 그렇게 보시던 적이 있었습니다.

      1년 조금넘은 삼성 스마트 TV가 하나 있는데, 내장 프로세서가 느려서인지 웹이나 유툽같은걸 쓰려면 늘 버벅대며 오래 걸립니다. 웹으로 몇번 드라마 보고 했었는데, 이게 내장된거다 보니, 웹사이트들 기술이 바뀔때마다 아주 귀찮은일들을 겪게됩니다. 결국 포기.

      전 주로 애플 TV나 Fire TV를 사용합니다. 온디맨드, 넷플릭스, 유툽, 아마존프라임, 기존 케이블들, 모두 시청이 가능하니 편리하고요, 때로 전화기, 태블릿, PC에서 애플 에어플레이로 보기도 합니다. 영화들은 앱들을 통해 사던지 빌리던지 해서 보게 되더군요. DVD, BluRay 이런거 써본지 벌써 오래된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