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05-2016:01:17 #3791031incomingqualityengineer 100.***.84.188 3090
안녕하세요.
담주에 졸업을 앞둔 화학공학과 학생입니다.
다행히 sk배터리에서 엔지니어 오퍼가 와서 마음은 편하지만 배터리에 관해 아는것이 별로 없어서 질문 남깁니다!
많은 의견 부탁드립니다.1. 배터리엔지니어에대한 전망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2. 우선, 저는 영주권이 없기에 최대한 opt를 사용하면서 영주권 취득을 한 후에 대학원이나 향후 어디 갈지 결정할 예정입니다.
(물론, 회사나 직무가 마음에 들면 더 오래 있을 생각입니다!) sk배터리에서 한 일이 혹시 다른 미국 회사에 이직할때나 대학원 지원시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될 수 있을까요?감사합니다!
-
-
영주권 없어도 sk 갈 수 있게 바꼈나보내요.
많이 배우실수 있죠.
근데 미국회사는 밧데리 하눈 곳이 없지 않나요?-
꼭 배터리 분야가 아니더라도, 미국은 직무에 필요한 경험이 있으면 도움이 된다고 들어서요! Quality engineer는 moderately/highly transferrable skill이라고 하던데 어떻게든 도움이 되길 바라야죠!
-
-
학부 졸업하고 회사에서 중요 역할헐 수 있다 착각하면 안됩니다. 그냥 허드렛일 하는 직원 정도 되겠죠. 본사 R&D 에서 기술개발 할 것이고 현지 공장은 그냥 시다바리… 하지만 영주권 따는 용도로는 괜찮을수도…
-
넵!영주권 딸때까지 힘들더라도 버틸 생각입니다ㅎㅎ
-
-
그냥, 현장 관리직.
막 졸업하고, 비자 뭘로 해 줄지 모르지만, 영주권 바로 들어가는 회사는 없는 걸로 압니다.
한국회사, 모든 결정권자들은 뻔히 태평양 건너온 주재원들이 할꺼인데요.
참고, 견디세요. 화이팅.-
신입이니 많이 배우고 영주권 딸때까지 버텨야죠!ㅎㅎ
-
-
대학 지역이 어딘가요 그리고 입사 날짜는 언젠가여
제가 아는 사람도 이번 6월에 입사하는데 만나겠네요 -
현직자입니다. 일 많이 배우실 수 있습니다. 누구는 그냥 시다바리라고 하지만 그래도 영주권 딸 때까지 버티면 많이 배우실 수 있습니다. 저는 행정직이지만 엔지니어는 연봉도 괜찮습니다. 아직 초기라 주재원이 많이 있지만 현지화가 진행될 수록 주재원도 줄어들고 위로 올라갈 기회도 많이 있을 것 같습니다. 시니어 엔지니어가 12만까지 받는다 들었습니다. 행정직에 비하면 3만이나 많은 수준이지요. 힘내세요!
-
안녕하세요! 반가워요!! 질문드릴게 많은데 미리 죄송합니다ㅎㅎ
근무환경은 그나마 괜찮은 편이라고 들었던 것 같은데, 맞나요?
엔지니어 영주권 지원 시기/비율은 어떻게 되는지 혹시 아시나요?
감사합니다!
-
-
당연히 좋은 경력이죠. 배터리에 대해 잘 모른다고 하니까 그에 비해서는 많이 배울 수 있겠지요. 학부 졸업생이면 생산 공정에서의 문제나 품질 문제 등을 접할 일이 많겠네요.
-
넵, 품질관련 직무입니다!ㅎㅎ
-
-
일단 배터리쪽이라 전망 괜찮습니다.
아틀란타라 지역 괜찮고요.
초반치고 나쁘지 않은것 같네요-
의견 감사합니다!
-
-
입사전에
NCM9 밧데리에 대해서 기본 공부 하시고
AIAG Core Tool 빡시게 공부해서 오시면 됩니다.준비된 사람만 기회를 잡을수 있습니다
-
아직 하나도 모르는 백지 상태라.. 조언 감사합니다!
-
-
면접 질문은 어떤거 받으셨나요??ㅎㅎ
-
현직 엔지니어 입니다 ㅎㅎ
어디 퀄리티신가요??-
안녕하세요! 아직 세부사항은 안내가 안나와서.. 아직은 모르겠습니다ㅎㅎ
혹시 워라벨이나 회사 전반적인 분위기 괜찮은가요? 그나마 괜찮은 편이라고 들었는데..!
-
-
커머스시가 아틀란타라는건 맵을 보고 얘기하는건가요?? 차로 한시간이 넘는 거리인데…영주권을 해준다고 해도 3순위는 그냥 열릴때까지 희망고문하다가 연봉책정도 전에 H1광탈하고 다른 부품업체 E2로 갈 확률이 아주아주 높습니다…잘되면 좋겠지만 안된다는 가정을 꼭 깔고….
-
아까 누가 PE 가 12만 받는다 글 써놓고 없어졌던데…. 그거 사실인지..
저도 여기 매니저 자리로 면접 봤는데 10만 조금 넘게 말하던데 12만 사실인가요? 다른곳에서 더 좋은 오퍼가 있어 가진 않았으나 그렇게 높게 페이가 되질 않을터인데. 참 궁금합니다 그리 급여를 받을수 있는지…. -
Chemical engineering이면 신분이 있을경우 (min. 영주권) 포지션은 꽤 많습니다.
배터리 업계라 해도 그안에는 엄청많은 포지션들이 있어요.
그중에서 어떤 직종에 들어가고 싶은가가 중요합니다.
이직을 할 때도 이전 회사를 묻는게 아니라 어떤 일을 했는지를 봅니다.
동종업계면 당연 회사이름을 보면 알지만 중요한건 직무, 포지션, 업무 경험입니다.
Quality로 시작해서 그 직무에서 일했다면 이직할때도 업계는 바뀔 수 있어도 그 직무를 벗어나기 힘듭니다.
배터리 업계에 포커싱하고 커리어패스를 그쪽으로 가져가고 싶다면 process쪽의 포지션을 잡으시는게 좋습니다.
Process eigineer는 대부분의 업계에서 필수적으로 필요한 포지션이고 가치도 높습니다 (전 Oil, Gas, Chemical EPC 에 있는데 가장 포지션이 많고 일도 많은 직무가 Process engineer 입니다).
샐러리 레벨도 높은 직무중의 하나고요.
Quality는 업무자체가 규격, 규정에 따라가는거라 Engineering을 하던 사람이면 답답할 수 있어요. -
저 그 회사 최종갑인데요.
자기네 생산량 안나온다고 고객사 엔지니어들 불러다가 라인에 투입시켜서 일시킵니다.
갑에게 을질 하는 회사 입니다. 지구상에서 처음 경험해본 회사 입니다.
배터리 만들어 지면 활어회처럼 현지 직송입니다. 창고로 저장할 시간없이 그냥 트럭에 싫고 출발입니다.
지금은 배터리가 왕이에요. -
혹시 sk battery로 취업 하셧나요?? 기계공학 석사로 8월에 졸업 예정인데 지원 해볼까 해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