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먼저 토니님의 정보를 공유하려는 노력에 *큰 감사* 를 표합니다. 또한 구매, 축하 드립니다. 제 의견을 코멘트 하자면,
님의 글내용의 융자 내용으로 볼때, 구매 집가격은 80만불을 넘어 보입니다. 계산을 쉽게 하기 위해서 님께서 파시는 집 70만, 다시 구입하시는 집을 80만으로 본다면,
님은 각각 1.5%의 리베이트를 살던집 판매, 새집 구매에서 모두 받으셨으니 수수료 적약은,
파는집 70만 의 1.5% = $10,500
사는집 80만 의 1.5% = $12,000
합계 ………………………$22,500 (현금)
하셨군요. 미국 에이전트도 요새는 이정도의 "리베이트" 해주는군요.
그리고, 본인이 전체 구매/판매에 직접 공부하고 참여한다는 것도 괭장히 중요합니다. 이것은 시간 낭비가 아니라, 반드시 알고 참여하라고 모든 분에게 강력히 추천하고 싶습니다. 이지역 집은 일반적으로 살만한 지역이면 60만 이상이지요. 인생에서 그나큰 투자입니다. 주위에서 알아서 해주겠지 하다가 사고나서 낙심하는 분들을 많이 봤읍니다.
좋은 에이전트, 안좋은 에이전트가 있읍니다만은 사람은 다 똑같지요. 여러분 사회생활의 경험에 비출때도, 상대가 잘 알고 있으면 함부로 할수 없지요. 그리고 집을살때 본인이 공부, 참여로 확신을 가지고 거래를 하니, 마음이 훨씬 편하지요. 알고 덤비니.
다시한번 님의 노력에 큰 감사 드리고, 집을 구매하시려는 여러분게 강력하게, 공부, 과정의 충분한 이해를 통해서 확신을 가지고 부동산 거래에 나서라고 조언하고 싶습니다.
여러분도 세상살이 경험에서 잘아시겠지만, 절대적인 좋은 에이전트, 절대적인 나쁜 에이전트는 없을겁니다. 고객이 잘모르고 만만하면, 좋은 에이전트도 소홀해질수 있고, 매물에 따라서 또, 다를수 있지요, 나쁜에이전트도 고객이 잘알고 깐깐하면 함부로할수 없고, 고객이 지식이 해박하고 전체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니, 거래에서 실수할 확률이 적게 되겠지요.
위의 님의 경우처럼, 여러분들도…
1. 부동산 수수료의 리베이트를 반드시 요청하세요, 리베이트 되는 에이전트를 쓰세요.(아시지만, 한인 신문에 공식적으로 1.5%리베이트 광고하는 부동산도 있음)
2. 용자는 노코스트, 노포인트, 노페널티를 요구하세요. 한인에이전트들은 아직 이것이 보편화 되지 않은듯 합니다.(중국인들은 보편화 되있음)
3. 님이 말쓴하셨듯이 중요한 오퍼 내용은 근거를 남기세요.
모두, 즐거운 휴일 되시길 !
tonynam님의 글
안녕하세요,
많은 분들께서 집 구입에 관심이 있으시고 얼마 정도의 비용이 드는지
궁금해 하시는것 같아 2004년 5월에 집을 구입한 저의 경험담 및 클로징 비용을
공유하고 2년전의 타운하우스 구입시를 비교하여 집구입시 해야할 일 과
비용에 대해 알려드리고자 함니다.
저는 먼저 이사할 집을 구입한 후 현재 있는 타운하우스를 판매하는
경우입니다.
또한 제가 그 동안 이용했던 사이트를 참조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무리해서 구입을 하는관계로 많이 조사하고 확인하려고 노력했습니다.
집구입절차 ( 2004년 2월 부터 2004년 5월 )
1. 2004년 2월부터 집 구입에 대한 정보 수집 및 예산 확인.
[Resource]
http://www.hud.gov/buying/index.cfm
http://www.pueblo.gsa.gov/results.tpl?id1=17&startat=1&–woSECTIONSdatarq=17&–SECTIONSword=ww
http://www.homegain.com/info_center/?entryid=2269
http://www.ag.state.mn.us/consumer/housing/HmBuyers/Default.htm
http://andymin.netfirms.com/buying.htm
http://www.homebuying.about.com/
http://www.koreatimes.com/money/index.asp?page=1&secid1=93&secid2=202&secid3=&branch=01
2. 아는분들이 추천하는 융자담당자분들에게 전화하여
"노 포인트, 노 코스트, 노 프리페이먼트 페널티"의 조건으로
제가 받을 수 있는 론 금액 과 이자율을 비교하여 융자담당자를 선택하여
내가 얼마정도의 집을 구할수 있는지 확인한 후 Pre approve letter를 요청.
이 편지에 융자를 받을수 있는 금액, 기간과 이자율이 나와있습니다.
저의 경우 2월27일에 1차 모기지:600,000 2차 모기지(홈 이쿼티): 75000에
5년고정 4.375% 의 3개월 유효한 Pre approve letter를 받음.
[Check Mortgage rate and Info]
http://www.bankrate.com/brm/rate/mtg_home.asp?link=5
http://www.pueblo.gsa.gov/cic_text/housing/best-mortgage/mortb_1.htm
http://www.mortgagedepotus.com/info/info_index.html
http://www.fdic.gov/consumers/looking/#head8
http://www.pueblo.gsa.gov/cic_text/housing/bad-loans/loan.htm
3. 저는 프리몬트 CA에 사는 관계로 학군, 생활환경, 안전,
등에 대한 사전 조사 와 장래 집을 팔경우를 고려한 후
프리젠튼, 산라몬, 덴빌로 이사할 지역 선정.
[School]
[ 고등학교 비교]
프리몬트:
http://www.greatschools.net/cgi-bin/cs_compare/ca/?
level=h&area=t&city=fremont&miles=5&sortby=api_total&tab=over
(Attendance Area)
http://www.fremont.k12.ca.us/prg/2attendarea.html
프리졘튼:
http://www.greatschools.net/cgi-bin/cs_compare/ca/?
level=h&area=t&city=pleasanton&miles=5&sortby=api_total&tab=over
(Attendance Area)
http://www.pleasanton.k12.ca.us/attendanceareas/index.html
산라몬:
http://www.greatschools.net/cgi-bin/cs_compare/ca/?
area=m&sortby=distance&tab=over&street=&city=san+ramon&stateselect=CA&zip=&miles=5&level=h&x=75&
y=8
(Attendance Area)
http://www.srvusd.k12.ca.us/srvusd/Schools/Attendance_Boundaries/
덴빌:
http://www.greatschools.net/cgi-bin/cs_compare/ca/?
level=h&area=t&city=danville&miles=5&sortby=api_total&tab=over
(Attendance Area)
http://www.srvusd.k12.ca.us/srvusd/Schools/Attendance_Boundaries/
쿠퍼티노:
http://www.greatschools.net/cgi-bin/cs_compare/ca/?
level=h&area=t&city=cupertino&miles=5&sortby=api_total&tab=over
[City Compare]
http://www.bestplaces.net/html/citycompare2.asp?lstat=CA&rstat=CA
http://houseandhome.msn.com/pickaplace/comparecities.aspx
[City Info]
http://www.homefair.com/homefair/calc/citysnap.html
4. 아는분들이 추천하는 부동산 에이젼트들께 전화나 만나서 집을 살경우
얼마의 리베이트를 주는지, 구입/판매를 모두 일임했을때 얼마의 판매 커미션를
내야 하는지, 작년에 집을 얼마나 판매했는지, 전문 지역은 어디인지,
부동산 에이젼트의 전고객에게 전화해도 되는지 등을 확인한 후
부동산 에이젼트를 선정했습니다.
저의경우 집 구입시 구입가격의 1.5%의 리베이트와 집판매시 3.5%의
커미션의 조건을 제시하는 변호사출신의 미국 부동산 에이젼트로
결정했습니다 비록 영어는 못하지만…
*** 리베이트도 중요하지만 집은 가족의 가장 큰 재산이자 보금자리이므로
일처리, 경험, 셀러 및 셀러 에이젼트와의 협상, 정직한 조언,
고객에 대한 서비스가 제일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Realtor Info]
http://www.countryboyconnection.com/pdf/12questions.PDF
http://filelibrary.myaasite.com/Content/1/1403/1957490.pdf
http://houseandhome.msn.com/Homes/FindtheRightAgent.aspx
5. 매주 토요일 에이젼트가 이메일로 보낸 우리가 좋아할만한 홈리스트와
집사람과 같이 인터넷에서 선정한 리스트의 집을 에이젼트와 방문하여
학군, 도로에 근접여부, 공원, 주변환경, 교통, 소음, 프리웨이 접근용이성,
집의구조, 집의 년수등을 비교하고 에이젼트의 조언을 확인하는 식으로
마음에 드는 집을 찿을 때까지 반복하였습니다.
맨처음에는 산라몬(윈드밀)에 새로 지은집을 보았는데 저의경우
융자 승인 받기가 어렵고 세금이 비싸고 부동산 리베이트를 받기어려우며
잘못하면 두번이사를 해야 할 경우도 발생할것 같아 포기했지만
모델 하우스는 마음에 들음
*** 저의 견해로는 부동산에이젼트가 고객을 너무 푸쉬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예로 빨리 계약하지않으면 살수없다든지, 하루에 만불씩 오른다든지등등
만약 90%만족하지 않는다면 다음주로 연기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좋은 집은 언제나 나온다고 생각합니다.
자신의 판단이 제일 중요.
[Search Home]
http://www.apr.com/ble/matt/ble_search.htm
http://www.realtor.com/default.asp?poe=homefair
http://www.newhomesource.com/new-homes/Oakland-AlamedaCA.htm
http://www.newhomesource.com/new-homes/Oakland-AlamedaCA.htm
저의경우 3월부터 매주 토요일에 4-7집을 에이젼트와 같이 보았고
4월24 토요일, 덴빌 1989년 4 베드룸 2층집(2000sq)을
multiple offer와 주변시세, 셀러마켓등을 고려하여 집사람과 에이젼트와
상의후 2만불 더 주고 AS IS 조건으로 708,000에 오퍼(디파짓 10000불)를
그날하고(그날만 오퍼 받는다고함) 다음날 집주인이 오퍼를 수락했다는
소식을 받았습니다.(30일 에스크로 오픈)
[Check Home Value]
http://www.domania.com/homepricecheck/index.jsp
http://www.bankrate.com/brm/news/real-estate/20040304a1.asp
http://www.realestateabc.com/insights/comps.htm
[에스크로(Escrow)]
http://www.hud.gov/offices/hsg/sfh/ref/sfhp2-15.cfm
http://www.hud.gov/offices/hsg/sfh/res/sfhrestc.cfm
http://houseandhome.msn.com/homes/offertoclosing/closedeal.aspx
http://credit.about.com/gi/dynamic/offsite.htm?site=http://www.addiemae.com/closingcosts.htm
http://www.pueblo.gsa.gov/cic_text/housing/settlement/sfhrestc.html
6. 부동산 에이젼트가 홈 인스펙션 일자를 알려주고 나와서 볼 것을 제안하여
집사람과 같이 방문하여 인스펙션을 하는 동안 우리도 살펴보고
이상한것이 있으면 확인하고 추가하였습니다.
홈,지붕, 터마이트등의 인스펙션 결과를 받은 후 부동산 에이젼트와
수리항목에 대해 검토한 후 집주인에게 요청할 것을 정하고 나머지항목은
부동산 에이젼트가 부담하고 주인으로부터 기타수리비용을
에스크로항목에 크레딧으로 받기로 했습니다.
[홈 인스펙션]
http://www.pueblo.gsa.gov/cic_text/cars/natsafe/natsafe.htm
http://www.livebaltimore.com/homebuy/lnyw/inspection_print.html
http://www.freddiemac.com/sell/consumerkit/english/index.html
http://www.oldhouseweb.com/stories/How-To/Home_Inspection/
http://www.oldhouseweb.com/stories/How-To/
http://www.homegauge.com/reportframe.html?reportfile=/shared/samplereports/123nicelane/index.html
http://www.eloan.com/s/show/home-ins?sid=XcYQV4RqTu3QpcS-okX7xMFxALM&user=&mcode=
http://www.hanin-mall.com/phinspection/list.asp?code=5
7. 융자담당자로부터 이자가 많이 올라 5년 고정 4.875%에 이자 락인하고
융자 승인소식(Countrywide Bank)을 받았습니다.
8. 부동산 에이젼트의 소개로 디덕터블 2000인 홈 보험 구입($612).
[Home Insurance]
http://www.pueblo.gsa.gov/cic_text/housing/12ways/12ways.htm
http://houseandhome.msn.com/insurance/WhatKindofInsuranceWillINeedWhenIBuyaHome.aspx
http://www.livingdigest.com/insurance.html
9. 5월18일 에스크로회사에 집사람과 방문하여 각항목 확인 후
집사람과 서명 하고 잔금확인 및 매달 페이먼트를 자동 상환하게끔 신청(Void check).
***** 확인해야할 항목 *****
– 융자금액, 이자율, 포인트여부, 페널티여부.
– 불필요한 항목이 있는지여부.
**** 부동산 에이젼트가 에스크로 회사를 결정하고 열었으므로
에이젼트에게 요청하여 에스크로 회사로부터 500불 정도 할인 받음.
10. 5월 21에 캐시어스첵으로 에스크로회사에 전달했으며 5/24일 은행에서
융자비용을 에스크로회사로 송부(펀딩)했다는 소식을 들음.
11. 5.26일 에스크로 클로즈됨.
************ 클로징비용 ************
2년전(바이어마켓) 구입한 타운하우스의 클로징비용을
같이 올리니 참조하시길 바람니다.
대략 집을 구입시 비용을 대략 짐작하실 수 있으리라 생각하며
불필요한 금액은 부동산에이젼트를 통해 에스크로 회사와
협상 하시길 바람니다.
5/2004 6/2002
한국융자회사: B.Financial U.Financial
에스크로 O.C.T C.L.T
부동산 에이젼트 CH L
TOTAL CONSIDERATION 708,000 425,000
1'st Loan 566,000 382,400
2'nd Loan 70,000
Deposit 10,000 12,000
PROPRATIONS ANSADJUSTMENTS
Country Taxes(5/26/2004 to 6/1/2004) 387.91
Based on the Semi-Annual amount of $1,994.97
HOA DUES(5/26/2004 to 6/1/2004) 121.27
Based on the 3 Month amount of $321
Country Taxes(6/14/2002 to 7/1/2002) 103.62
Based on the Semi-Annual amount of $1,097.20
HOA DUES(6/14/2002 to 7/1/2002) 105.97
Based on the Monthly amount of $187
LENDER'S AND LOAN RELATED CHARGES
1'st Loan interest 680.4
(5/24/2004 to 6/1/2004, 75.6/day)
1'st Loan interest 1,090.89
(6/14/2002 to 7/1/2002, 64.17/day)
Mortgage Insurance(PMI,2 months) 331.42
Tax Service contract 60 70
Administrative fee to bank 750 650
Flood Hazard Cert. 25 11
Broker processing fee 395 295
Mort Broker fee to융자회사(1) 3,824
Appraisal 300
TITLE CHARGES
Homeowners Owners($708,000)(2) 1929 1,101
Lenders($566,000)(3) 745 549
Lenders($70,000)(4) 100
Endorsements(5) 25
Endorsements(5) 25
Federal express/Courier. 45 60
ESCROW CHARGES
Escrow Fee 925 757
Doc. Prep. Fee(6) 80
Notary(4) 40 10
RECORDING FEES
Recording fee (7) 170 63
ADDITIONAL CHARGES
Home Insurance 612
Home Inspection 400 275
Appliance Inspection(
99
REG Compliance to Prudential CA reality(9) 150
Transaction fee(10) 300 290
Chimney Inspection(11) 95 95
Pest Inspection(12) 270
CREDIT
Owner(13) 1750 5000
U.Financial(14) 393
Commission(15) 10620
비교항목의 차이점 및 부연 설명
1. Mort Broker fee to융자회사(1):
2년전 잘 알려진 부동산 에이젼트(CH)의 소개로 U.F에 근무하는 여성 융자담당자(K)로
부터 5년 고정 6.125%에 382,000, 다운페이 10%, PMI의 조건으로 융자 승인 받았고
포인트에 대한 아무 언급을 듣지 못한 상태에서 클로징시 1%의 금액($3824)을
부과, 부동산 에이젼트에게 확인하니 당연한 것이라고 해서 넘어갔습니다.
그 여성분으로부터 U.Financial(14)($393) 크레딧을 받았습니다.
지금 생각하니 2000년 미국 와서 아무 경험도 없는 상태에서 제 스스로
조사하지 않고, 확인하지도 않고 부동산 에이젼트 와 융자담당자를 무조건 믿고
일임한 것에 대한 교육비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 융자담당자분은 아마 은행에서1% + 저에게서1% 받은 것으로 생각합니다.
이번 집 구입시 그 부동산 에이젼트와 융자담당자는 배제했습니다.
2. 현재 융자의 경우 B.F에 근무하는 남성 융자담당자와 노포인트, 노코스트.
노페널티로 이자율을 확인했는데 클로징시 융자 포인트에 대해서는
융자담당자는 은행에서0.635%($3537.50)커미션을 받았고
융자 시 코스트는 저에게 부과하여 알아보니 상담시 노포인트, 노페널티만
조건이었다고 합니다. 교훈으로 모든 조건은 이메일이든 펙스든 글로 남겨야 하고
재차 확인 하여한다는 것입니다.
3.Homeowners Owners($708,000)(2), Lenders($566,000)(3),
Lenders($70,000)(4), Endorsements(5), Doc. Prep. Fee(6),
Notary(4), Recording fee (7)항목:
현재 부동산 에이젼트가 선택한 에스크로회사에서 저에게 부과한 불필요한
항목 혹은 다른 회사보다 비싼 항목에 대해 에이젼트에게 협상을 부탁하여
추가 할인 받음.
4. Appliance Inspection(
: 2년전 제가 구입한 타운하우스의 주인이 냉장고,
세탁기, 건조기를 주지 않았으므로 단지 오븐, 전자레인지, 환풍기만을 검사한 것으로
생각하니 전의 부동산 에이젼트가 홈인스펙션시 같이 가서 보라고 했으면
저라도 작동여부를 확인하여 절약할 수 있었다고 생각하며 또한 홈 인스펙션에의
검사항목과 중복됨
5. REG Compliance to Prudential CA reality(9): 이 항목에 대해선 저도
잘 모름.
6. Transaction fee(10): 타협 가능한 금액으로 생각함.
7. Chimney Inspection(11): 타운하우스의 HOA에서 지붕 및
집 외부는 수리해주므로 불필요하다고 생각함.
8. Pest Inspection(12):
지역에 따라 Pest(터마이트) Inspection비용을 셀러가 부담하기도하고
바이어가 부담하는것 같습니다. 프리몬트는 바이어가 부담해 저의집을
계약한 바이어에이젼트가 보낸 전문가가 검사가 끝난후
비용을 물어보니 $110이라고 하더군요.
9. Owner(13) 크레딧:
구입한 집의 인스펙션시 나온 지붕, 터마이트수리($1500)미용을 저의 에이젼트가
수리함으로써 비록 AS IS지만 주인으로부터 기타 수리비용($1750)으로 받음.
2년전 타운하우스를 구입시 바이어마켓이었으므로 지저분한 카펫 교환및
고장난 오븐, 전자레인지,환풍기등의 수리비용으로 $5000불 크레딧받았지만
이번에 구입한 집과 비교할 때 제가 자세히 확인했더라면 10000불이상의
크레딧을 받았어야 함.
10. Commission(15):
현재 거래하는 부동산 에이젼트로부터 구입가의 1.5% 리베이트받음.
11. 에스크로를 그달 말에 에스크로를 클로즈하면
1'st Loan interest, Country Tax, HOA 비용등을 절약할 수 있음.
11. 2년전 타운하우스의 Deposit으로 $12,000은 너무 많고 $5000불 정도가 적당한것 같음.
만의 하나 계약해지시등을 고려할때..
*****제가 집구입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에 대한 요약 ******
1. 자기 스스로 에스크로 클로징할때까지 사전 조사 및 정보를 최대한 수집할 것.
2. 주위분들이 추천한 여러 부동산 에이젼트를 전화 및 만남에 의해 비교한 후 선정할 것.
3. 주위분들이 추천한 여러 융자담당자를 전화 및 만남에 의해 비교한 후 선정할 것.
4. 집 구입과 관계된 모든 조건을 반드시 글로 남길 것.
5. 아무리 유능한 부동산 에이젼트라도 일임하지 말고 주도권은 내가 갖고 있어야 함.
에이젼트도 서비스에 대한 최대이윤이 목적이므로…
6. 홈인스펙션시 반드시 방문하여 같이 확인하고 빠진 것이 없는 지 확인하고 추가할 것.
7. 클로징비용, 융자조건, 구매조건 꼼꼼히 재확인할 것.
이상은 제가 2004년 5월에 집을 구입한 절차 및 비용에 대한 경험담입니다.
따라서 위의 내용은 개인, 부동산 시장, 지역의 조건에 따라 조금씩
달라질 수도 있다고 생각하며 이번 구입시에도 실수나 미처 확인하지 못한점이
있었습니다.
다만 저의 글이 새로 집을 구입하시는 분들께 하나의 정보로써 집 구입과정의
전반적인 흐름을 이해하고 또 비용을 절약하면서 마음에 드는 보금자리를
장만하시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됐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스스로 노력하고 준비하고 꼼꼼이 확인하신다면
많은 비용을 절감하실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두서 없는 글 읽어주셔서 감사 드리며
모든분에게 항상 좋은 일만 생기시길 바람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