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저는 미국에서 F2 비자로 거주 중인 상태에서 PhD를 지원했습니다. 올해 한곳에 운좋게 합격발표를 받았지만,하필 지금 사는 곳에서 굉장히 먼 곳에 떨어져있어 롱디가 불가피합니다. 그래서 롱디를 피할 수 있거나 혹은 축소할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일지 머리를 굴려보고 있습니다.
원서를 쓸 당시엔 남편 직장이 재택이 가능했는데, 올해들어 재택이 축소되면서 롱디를 할 상황이 되었네요. 다만 저흰 이미 한국-미국 롱디를 너무 오래해 롱디를 다시 하는 것에 심적으로 지쳐있고, 나이가 꽤 있어 출산 문제도 고려해봐야 하기 때문에 본 학교의 진학여부가 많이 고민됩니다.
남편의 이직은 제가 최대한 지양하고 싶습니다. 본인이 꿈꾸던 회사에 입사해 이제 갓 1년 경력을 채워가는 중이고, 좋은 커리어를 계속 쌓도록 응원해주고 싶습니다. 남편의 커리어 안정성이 곧 제 삶에도 도움이 될 테니 일종의 투자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합격한 학교의 이름, 교수, 랩에 대해선 큰 불만은 없습니다만… 유부녀로서 가정의 안정과 행복도 최대한 추구해보고 싶은 욕심에 아래처럼 다양한 방법을 생각해보고 있습니다.
1. 합격한 대학교를 디퍼해 1년의 시간을 번 뒤, 남편이 NIW 프리미엄 프로세스로 올해 내 영주권 취득, 그후 나는 현거주지에서 석사/박사/취업 도전
2. 합격한 대학교에 일단 진학한 뒤 현 거주지 인근 대학으로 박사 재지원 (반수)
3. 합격한 대학교에서 마스터아웃 후 취업 도전(석사학위 없이 박사 지원을 한 상태라, 석사학위만 얻어도 감지덕지란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4. 합격한 대학교에서 코스웤을 최대한 빨리 마치고 3년차쯤부터 교수에게 양해를 구하고 원격으로 연구 진행결국 제 가치관과 상황에 따라 우선순위가 달라지겠지만, 지금으로선 판단을 내릴 정보가 많이 부족해서, 다양한 분들의 의견을 여쭈어보고 싶은 마음에 글을 써봅니다. 감사합니다!
The forum ‘Free Talk’ is closed to new topics and repl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