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9-01-2918:49:34 #3299148MLMLML 192.***.10.201 4046
FANG 아니고 베이 대기업 다닙니다. 박사 받고 4년차.
Base는 200k; RSU (250k per year); Annual Bonus (20k); 합이 대충 500k
RSU는 4년으로 나눠 받지만 매년 리프레시 되니까 결국 한번에 받는 거나 다름 없습니다.FANG은 비슷하거나 더 많이 주는 것 같습니다.
당분간 인공지능쪽 수요는 계속 올라갈 듯 하고,
그 중에서도 Reinforcement Learning이나 GAN이 유망해 보입니다.
-
-
nominal bonus target이 몇 프로유? 20%받았는데 target이 20%인가요?
-
아닙니다. AIP target 10% .
-
-
근데 글의 목적이 뭔가요? 전문가 입장에서 전망을 알려주시는 건가요? 아니면 자랑글인가요?
-
요새 베이 경기가 뒤숭숭하다보니, 시세를 궁금해 하는 사람들도 있을 것 같아서 올려봤습니다.
-
감사합니다.
-
-
-
보너스 25퍼 받으신거 같은데 많이 받으시네욥
-
아님니다. AIP target은 10%. 수정했습니다.
-
-
그런데 이정도 받으시면 베이에리어 생활은 어떠신가요? 빠듯하신가요? 도움없이 주택구입 가능한가요?
-
주택은 요새 1mil초반까지 가라앉아서 마음 먹으면 살 수 있긴 한데요… 아직은 더 떨어지길 기다리고 있습니다.
요샌 아파트 렌트 물량이 워낙 많아서, 매년 이사다니면서 8주 프로모션 챙기는게 경제적으로 이득이더군요.
-
-
개구라 니 그리 심심하나
-
구라는 정말 아님니다. 한 80만불이면 모를까… 50만 언저리는 작년에 FANG의 ML쪽 직군에서 흔하게 보였는데 굳이 이제와서 구라칠 이유가 있나요.
ML쪽 전문성만 있으면 FANG이 아니어도 충분히 베이에서 살만한 연봉 준다는 말씀 드리고 싶었습니다.
-
-
실수령얼마쯤대시나요? 탑컨퍼있어야 머신러닝박사로 쳐주나요? 분야정도만맞으면대나요? 은퇴할때까지 한국올생각있으신가요?
-
실수령액은 매년 주가에 따라 등락이 너무 심해서 계산해봐야 소용이 없더군요.
ML쪽 랩은 아니었는데 관련된 프로젝트를 몇 개 했습니다. 그래서 ML쪽 탑 컨퍼는 없습니다. 있었으면 FANG 갔을까요? 아마 Leetcode안해서 어쨌든 떨어졌을 것 같습니다. 제가 받는 정도는 깊게 안 들어가도 파이썬으로 Gradient Boosting, Random Decision Forest 모델 깔끔하게 만들줄 알면 되는 것 같습니다. 사실 모델 트레이닝보다 데이터 전처리랑 데모용 프론트엔드 개발이 더 오래 잡아먹습니다. Applied ML이라고 해야 하겠네요.
요새 들리는 소문에 의하면 한국도 처우가 생각보다 괜찮더군요. 미국에서 얼마를 받든 크게 손해 안 보고 갈 자리는 있다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서, 조교수 연봉이 최고 1억이라고 하지만, ML쪽에서 기업 프로젝트 (눈 먼 돈) 많이 따오는 교수님들은 손 쉽게 2억 이상 합법적으로 번다고 하네요. 헤드헌터는 어떤 연봉이든 최소120% 매칭해주는 자리가 있다고 합니다. 근데 미세먼지 때문에 안 갈것 같아ㅛ.
-
-
Machine Learning Ph.D admission 에서 GRE랑 일 경력이 낮은 성적을 커버 할 수 있나요?
-
ML쪽 phd를 따로 안 뽑지 않나요? GRE는 미니멈만 넘기면 큰 의미 없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낮은 성적은 상당히 큰 걸림돌이지만, 학교 순위를 좀 낮추시고 그 외에 연구 경험을 잘 포장하면 CS phd가 그닥 어려운 것 같진 않습니다. 졸업이 더 어렵죠.
-
-
구라 ㅋㅋㅋㅋ 일베임
-
AWS인가요,?
-
Amazon보다 연봉 순위 낮은 기업입니다. 요새 ML에서 연봉 상향 평준화가 일어나나 봅니다.
-
-
매년 refresh받기가 쉽지는 않을텐데, NIPS등에 좋은 논문도 내시고 실적이 좋으신 분인가 보네요. Top researcher들은 $1M 찍었다는 NYT기사도 있었죠.
-
RSU refresh는 개인 성과 만큼이나 회사 재정이 얼마나 튼튼하고 성장하는가에 따라 결정되는 것 같습니다. FA는 주가가 많이 떨어졌고 N은 원래 주식 안주고 G는 오를만큼 올랐으니까 – 그 외의 상장/비상장 기업 중에 성장세가 좋은 곳이면 탑리서처가 아니더라도 많이 받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Uber, AirBnB, Workday, Salesforce, Adobe, LinkedIn, ByteDance, …
NIPS에 풀페이퍼 내는 분들이야말로 진성 ML연구자죠. 연봉도 연봉이지만 그 외의 지원 (인력, 교육 등) 에서 저와는 티어가 다릅니다.
-
-
우와 입이 쩍 벌어지는군요.
아무리 머신러닝이 핫해도 초상위 능력자이십니다. -
저는 ML쪽이 아니라 (CS도 아님) 먼 나라 이야기같은데, ML 하면서 .5 밀리언 이상 받으시는 분들은 10-20년만 일하면 적어도 a few 밀리언 모아서 은퇴할 수 있을것같은데 실제 그런가요? 베이 지역이 집값 비싸다고 해도 모기지로 넣으면 다 자산이 되고 나중에 좀 더 싼 동네로 가면 일찍 은퇴하거나 하고 싶은거 소소하게 하면서 살 수 있을것같아요.
-
500k를 최근 10년간 지속적으로 받은 사람은 거의 없을 것 같습니다. 저만 해도 4년전 초봉은 150k정도였는데 최근 2년간 ML붐이 일어서 일시적으로 찍은 상황이라 내년 경기에 따라서 300k이하로 떨어져도 그냥 그러려니 할 겁니다.
2008년에 G사 정도 입사해서 괜찮은 연봉 받고 2009년에 집 사고, 집 값 올랐을 때 팔아서 모기지 정리하면서 주식으로 계속 재테크 한 사람들이 이상적인 케이스 같은데요. 그런 경우 돈 걱정 크게 안 하면서 재미나 더 큰 임팩트를 찾아서 다른 직장으로 가거나 창업하는 것 같습니다. 은퇴하고 요트로 세계일주하면서도 코딩할 사람들인지라…
-
2008년 구글 입사는 넘사벽이었습니다. 지금이야 다들 많이 들어가고 leetcode도 있으니까 준비하기도 편하지…
-
-
-
예전에 월가 금융권 인력들이 고액연봉 받았듯이
요즘은 실리콘밸리 엔지니어들이 그렇게 받습니다.
월가에서 고액연봉 받는 사람들은 갈수록 줄어들고, 반면에 고액연봉 받는 엔지니어들은 갈수록 늘어나고…
워라밸 (Work Life Balance)은 당연히 엔지니어가 훨씬 더 좋고…
-
Hft 27살 1.5m 찍은 사람은 금융권 까는 댓글 보고 웃고 갑니다 ~
-
누가 깠냐? 피해망상증 환자냐?
니가 그런 애같은 소리하니까 밑에 헤지펀드 망했다는 소리 나오네.
-
-
헤지펀드 전성기는 이미 한참 전에 끝난 지 오래됐고
2018년은 헤지펀드 최악의 해
클라이언트들이 썰물 빠지듯 투자금 회수해 가서, 문 닫은 헤지펀드들이 부지기수
https://www.valuewalk.com/2018/12/hedge-fund-index-worst-financial-crisis/
-
Citadel, Two Sigma, Renaissance Tech이런데는 잘 범.
-
-
ML쪽 공부를 시작해야 하나 싶네요. 500K… 부럽습니다.
-
ML 대접 좋지만, 뭘 하든지 이 업계에서 잘하고 능력있으면 대접 받습니다. Development건, ops건, science건 자신이 조금이라도 엣지가 있는걸로 하세요.
연봉 부럽겠지만, 택스로 나가는 액수 비율도 늘어납니다.
-
예를 들어 150k받고 50k 세금냈다가 500k받고 200k 세금냈다고 투덜대는건 애들이나 하는 어이없는 소리고..
-
-
ML해서 나 이정도 받는다 (진짜라면) 어느정도 role model 이 될수는 있겠으나 향후 전망은 아무도 모르는거죠. 저도 ML하는데 파머에서 해서 원글처럼 연봉이 높지는 않는데 (물론 베이도 아니고), ML향후전망 ….. 흠…..별로 장담은 못하겠어요. ML 생각보다 performance 가 별로입니다 (적어도 파머, 바이오쪽은 잘 안되요. Model은 그럴싸 하다고 하는데 실제로 퍼블리쉬 되었거나 우리가 만든 모델을 적용해보면 ……꽝임). 알기론 이미지 분야하고 fiance 쪽을 제외하곤 ML이 별로 쓸만한 output을 만들지 못하고 있습니다. 언제까지 회사에서 output 도 없이 돈을 투자할지는 아무도 모르죠. 현제는 일단 관심은 끌어놨는데…….함 봅시다.
-
공감합니다. 모델 아무리 잘 만들어도 실제로 가치를 만들려면 갈 길이 멀죠. 경영진도 똥인지 된장인지 구분 못해서 무조건 많이 주고 데려오는 것 같습니다.
-
-
회사에서 어떤분야에 ML를 적용하시는지 여쭤도 될까요?
-
온라인 마케팅에 사용합니다.
-
-
https://www.wallstreetoasis.com/forums/ama-top-quant-firms-first-year-comp-250k-to-400k
시타델 학부 초봉 캐쉬로 400k+ 주는데 아직도 탑 오브 탑은 금융임.
우리 샵에서도 5년차 트레이더들 시타델에서 2M+ 주면서 데러감. 개발자들이 월가 망햇다고 헛소문 퍼뜨리는데 미디언에선 맞는 말인데 탑은 아직도 금융 > 컴싸임.
-
노노노
그건 “탑 오브 탑” 이야기이고
한단계 더 올라가서, “탑 오브 탑 오브 탑”으로 업그레이드 하면, IT 스타트업 창업자들이 돈은 훨씬 더 잘 범
구글/페이스북/유튜브 초기 공동 창업자들 등등….
무슨 트레이더 고작 2M 받는 거는 새발의 피…
근데 어차피 여기 이민자 게시판에는 “탑 오브 탑 오브 탑”은 고사하고 “탑 오브 탑” 까지 가는 사람 조차도 없음.
그냥 적당히 “탑“만 되도 대성공
현실적으로 “탑”이 될 확률이 가장 높은 분야는 CS… 인정하기 싫지만 사실임….
-
-
월가 망했다는 개소리는 돈 잘버는 개발자들이 떠들지 않음. 그런데 관심도 없음. 500k 벌면서 다른 분야 연봉 비교하고 싸우는 인간은 없음. 고액 연봉과는 상관없는 호사가들이 아웅다웅 하는거지.
-
“제가 받는 정도는 깊게 안 들어가도 파이썬으로 Gradient Boosting, Random Decision Forest 모델 깔끔하게 만들줄 알면 되는 것 같습니다”
ML분야 일함. ㅋㅋ 저 문구에서 ㅂ씐 인증.
주작도 정도것 해야지 Phd가 rf를 Random Decision Forest라고 하냐 ㅋㅋㅋㅋㅋㅋ-
매년 주식 리프레쉬 되니까 250K 4년에 나눠 받아도 1년에 받는 거랑 똑같다는 거에서 뿜었슴.
구라를 쳐도 정도껏,
구글만 해봐도 주식이 어떻게 리프레쉬 도는지 나오는구만
-
-
글구 저걸 깔끔하게만든다는것도 좀 이해가안되네요 요새 저런건다 패키지잘대있어서 가져다쓰면되는데 왜 직접만듬요ㅋㅋㅋ차다리 연구해서 좀 변형 알고리즘 만들어서 성능 더좋게만든다는것도아니고
-
파라미터 튜닝 하고 갖다 쓰면 열줄도 안되는걸.. 한국 중딩 고딩들도 하고 있음
-
scipy에 패키징된 RF로 classifier만든걸 굳이 풀어서 설명해야 하나요? https://jakevdp.github.io/PythonDataScienceHandbook/05.08-random-forests.html 이게 왜 bs인증인지 모르겠네요. 게다가 ML전공 phd 아니라고 이미 언급했는데,..
그리고 누가 깔끔하게 직접 만들었댔나? 님들 아는대로 패키징 다되있는 RF써서 문제 푸는거 중딩도 다 하죠. 마찬가지로 뻔하디 뻔한 문제, 데이터도 다 있으면 pytorch나 tensorflow써서 뉴럴넷 만드는 것도 반나절이면 충분해요. 회사도 그거 너무 잘 아는데, 왜 몇 십 만불씩 때려박을까요?
ML 엔지니어님들. 죽어라 파라메터 바꿔가면서 노가다해도 f-score는 0.7에서 맴돌고, 제품개발팀은 맨날 퇴짜놓죠? 모델 트레이닝만으로 풀수 있는 세상의 문제는 5%도 안될거에요. 그 밖을 못 보니까 거기서 빌빌대고 있죠
-
-
글 잘봤습니다. 올해 미국 자연과학 (석유 관련) 박사 지원자인데, 석사때 ML 써서 저희분야 문제 풀고 논문 썼습니다. ML 전공이 아니라서 수준은 여기분들에 비해 보잘것 없지만, 분야 탑스쿨에서 비지팅 인터뷰 줘서 다녀왔습니다. ML에 관심이 많더라구요. 그 학교가 ML쪽도 탑스쿨로 알고있는데 가서 열심히 수업듣고 언젠가 글쓴분처럼 되기를 소망해봅니다 ^^; 다시한번 실용적인? 정보 공유 감사드리고 좋은일만 있으시길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