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view할때 AVL, RB, 2-3-4 tree같은 문제 나오던가요?

  • #3466009
    음.. 73.***.189.247 603

    학교 졸업한지 오래되서 100만년만에 data structure정리해보고 있는데
    까마득히 잊고 있던 AVL, Red-Black, 2-3-4 tree의 insertion, deletion시 tree재구성하고 이런게 나오네요
    1시간 이내로 풀수 있는 문제들이 아닌듯 보이는데
    interview때 이런거 구현을 요구 받은적 있으신가요?
    구현은 안해도 알고리즘은 물어보던지?

    searching하고는 별 관계없는 업종이고, 경력은 10+년입니다.
    미국 구직이 처음이라 여쭤봅니다.

    • dd 163.***.135.114

      ㅋㅋㅋ 나이들어서 알고리즘 공부 하려니 머리에도 안들어 오고 합니다.
      공부를 정통으로 하기 보단 leetcode 에 있는거 풀면서 거기 있는거 머리에 들어 오게 하는게 더 중요 한것 같아요
      하시다 보면 머리에 입력 되게 되어 있습니다.
      쩝 작년에 온사이트 몇번 갔다가 떨어진 상황으로 보면 시간없을때는 해당 하는 회사에 해당하는 https://www.interviewbit.com/ 에서 문제 보고 geeksforgeeks.org에서 풀이 보면서 본인이 코딩 가능 할때 까지 몇번씩 풀어 보는게 더 중요한듯 해요 막상 인터뷰 가면 영어 보단 걍 문제 하나 내고 그거 같이 풀어 나가는 거라서 암튼 그렇네요 제가 받았던 문제의 예시는

      . 겁나 많은 데이터 베이스에 존재 하는걸 사용자들을 어떻게 로드 분배 하는가
      . 환율변환 문제
      . tree 변환 문제
      . 게임 설계 문제
      . Trie 구현 문제
      . 빗물에 따른 빌딩에서의 물측정 문제
      . game 에서 사석 처리 문제
      등등등 이었네요 …. 전부다 코딩 하실수 있어야 해요 whiteboard 또는 크롬북등등에 …..

    • Bn 73.***.234.42

      제생각에는 그런 복잡한 문제는 잘 나오지는 않는다고 봅니다. BST에서 조금 더 꼬아낸 정도 일듯요.

    • AMZ 98.***.23.149

      그거 잡고 몇 번만 해보면 감이 올텐테요.
      저도 dijkstr, minimum spanning tree 같은거 안나오겠지 했다가 막판에 online assessment에 기출문제 있는거 보고 급하게 암기했었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