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M research 어떤가요

  • #168403
    IBM 128.***.209.68 4650

    미국내 연구소와 인터뷰 진행을 하게 되었는데, IBM 연구소가 예전같지 않다는 얘기도 있고 다른 회사와 비교했을 때 장래성등은 어떨런지 궁금하네요. 그리고 연봉은 다른 회사와 비교해서 어떤가요? 물어볼 사람이 주변에 마땅치 않네요.

    • 리서치 128.***.215.17

      리서치라면 팀이나 분야를 봐야 하지 않을까요? IBM이 잘하는 분야도 있지만 별로인 것도 있으니. 저희쪽은 많이 죽어서…

    • 이름 98.***.254.64

      윗분 지적대로 분야 상관 없이 아이비엠 이름만 가지고 먹어주던 시대는 지난 것 같고, 잘 나가는 분야인지 아닌지 알아보셔야 될 것 같습니다. 뭉뚱그려서 장래성을 얘기하긴 좀 그렇습니다.

    • 연구위원 74.***.133.159

      윗 분들 말씀처럼 IBM 리서치가 서비스와 소프트웨어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하드웨어 분야는 글쎄…

    • 최적 70.***.65.249

      최적화(옵티미제이션) 쪽은 먹어줍니다.
      박사이시라면 나중에 학교로 가기도 쉽고요…

    • 연구원 69.***.168.176

      IBM 연구소 (펩 아니고) 를 다른 ‘회사’와 비교 하는 것은 별 의미가 없다고 생각 됩니다.
      일단 리서치 스태프는 박사가 아니고서는 지원이 불가능 하고 (반도체 관련 회사 중 박사만 지원 가능한 자리가 여기 말고 또 있을 까 합니다.), 하는 일도 특허 쓰기와 페이퍼 쓰기가 가장 중요한 일 중 하나입니다. 그리고 자기 분야 메이저 학회의 커미티가 되는 것을 권장합니다. 물론 저널의 에디터가 되면 인사 고과도 잘 받을 수 있습니다.
      본인이 제품 개발에 관심이 있으시다면 애플이나 인체로 가시면 되고, 연구에 관심이 있으시다면 IBM 연구소 (공장 아님)로 오시면 됩니다. 미국 국방부 관련 프로젝도 많이 하기 때문에 반도체 전공이라고 해도 다른 회사에서 하는 일 하고는 많이 다릅니다.
      엔지니어 직급도 있으나 리서치 스태프 멤버는 헤드 카운트를 조절하기 때문에 채용 되기는 쉽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자기가 하고 싶은 연구를 향후 5, 10, 20 년 후에 쓰일 예정인 목표로 세 가지 정도로 나누어서 연구를 진행합니다.
      매년 평가에서 인사고과를 탑 랭킹으로 받으려면 내셔널 리서치 어워드를 받거나, 자기 특허 수익으로 약 100 밀리언 정도 받으면 되겠습니다.

    • IBM 128.***.209.68

      원글입니다.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말씀 들어보니 진정한 ‘연구’를 하는 곳인 것 같군요! 큰 참고 되었습니다.

    • 다른 연구원 198.***.201.176

      요크타운에 있는 리서치는 박사 받고 바로 리서치 스태프 멤버로 들어오게 되면 밴드 9이 되고, 이스트 퓌쉬킬에 있는 팹으로 입사하게 되면 같은 대학을 나왔더라도 밴드 7의 엔지니어로 됩니다. 그만큼 연구소의 중요성을 회사가 좀 알고 있죠.
      RSM (research staff member)은 1년이 되었던 30년이 되었던 다 똑같이 밴드 9인데, 연봉은 11만 5천에서 25만 사이에 다양합니다.
      윗 분이 말씀하셨듯이 국방부 프로젝트 들이 많기 때문에 대부분의 외국인도 영주권 후 시민권을 많이 받습니다. 그리고 지금 무슨 연구를 하는 지는 외부에서 잘 알기가 어렵습니다. 한 예로 우리가 써 왔던 CD writer 도 국방부 프로젝트로 IBM 연구소에서 개발된 후 상당한 시간이 지난 후에 일반인들에게 공개 되어서 사용되게 된 것입니다. IBM 홍보 사이트에 가 보면 바코드, 라식 용 레이저, 전자 현미경 등도 이러한 경로로 개발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