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E 분야에 대해서 조언 부탁드립니다 (RF vs. RTL design)

  • #164554
    140.***.190.176 5148

    박사과정을 보내고 있는 학생입니다.
    제 전공은 RF 쪽인데요 IC 설계쪽은 아니고 시스템쪽입니다. FPGA 및 discrete 소자를 사용해서 알고리즘을 구현하고 실험, 측정은 RF 영역에서 하고 있습니다.

    제가 IC 설계쪽이 아니다보니 실험할 때 몸이 분주한데 반해, FPGA쪽은 RF보다는 실제적으로 일을 한다는 느낌이 듭니다. 그러다보니 RTL 설계쪽 취업에 관심이 많이 가는데요, 한국과 미국에 이력서를 뿌려보면 한국은 주로 RTL 설계 분야에서 인터뷰 요청이 오고, 미국은 RF쪽으로 인터뷰 요청이 오고 있습니다.

    미국에서 RF 시스템과 RTL 설계 분야중 어느쪽이 수요나 대우면에서 장점이 있을런지요?

    여러 선배님들의 조언 부탁드립니다.

    • 14.***.164.130

      rtl은 너무 진입장벽이 낮은것 같습니다…

    • cs 76.***.79.20

      RTL은 미국에서는 박사가 하려면 스페셜티가 명확해야 하는 것 같아요. 코딩 정도만 해서는 힘들어요. front level design은 거의 다 해야 할 것 같고, STA나 DFT 까지도 어느정도까지는 해야 할 것 같아요. 물론 이런 건 기본적인 것이고, 박사가 하려면 어떤 전공이 명확해야 할 것 같아요. 로파워나 모 이런걸로요.

      시스템은 취업할 때 보면 정말 많이 알아야 할 것 같던데요. 이론적인 것 다 알아야 하고, 커버하는 범위가 매우 넓은 것 같습니다. 사실상 시스템 엔지니어는 거의 다 알아야 하지 않나요?

    • 128.***.29.38

      답변주신 분들 감사합니다.

    • s4 108.***.240.150

      FPGA 프로그래밍/포팅하는것이랑 일반적으로 HW RTL엔지니어라는 것과는 판이하게 다릅니다. 후자의 경우 대개 ASIC쪽을 의미하며, 직접 chip tap-out을 하는 쪽으로 디자인하는 HW엔지니어입니다. 간혹 concept verification용도의 prototype용 FPGA프로그래밍을 하긴 하지만, SoC 회사에서는 그런쪽일을 Product HW RTL엔지니어의 메인잡으로 간주하지는 않읍니다. 말하자면, 본인께서 하시는 일은 보다 알고리즘/시스템 구현에 가까운 카테고리입니다. 전문 ASIC기술자가 아니시라면 현재의 rf 시스템 전문분야에다가, FPGA구현기술을 첨가하여, 시스템쪽으로 접근하시는게 낫지않나 합니다. 그런데, 시스템엔지니어는 뽑는 인력도 그리 많지 않고 문턱이 높읍니다. 간혹 구현, 임플리멘테이션 기술의 소유자를 찾기도 하는데, 그럴경우 플러스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