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exus RX AWD를 고려하고 있는데요. RX의 AWD가 고속에서 전륜에 비하여 안정적으로 달릴 수 있나요? 눈이 안 오고, 비도 안 오는 맑은 날씨에서 전륜구동에 비하여 안정적인 구동이 가능 한지 알고 싶습니다.
일반적으로 고속에서 후륜구동이 전륜에 비하여 안정적이라고 하는데, AWD는 어떤가요?
그리고, 전륜구동의 경우에는 핸들링이 가벼운데, AWD는 좀더 묵직한 맞이 있나요?
RX AWD가 괜찮은지 궁금합니다.
-
-
제가 자주하는말이곤한데 고속에서 안정적으로 달릴라면
1. 차가 낮아야됨. 공기역학측면말고 무게중심이 낮아야됨.
2. 구동방식보다는 4코너 밸런스가 좋아야됨 (일반적으론 사륜이 밸런스는좋은편)
3. 서스펜션이 어느정도 댐핑이 가능해야함. 물렁한 서스펜션은 언더댐핑이라고 흔히말함.
4. 차가 낮아야됨. 공기역학적으로 차 하부에 드래그가 생기면 생길수록 자동차 리프팅이 발생함.
5. 고로 Suv 는 고속에 안정성을 두고 사는차가 아님. 미니밴은 간지안나서 사기싫은데 캠핑같은건
한번도 안가는 가정이 아웃도어의 꿈을안고 패밀리세단보다 더 비싸게사는 차일뿐임.-
인정
-
말이 좀 험해서 그렇지 확실히 차에 대해 박식하고 재치가 넘침…
-
-
이론상으로 보자면야 awd가 코너링에서 좀 더 안전하긴 할텐데, 그정도 차이까지 생길 정도의 고속을 하실거라면 bk님 말씀대로 suv 안사시는게 좋을듯..
어린 애가 있으면 시트 위치가 높아서 suv가 좋긴 해요..
-
연비 비용 내구성 등등은 논외로 하고…
모든것이 같다고 가정하고, 차이는 구동방식 뿐이라고 보면
AWD 가 무조건 모든상황에서 유리합니다.
고속직빨이든, 중저속코너링이든, 눈길 빗길이든 화창한 날이든 상관없이 다 유리합니다.
테스트 트랙에서 몰아봐도 그렇고 CAE 돌려봐도 그렇게 나옵니다. 이론도 그렇고 실제로 몰아봐도 그렇고, 리밋핸들링 해도 그렇게 나옵니다.물어보신 렉서스 RX AWD 는
미국의 스피드 리밋 +20% 정도의 속도에서는 일반적인 주행은 쫀쫀하게 잘 붙어 나가던걸로 기억합니다. -
지금 타고있는 차가 Rx 300 2000 년 AWD( 250K).
프리웨이 주행시 흔들림 별로 느끼지 못합니다. 산악길 주행시 커브에서도 기울어짐 별로 없이 잘 나갑니다.
실제로 거의 비슷한 차로 알려진 Highlander FWD 새차로 사서 7년 몰아 보았는데 프리웨이에서 많이 흔들렸습니다. 산악길에서의 기울어짐도 Rx 300 AWD 와는 비교되지 않을 정도로 심하더군요. 자동차 공학 잘 모르지만 제 경험상으로만 볼때 Rx AWD 고속주행시 안정성 괜찮습니다. 한번은 프리웨이 75마일 정도로 달리다 큰 나무토막에 걸린적 있습니다. Rx AWD 였기에 전복되지 않고 두세번 지그재그로 흔들리다 정상 주행했다고 확신합니다. -
ff보단 awd가 모든 상황에서 더 안정적입니다.
다만 눈,비 안오고 맑은 날씨 위주라면 awd는 기름만 조금 더 먹겠지요..전륜구동이 왜 핸들이 더 가벼울까요… 요즘 차량들은 유압식에서 모터로 바뀐차량이 대부분이라 업체 셋팅값에따라 다릅니다.
suv로 얼마나 밟고 잡아돌리실지 모르겠지만 , 고속 안정성 생각하신다면 독일차쪽으로 보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
car님의 말씀과 같이 Lexus RX의 경우, 맑은 날씨만 있는곳에서는 awd는 기름만 조금 더 먹는 별로 필요없는 기능인가요? 캘리포니아나 텍사스와 같은 곳에서는요?
운전의 feeling이 fwd와 거의 차이가 없는지 궁금합니다. 예를 들어서, 가속을 했을때, 뒤에서 밀어주는 느낌이 나나요?
-
찾아보니 RX awd는 풀타임 awd는 아니고 평소엔 100% FWD로 달립니다.(렉서스 홈페이지) 센서가 상황에 따라 클러치팩을 통해 뒤로 힘을 전달하는 시스템인거 같네요. 락 버튼이 있어서 50:50 잠글 수는 있는데 고속에서는 자동으로 꺼집니다.
일반 도로에서 구동은 fwd와 똑같을거 같습니다. 특별히 토크 벡터링 시스템이 있는거 같지도 않구요. -
제가 잘못 알고 있는 것인가요?
우선 bk님은 세단 vs SUV를 비교하신 것 같고, 원글의 질문자는 아마(?) SUV 중에서의 안정성을 물어 보신 것 같은데, bk님을 제외한 모든 분들은 RX의 awd가 fwd 방식보다 더 안정적이라고 답을 하신 것 같습니다.
제가 알고 있기로는 RX의 AWD 방식이 토크 벡터링 시스템도 아니어서 FWD 보다 나을 것이 없을 것 같은데, 차이가 있다고 하시니…의문이 생깁니다.
달리는 차체의 안정성을 가져오는 것은 Electric Stability Control (ESC, 브렌드에 따라서는 traction control, AWC 등으로 불리는)이 작동하여서인데, AWD때문이라니? 제가 잘못 알고있나요?
-
틀린말씀은아닌데 전륜보다 4wd의 무게밸런스가 좋아서그렇습니다.
마찬가지로 후륜구동역시 뒤에 디퍼런셜무게와 리어구동축에 무게를 없애버리면
고속이건뭐건 붕떠서 다닐겁니다. 그렇기때문에 드리프트카가 아닌이상 일반차들은
앞서스펜션보다 뒷서스펜션이 물렁한겁니다. 뒷축은 승차감에도 중요한 역할을하지만
뒤가 단단하면 오버스티어가 발생하고 운전자 99퍼센트가 언더스티어가 더안전하다고
느끼기에..고속에서 트랙션은 중요하지만 밸런스가 후지면 트랙션컨트롤이 알아서 속도를 줄이겠죠.
그럼 차는 안나가겠고. 트랙션컨트롤은 타이어의 접지를 높힌다는원리가 아니라 가변으로
일정 휠의 회전매스를 줄여서 차가돌지않도록 하는거니까요.
따라서 고속에서 가장중요한건 밸런스와 공기역학입니다. 그 조건이 비슷해야 전자장비로
비교하는단계로 들어가는거구요. -
esc는 위급상황에서 출력을 강제로 줄여주는 거니까 안정성보다는 ‘안’전성에 관련된게 맞는거 같구요.
full time awd일 경우 고속에서 오버/언더 스티어를 줄여주니까 좀 더 안정적이지 않을까요?
그리고 혹시나 바퀴 하나가 미끄러지면 그 축은 트랙션을 잃는데 반대쪽 축에 토크가 있으니까 접지력 측면에서도 훨씬 안정적이겠죠. 이것도 따지면 안전성인가?
-
-
그럼 결론적으로 RX AWD가 FWD방식에 비하여 별차이가 없다는 소리네요. FWD 타나 AWD타나 고속에서 운전중에 별차이가 없다면 FWD를 타는것이 낫겠네요.
RX AWD가 고속도로에서 가속을 할때, 뒤에서 밀어 주는 느낌이 날까요? FWD는 고속도로에서 끌려가는 느낌일것 같은데, RX AWD의 경우에 가속시에 밀어주는 느낌이 나는지 궁금합니다. 뒷바퀴에 힘이 걸리면서, 밀어 주면 아주 좋은 느낌일것 같아서요. RX AWD가 이와같은 맛이 없다면 굳이 AWD를 살 이유는 없는것 같습니다. 단 눈이 안 오는 지역에서요.
-
최근 버젼의 할덱스 시스템 같은 경우 정지했다가 출발시에 뒤 축으로도 토크가 전달되서 가속에 도움을 준다고는 하는데 lexus rx 시스템이 할덱스인지, 또 그런 가변성이 있는지는 확실히 모르겠습니다.
볼보나 폭스바겐 4motion(전륜기반 차량들)은 할덱스를 씁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