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count Receivables 가 무엇입니까?

  • #1602569
    회계 70.***.199.45 5986

    진행 중인 프로젝트에서 일반 매출 보고서를 만드는 작업과 기존 GL 리포트를 다시 생성하는 작업을 하게 되었습니다.
    개발자들을 위해서 사양서를 써야 하는 입장인데요.

    고객사의 담당 회계 직원들과 회의할 때마다 아주 고역이네요.

    AR (Account Receivables), General Ledger

    위키에서 읽어 봤지만,….그냥 영어를 해석하는 수준이지..이걸 ..회계의 회자도 모르니…대략 난감 ㅠㅠ

    AR 이 한국말로는 어떻게 되나요?

    자세히 쉽게 설명해 주실 분??? 복많이 받으세용 ^^

    • nyc 108.***.238.54

      물건팔고 거의 확실하게 곧 받을돈 이런의미예요

    • 배우는이 32.***.187.243

      한국말로 매출채권 정도 될 듯..
      Account Payable은 매입채무. ㅎㅎ 저도 초보라

    • car 108.***.240.102

      GL 은 어카운팅에서 북킹 하는 모든걸 말합니다. 그냥 회계 장부다 라고 생각 하시면 편합니다.

      GL 할때에 크게 크레딧과 데빗으로 나눕니다. 크레딧은 더하기 데빗은 빼기 입니다.

      GL 의 기본은 항상 크레딧과 데빗이 항상 매칭이 되어야 합니다.

      즉, 하나가 나가면 하나가 들어와야 하는게 있어야 한다는 소리지요.

      지갑에 돈이 100원이 있습니다. 수퍼에 가서 과자 사먹고 100원을 냅니다.

      이경우에 제너럴 레저에서는

      캐쉬는 100원이 나가고
      인벤토리로 과자가 100원이 들어 왔다고 적습니다.

      결국 모든 북은 매치가 되어야 하고 지로썸이 되어야 합니다.

      그러다 보니, AP, AR 같은 용어가 필요 한겁니다. AP= account payable (줄돈), AR=account receivable (받을돈) 입니다.
      모든것들이 내지갑에서 현찰로 바로바로 나가면 좋겠지만, 비지니스 세계는 절대로 그러지 못하죠.
      그래서 이런것들이 생긴건데. 그때 그때 조금씩 다르지만, 그냥 AP는 돈이 나간거다 AR 은 돈을 받은거다 라고 생각 하시면
      개념이 조금 쉽습니다.

      물론.. 이게 어떤 쉿에 들어가느냐에 따라서 조금씩 달라지긴 하는데 그렇게 가려면 너무 복잡하니
      그냥 줄돈 받을돈으로 생각하시고 그때그때 마다 플러스 마이너스로 생각 하시면 쉽습니다.

      • 회계 70.***.199.45

        와우~~~~ 완전 초딩 수준의 저에게 단비와 같은 설명입니다.
        저 AP, AR 때문에…회의하면…저게 모지 저게 모지…
        설명을 해줘도…저게 몬소리인지….

        미국애들이 이렇게 쉽게 설명을 해줬으면 알았을텐데..ㅠㅠㅠㅠ

        혹시..

        cash value
        vs
        merchandise value

        는 몬지 혹시 아시나요?

        • car 108.***.240.102

          일반적으로 cash value는 현재의 가치를 나타내는 걸 말합니다.
          현재의 100원 하고 1년후의 100원의 가치는 틀립니다.
          그래서 cash value 라는건 PV (present value) 를 얘기 합니다.
          다시 얘기 하면, 1년후의 받을돈 (AR) 100원의 cash value는 이자, 인플레이션등을 생각해서
          아마도 대략 95원쯤 될겁니다.

          어떤 밸류에이션을 하냐에 따라서 AR의 가치를 평가 하기도 합니다.

          merchandise value 라는건 물건의 가치는 오늘 100원이면 1년후에도 100원이라고 보는거라 생각 되어 집니다
          merchandise value는 merchandise에 어떠한 데미지가 생기지 않는한 가격은 변하지 않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