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초반에 미국에 이민을 가게 되었습니다(전기 electricity)

  • #3450715
    223.***.60.239 8287

    한국에서 쭉 살아왔고 현상황에 나름 만족하고는 있지만
    여러 이유로 이민을 결정했습니다(초청)
    먹고 사는 거에 대해서 나름 몇가지 생각해봤습니다만
    어떤 것이 현실적이고 괜찮을지 조언좀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참고로 싱글입니다
    1. CC에서 전기 기술 배우기
    현재 한국 전기기사를 보유했고 현장 업무도 해봤습니다. 전기 기술이 괜찮다고 들어서 고려중입니다.
    제가 생각하는 장점: 빠른 시간내에 경제활동이 가능해진다는 것(나이가 있는지라 중요)
    단점: 엔지니어가 아닌 테크니션이라 고될 수 있음.

    2. 대학원 진학
    전기/전자공학과 대학원 진학입니다. 한국 대학에서 전자공학과를 전공하였고 전기기사를 취득했기에 제 분야입니다.
    장점: 엔지니어로서 조금 더 나은 삶의 질
    단점: 비용과 시간

    3. 프로그래밍
    부트캠프, cc 등에서 프로그래밍 교육 이수하는 겁니다. 미국에서 유망한 직종이라 하여 관심 있습니다.
    장점: 준비 기간 짧음, 취업용이
    단점: 제 생각엔 프로그래밍이 적성이 맞는지가 중요하다 생각되는데, 프로그래밍은 개인적으로 흥미를 못느낀 과목임.

    4. 미국내 한국 기업
    조지아 아틀랜타 등 자동차 공장에서 구인을 많이 하더군요.
    개인적으로 가장 끌리는 선택지인데 한국기업은 거르라는 말이 하도 많아서 고민됩니다.
    장점: 준비 기간 짧음, 경력 쌓아서 이직가능(?)
    단점: 일 힘들고 페이짬

    뭐든게 하기 나름이겠지만, 선생님이 보셨을 때 그나마 나은 선택지 추천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진로 상담을 받고 싶어도 주변에 케이스가 없어 이곳에 글 올리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89 67.***.112.114

      전공을 살리던 아니건 돈 여유가 있음 대학원 아니면 CC죠.
      아니면 한인회사로 갈 수밖에 없어요. 영어가 네이티브 아닌 이상에야

    • 선상님 172.***.204.148

      3번: nO
      4번: nO
      1번: 노조로 간다면야
      2번: 빡세게 공부해서 전자공학 박사되면 최고임 (엔지니어는 별로)

    • Sam 69.***.115.140

      저 역시 위글의 선상님 말씀과 비슷합니다.
      1번인 경우 노조에 가입하지 않는 한 그 전망은 별로입니다
      그러나 노조에 가입하게 된다면 비 노조에서 일하는 것보다
      힘이 훨씬 덜들고 대학 졸업하여 엔지니어 학위를 딴 사람들의
      연수입이나 베네핏 보다 훨씬 높고 좋습니다.
      2번 인 경우 시간과 돈이 좀 들긴 들어도 10년 이상의 미래에 투자하여
      서양 사람들 제치고 최고의 박사가 된다면 매우 좋은 선택일 수 있습니다.
      3번은 권유하고 싶지 않고요
      4번은 절대로 말리고 싶군요.
      https://blog.naver.com/nonwoorhee
      https://www.youtube.com/channel/UC73YiDw_qGypmjQ2NSkugGw
      nonwoorhee@gmail.com

    • 펜펜 98.***.96.130

      잘 모르는 분야이지만 #1이 좋을것 같습니다.

      근데 이쪽이 아마 동네마다 (Village / City / Township) 법규(code)가 달라서
      다른 동네 공사?하러 가시려면, 동네마다 License를 따셔야 한다고 들은것 같습니다.

      실력 되시고 – License를 따고 나면,
      개인사업자로서 손님을 찾아야 하는데,
      이게 좀 Challenging할수도 있을거 같아요.

      공사를 많이 하는 분들하고 네트웍을 만드시면 좋을것 같은데
      처음부터 쉽지는 않을것 같네요.

      상하수도 하는 분들도 같은 상황이지만,
      일도 좀더 깔끔하고 좀더 받는것 같습니다.

      • Sam 69.***.115.140

        기본적으로 전기 법규는 National Electrical Code (NEC)의 시험을 각 주마다 정해진 규정에 따라 치루어집니다.
        일단 수습과정 경력을 5년 정도 거치면 자격이 되고 필기 시험에 합격하면
        Master Electrician (Electrical Contractor)이 되게 됩니다.
        그 이후에는 어느 지방에 가서 일을 하든지 해당 township에 가서
        신고하고 permit을 받아서 공사하는게 일반적입니다.
        기술과 병행하여 영어 회화를 미친듯이 공부하셔서
        한국 사회가 아닌 서양 고객을 상대로 영업을 해야 고객을 많이 확보할 수 있습니다.
        기타 전기 기술 분야에 관심있으시면 저의 영상 방문해 보세요.
        https://www.youtube.com/channel/UC73YiDw_qGypmjQ2NSkugGw

    • 음… 47.***.56.43

      다 상관없고, 받아들이려는 자세가 제일 중요.
      새로운 세상에서 받아들이면서 살 자신이 있으면 뭘 하든 굶어죽진 않을거고.
      단순히 과거의 세상과 비교해서 낫네 아니네 하면서 비교하면서 살것같으면 차라리 걍 현재 세상에 눌러있길…
      하루에도 몇번씩 여기 왜 왔을까… 란 회의감이 들수 있는게 이민의 삶인데…
      억만금의 보수가 주어지지 않는이상 왠만해선 만족하기 어려움.
      처음에야, 영주권이라도 있으면 좋겠다 하지만,
      영주권 얻고나면 또 더 좋은 직장, 더 좋은 집, 차… 등등등…
      비교할 대상이 너무도 많고, 잘나가는 사람도 너무 많음.

      • oldguy(노땅) 68.***.217.230

        right on!맞는말

    • 175.***.105.89

      감사합니다. 유니언을 알아봐야겠네요 . 위에 올려주신 유튜브, 블로그도 보도록 하겠습니다.

      • 인생선배 96.***.40.95

        은퇴하고 주변 보니 노조 있는 직장은 대부분 연줄이나 레퍼럴이 중요해요. 현지서 관련업종 사람들 사귀고, 파트 타임이나 하청업체서 일하는 모습 인상적이면 알아서 오퍼가 들어옵니다. 단점도 있어요. 먼저 연줄 만드는 시간과 노력 필요하고, 들어가도 단순 작업장이면 배우는거 없이 나이만 먹고 연금 의지해 은퇴하는 경우 많아요. 1번 전제로 은퇴후 전기 인테리어 및 기기 설치 자영업 가능한 전기관련 일 권하고, 정착지가 어디서 시작하는지 중요합니다. 신분이 되면, 학교/직장 특별히 정해지지 않았으면 어디서 할지도 무척 중요하니 감안하세요. 그 나이 오셔서 정착해 바삐 살다보면 이 큰 나라서 시작점이 끝점 될 가능성 높아요.

    • 지나가다 76.***.240.73

      전기+에어컨+히터 이렇게 같이 하시면 좋습니다. 라이센스를 따신후에 어떻하든 미국회사에서 경험과 영어를 배운후에 미국주류를 상대로 개인비즈니스 하시기를 추천합니다. 거기다 브랜드 지정수리 업체로 지정되면 서비스만 잘하면 포텐셜은 무궁무진한 기술입니다.

    • 음1 76.***.64.239

      아는만큼 보이는거죠.. 따라서 여기분들 조언에 잘 판단하시길..
      4. 절대 금지.. ( 한인회사 2-3군데 다녀봐서 아는데 한국보다 저 저질이고 고생만함.)
      2, 3. 본인이 진짜 하고싶으면 추천… 돈도 꽤벌고 나쁘지 않은데 간단히 부트캠프보다는 학교 다니길 권장. 부트캠프다냐서 속성으로 배우면 금방 밑바닥 보이고 일하기 힘듬. 이분야는 은퇴까지 공부한다는 생각으로 다녀야함.
      나와서 취직할 분야가 무궁무진… 단 본인실력이 바탕이 되어야함.
      1. 저보다 더 잘알겠지만 주정부 전기 공무원만 되도 나쁘지 않음..

    • h 23.***.27.18

      한국서 전기공학 전공하셨으면 이 채널이 도움될 것 같습니다.
      https://www.youtube.com/channel/UCK2fe5taVCFruVYB7XdD9tw

    • 스턴 73.***.46.95

      영주권 받고 오시는거면 논문 안쓰는 석사 추천 합니다
      저도 늦은 나이에 전기공학 3학기만에 석사 따고 취직했어요
      이직 할때 연봉 많이 올려 받고 매주 만족 스러워요

      • 223.***.60.192

        논문 안쓰는 석사는 프로그램 이름에 뭔가요? 석사는 논문이 중요하다고 생각했는데 그런게 있었군요

    • 123123 73.***.42.249

      1번은 절대 하지말라 하고싶군요.

      • 223.***.60.192

        이유 알수있을까요?

    • jimmy 98.***.54.12

      한국에서도 전기기사 시험이 있듯이 미국에도 비슷한 시험이 있음 FE 와 PE. 미국 라이센스를 공부해서 따시고난다음 이력서 만들고 작성자님이 눈여겨보는 회사들한테 원서 넣어보셈. 당연히 세상에 쉬운게 어디있나여 영어공부도 열심히 하시고여~

    • 시애틀 71.***.254.136

      메일 한번주세요 yddeared@gmail.com. 탱Q