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09-2702:38:13 #3821138dad 174.***.110.30 2700
부산 갔다가 고속버스 타고 전주로 가려고 하는데
https://www.bustago.or.kr 여기서 예매하려고 해도 없다고 나오네요
네이버 지도에서 보면 운행은 하는 것 같은데 예매만 하지 않는 것일 까요?
누가 최신 경험 있는 분 계신가요
-
-
https://www.kobus.co.kr
위 싸이트는 뭔가 잘 나오는 것 같은데, 믿을 수 있는지 모르겠네요. 저 싸이트 믿을만한 곳인지 아시는 분 계신가요? -
“고속버스티머니”라는 앱이 있습니다.
검색하면 바로나옵니다. -
예매할수있으면 예매하는게 좋겠죠.
버스회사마다 방법이 다를수 있고 신용카드를 쓰려면 인증을 해야하는 경우가 있어서 아마 한국 지인이 대신 사줘야 쉬울수 있습니다. 미국시민권자라면 사소한것들이 불편한 제약이 여기저기 존재합니다.
-
버스회사 전화번호로 직접 문의해보세요.
-
명절 아니면 거의 필요 없을거예요. 공항버스도 뭐 그냥 가서 타도 큰 문제 없던데
-
공항버스는 미리 앱으로 자리 지정안하고 만석이면 못탑니다.
-
노선이 없어졌는데 웹사이트에 업데이트가 안 된 걸 수도 있어요.
코로나 동안 이용 인원이 적은 노선들 다 없어졌다고 하더군요. -
현금으로 탈수있는 버스는 서울엔 별로없고 지방에는 아직도 가능한것들이 많은듯합니다. 공항버스도 인터넷보면 현금이 가능하다고는 하는데 정말 가능한지는 모르겠고 공항에서나 보통 터미날에 표끊는 부쓰가 있고 다 지정좌석입니다.
-
모든 버스가 회사마다 다르기때문에 버스회사에 바로 문의하는게 제일 나아요.
-
코로나 바로 전 한국갔을때만 해도 공항버스는 그냥 가서 타면 되는거 아니었나 줄서서? 아무자리나?
이제 지정좌석이 생겼나요?-
그런데, 전에 가보니 좌석이 없을 때도 있더군요. 예매가 되는지 모르겠습니다만.
-
-
고속버스 티머니 앱으로 표 사면됨
-
* 사이트는 기억나지 않는데, 고속버스와 시외버스 예약 사이트가 달랐습니다.
* 저도 최근에 거의 20년만에 한국 고속버스/시외버스 타 봤더니, 노선이 예전이랑 많이 바뀌어 있었는데, 예전에는 등급 차이가 좀 있었던 것 같았는데, 이젠 거의 비슷한 느낌이었음. 그래도 시외버스가 비교적 경유지가 많은 건 그대로 였어요.
* 예전과 다르게 우등 버스인가가 많아져서 한 차에 그렇게 많이 탈 수 없어서 그런지 예약 안하고 갔더니 자리 없어서 한시간인가 기다리는데 더워 죽는줄. -
많은 분들이 추천하신 티머니 앱으로 예매를 하려고 했는데 아주 최근에 회원가입을 하지 않으면 예매를 하지 못하고 회원가입을 하려면 한국에 있는 사람들만 인증할 수 있는 티머니GO 앱을 다운받아야 한다고 나오네요. 아주 불편불편 합니다.
-
버스 나 ktx 요금이나 몇백원 차이 나고 시간도 비슷해요.
요즘은 기차를 많이 이용해요
1년전에 갔을땐 버스기다리시간
ktx 환승하는 시간 이 더 빨라요
조금거 검색하시면 좋을듯싶습니다
지역마다 차이가 나는점 감안하시면 됩니다.
전 남원에서 부산 갔습니다 -
한국 사는 사람입니다
티머니 앱으로 조회하니
06:30 첫차이고 1:20분 간격으로 하루 13회 운행합니다
요즘 한국은 고속버스 수요가 많이 줄어서 명절 때가 아니라면 자리는 여유 있어요
현장구매 하시면 될 겁니다 -
이전에 이용했는 데//
경부선 호남선 영동선(?)이 전부 틀립니다.
서울에서 부산은 말씀하신 웹으로 들어 가면 되고..
부산에서 전주는
https://www.kobus.co.kr/mrs/rotinf.do
고속버스통합예매에 들어가서
부산(부산 사상 아님) >> 전주로 예매하시면 됩니다.-
서울 부산도 위의 웹사이트로 하면 됩니다.
단 신용카드는 국내발행만 승인되었습니다.
또한 계좌이체도 국내소재 금융기관에만..
그러므로..
위의 조건이 없으면 예매만 하시고 창구에 가서 현금으로 지불하고
표를 받으셔야 합니다.-
인천공항에서는 부산으로 바로 가는 것은 없고 김해나 김해(장유)로 가는 것만 있습니다.
김해에서 부산은 금방이니.. 뭐 부산이나 마찬 가지죠..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