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 Fellow 직급 한국말로

  • #3751595
    1013 64.***.76.84 4013

    저희 회사 (미국 직장) 연구직 등급 중
    Engineer I / II
    Senior engineer I / II
    Principal engineer
    Sr principal engineer
    하고 그 위에 승진이 아닌 사장단 임명직으로 올라가는
    Engineering Fellow 라는 직급이 있습니다.

    한국어 기사로 실을때 Fellow 직급을 어떻게 표현하는게 가장 적절할까요.
    수석연구원 보다 높은 직급의 의미가 들어가는 한국어 표현을 여쭤봅니다.

    • 영주 172.***.30.215

      연구위원

    • 음음 104.***.1.90

      삼성에도 부사장급 펠로우가 있는걸로 아는데요, 한번 찾아보세요

    • 누가 104.***.139.108

      이건 삼성전자의 마스터랑 비슷한거네

    • 지나가다 73.***.228.208

      예전에는 종신 연구 위원이라고 있었는데 요새는 그냥 “펠로우” 라고 해도 될듯

    • 104.***.136.37

      회사마다 다르겠지만,
      보통 Research Fellow는 한국 기준으로는 전무급 연구원 정도 되죠.
      Distinguished Engineer나 Sr. Principal이 상무레벨 정도 보면 되고요.

      Research Fellow는 한 회사에 보통 열명이 안 될겁니다.

    • 사이프러스 73.***.130.187

      Research fellow 연구위원
      Sr. Research fellow 수석연구위원

    • 지나가다 69.***.14.95

      회사마다 명칭에대한 실제 레벨이 다 달라서 한국직급과 매치힘듬.
      그리고 Sr에 수석 접두사로 쓰는거 웃겨요.

    • S 47.***.234.227

      이미 언급됐지만 연구위원이 펠로우의 한국어 명칭으로 제일 많이 쓰임

    • 김용옥 72.***.127.61

      Research fellow = 연구원
      Research commissioner = 연구위원.

      ㅇㅋ?

    • 김용옥 72.***.127.61

      Fellow = 사람

    • 정리 107.***.14.7

      삼성: 전무급 (작년부터 부사장과 통합)
      엘지: 상무급
      하이닉스: 상무급
      Google Fellow = Google VP = 부사장급
      Apple Fellow = Apple VP = 부사장급
      MS Fellow = MS corporate VP = 부사장급

      위 열거된 회사 공통적으로
      대충 상무급을 상위 1%
      전무급을 상위 0.2%
      부사장급을 상위 0.1% 미만으로 봅니다.

      한국에서는 상무들이 VP로 표기하죠. (100명급 팀 운영)
      미국 빅테크 VP들은 보통 1000명 이상급 팀 운영자들입니다.

      빅테크 fellow에 대한 개인적인 느낌으로는..
      Jeff Dean 같은 살아 있는 전설이 Fellow 타이틀을 갖고 있는데
      Fellow는 야구로 치자면 명예의 전당 입성자들.
      Distinguished는 골든글러브 수상자나 싸이영 수상자 정도

      Fellow를 연구원이라고 하는 건 대학에서나…

    • 지나가나 98.***.74.4

      미국 빅테크 시니어 엔지니어들 연봉이 한국 삼전 상무들하고 비슷하거나 더 높죠. 빅테크 펠로우는 부사장-사장 사이

    • kjhg 207.***.86.188

      펠로우 라고 쓰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