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 컴퓨터 감시에 대해

  • #1546218
    Spss 110.***.54.42 1777

    회사내에서 제 개인 컴퓨터가 얼마나 감시를 받는지요?

    글을 보니 회사 컴퓨터가 모니터링 된다고 하는데요

    저는 실험실에 있는 학생이고
    집에 컴퓨터가 없어서 실험실에서 컴퓨터 관련 된 것을 해결합니다
    그런데 글을 보니 다 체크가 된다네요 흐 ㅠㅠㅠ

    다름이 아니라 인터넷 연결을 끊으면 모니터 화면을 체크하는 것이 불가능해지나요?
    그래도 가능한가요?

    또한 인터넷 연결이 되있을 때
    사이트 접속 여부 말고 무슨 프로그램을 실행중인지, 이런 것도 체크가 가능한가요?

    학교에서 구입해준 프로그램 외적인 다른 프로그램을 좀 돌려야 하는데
    이게 다 불법이라서요. 다행히 설치 파일은 아니고 압축 풀어서 하는건데
    인터넷 연결 되있는 상태에서 제가 어떤 프로그램 실행중인지 다 뜨는건가요?
    (모니터링은 당연히 되겠지만, 만약 한줄로 xxx 프로그램 실행중 이라고 뜨는 정도면
    감시를 안 할 것 같아서요. 혹은 이름을 바꿔서…)

    허락되지 않은 장면이긴 하지만.. 하고 싶기는 하네요
    혹시나 관련 업종 종사자나 잘 아시는 분들 답변 부탁드려요

    • PC 73.***.186.227

      학교 전산망에서는 절대로 불법소프트웨어 뿐만 아니라 개인용으로만 허용되어 있는 프리웨어도 깔면 안됩니다. 요즘 웬만한 SW들은 대부분 PC와 IP정보를 자동으로 SW회사에 리포트하게 되어 있는데요. 이 정보를 분석하면서 주로 회사나 학교에서 쓰는 불법소프트웨어에 대해 소송을 걸어 엄청난 벌금을 받아냅니다. 예전에도 University of Michigan도 한번 걸려서 난리가 난적이 있었지요. 물론 불법SW를 쓴 당사자는 학교에서 짤리고 형사재판까지 받게 됩니다. 가정에서 쓰는 경우는 웬만하면 눈감아주기 때문에 학교에서도 괜찮을 거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더군요. 다시 말씀드리지만 학교에서 불법SW사용을 잡아내는 것이 문제가 아니라 SW회사가 직접 이를 잡아내 학교에 소송을 거는게 정말 문제입니다. 정 쓰시고 싶으시면 인터넷을 꼭 끊고 쓰시길… 그리고 자동업데이트 옵션도 반드시 꺼놓으셔야 합니다. 켜놓으면 프로그램을 안쓰더라도 업데이트이 알아서 정보를 SW에 보내버립니다.

    • spss 203.***.170.134

      답변 감사합니다. 인터넷 끊으면 감시가 안되나 보네요
      그런데 소프트웨어가 무설치 파일인데 이래도 걸리나요??

    • 무권유죄 67.***.2.152

      소프트웨어 설치시 이용자 약관에 보면 정보를 컬렉트하는지 안 하는지 나와있씁니다. 컬렉트하는 곳도 있고 안 하는 곳도 있고. 예를 들어 마이크로소프트는 그 어떤 사용자정보도 컬렉트하지 않습니다. 불법소프트웨어 사용도 모니터링하지 않습니다. 철저하게 신고바탕과 외주오딧회사와 연계해서만 하지, 프로그램에 모니터링 모듈 깔거나 하지 않습니다.

      주로 인터넷, 토렌트등에서 받는 크랙소프트웨어가 문제가 되는데, 외주 오딧회사, 레세일러들이 보통 여기다 바이러스를 심어 뿌리기도 합니다. 그래서 상업적 목적으로 쓰이는 정보가 넘어가게 되고 BSA나 직접 전화나 소송하겠다는 변호사의 협박 편지를 보냅니다. 여기까지서 그냥 미그적 뭉개면, 거의 절반은 포기하고, 소수는 돈 됀다 싶으면 소송으로 가겠죠.

      크랙소프트웨어를 정 써야할 사정이라면 깔기전, 깔고난후 바이러스 스캔꼭 하세요.

      무설치 프로그램이라도 인터넷에 연결되면 정보를 보내는데 주로 오딧목적이 정보는 제한적입니다.
      얘를 들어 윈도우설치때 입력했던 organization, user name, 시간대, mac어드레스, IP주소입니다. IP주소는 프락시 소프트웨어와 병용할 경우 숨길 수 있으나, 학교에서 이미 설치한 os일 경우 organization이름 때문에 학교나 큰 사업체들이 쉽게 잡히는 경우도 많아요.

      이런 불법 소프트웨어가 아니고, 무설치프로그램이라면, 나중에 큰 문제가 됄리는 없겠고, 학교내에 자체적 유저오딧에서는 주로 EXE 설치파일 실행이나 잘 알려진 메신저 등을 모니터링 합니다. 연구소라든지, 중요한 내부정보가 관련됀 곳이라면 더 강화하겠죠. 키보드 친 내용, 인터넷 방문 기록, 어떤 프로그램이 시간대별로 실행되었는지. 이런 내용까지 전부 오딧할려면, 인원이 많을 경우, 일일히 보는 것은 불가능하고 주로 필터링을 그 위에 씌웁니다. 예를 들어, 약개발업체다 그러면 제약관련 단어를 가능한 많이 집어넣고, 키보드내용을 필터링하거나, 파이낸스회사면, 그 관련, 크레딧넘버등, 여러 패턴들을 씁니다.
      100명 이상의 일반 업체의 그리 중요한 내용을 담고 있지 않은, 그 컴퓨터시스템 자체보호가 우선시 된다면 이런 키보드내용도 모니터링 안 하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