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실히 모든게 한국이 상향 평준화 되어있다는 느낌을 많이 받는다.

  • #3683347
    기모링 199.***.225.108 1449

    본인은 한국에서 대학과정을 모두 마치고 미국으로 날라온지 7년차

    최근 한국에서 토스, 크래프톤, 카카오에 지원하여 과제 및 코딩테스트를 봤다.
    정말 어려웠고 정답률은 50% 정도에 그쳤다.
    스스로 부족함을 느끼게해준 시간이였다.
    Leetcode로 친다면
    Easy, Medium, Medium-hard 수준의 문제였다.

    최근 일주일동안 미국에서 마이크로 소프트, 골드만삭스로부터 폰스크리닝 통과 후
    코딩테스트를 진행하였다.
    모두 100% 맞췄고 성능 및 효율성 테스트 또한 완벽히 풀어냈다.. 심지어 시간도 남았다.
    체감상 문제 수준은 Easy, Easy-Medium 였다.

    미국에서 가장 큰 기업이라고 매우 쫄아있었는데… 말이다

    여하튼 이런 사소한 것을 통해 느낀 점이 있었다.
    한국에서 연대 고대 한양대 숭실대 한양대 사람들과 교류를 했을때 정말 똑똑하다는 느낌을 많이 받았다.
    그렇다면 서울대 카이스트 성균관대 사람들은 상상이 안갈정도로 넘사벽이라는 것을 느끼게 해준 스마트 가이들이 많았다.

    그러나.. UCI, UCLA, UC 버클리(문과) 학생들과 교류했을땐 딱히 똑똑하다는 느낌을 받지 못했다..
    심지어 에세이를 그렇게 쓴다고하는데.. 딱히 논리적이지도 않았다.
    미국에서 나름 이름있는 학교 졸업생들인데도 말이다. 오히려 UCSD 사람들이 스마트했음..

    이것은 내가 살고있는 좁은 세계관일뿐이며, 이것을 일반화 시킬 생각은 없다.
    그러나 정말 대단한 나라라는 것을 다시 한 번 느낀다.
    난 국뽕이란 1도 없는 사람이다(흉기차 싫어함 절대 안삼)

    • 2222 173.***.229.14

      사람 갈아서 먹고 사는 나라니까 ㅇㅇ 미국에서 막말로 영어만 잘하면 인서울정도만 나온 한국사람들은 여기서 성공할 확률이 엄청 높다, 근데 문제는 영어를 잘 못한다 ㅋㅋ

      • 기모링 199.***.225.108

        이 말에 정말 공감해요 ㅋㅋㅋ
        근데 사실 영어라는게 공부로 극복 가능하지만
        공부보단 환경이 더 중요하잖아요 언어라는게…
        정말 안타까운 민족이에요.. 노력에비해 혜택은 못누리는 ㅠㅠ

    • 174.***.115.211

      동감.

      수니버팔로 나온 브래드 영어 쳐하는거 보소.
      논리없는거 보소.

    • 352 98.***.173.102

      근데
      이 나라에 사법부 정치계를 한번 보면 더 놀랍다. 이 멍청한 애들이 판사하고 변호사하고 정치를 한다. 그러니 보통사람들이 송사에 한번 얽히면 엄청고생한다. 다 돈으로 쳐발른 나라인데 달라를 지들 맘대로 찍어낼수 있어서 지끔까지 굴러온 나라다. 달라찍는다는건 다른 뜻이 아니라 다른 나라로부터 그냥 착취한다는 말이다

    • 올라아미고 98.***.109.4

      한국 훌륭한 나라 맞아요. 하도 불평들을 해대서 그렇지, 사실 그만큼 발전하고 잘 사는 나라가 어디 많은줄 아나요?
      한국의 웬만한 청년들, 미국 처럼 기회를 주면 잘 해낼 사람들 많아요.

      그런데, 한국하고 미국 비교는 그런식으로 1:1 비교하면 에러. 사회 구조가 달라서 그렇죠. 여기는 순위대로 줄세이고 좋고 나쁨이 결정되지 않거든요. 내가 대학원 때 한국에서 석사 마치고 박사과정 온 (서울대 70%, 나머지 연고대 카이스트 포공) 학생들 보면 똑똑합니다. 그런데 그런 말이 있어요. 처음에는 미국 학생들보다 수학을 잘합니다. 너는 그것도 안배우고 여긴 어떻게 들어왔냐 그런 생각도 드는 애들도 있어요. 그래서 숙제하며 한국 학생들이 가르쳐주고 그러죠. 1-2년 지나면 그게 뒤집히는 경우가 종종 있어요. 걔네들은 생각하고 응용하고 이용하는데, 한국 학생들은 문제 풀이하는 수학에서 아주 많이 발전을 못하는거죠.

      만약에, 사회가 어떤 한 종류의 기준으로 한 시기에 능력 평가를 하고 줄을 세운다면, 그리고 그 순위가 나머지 삶에 지대한 영향을 준다면…. 저런 나중에 급발전하는 학생들이 기회를 얻기 힘들겠죠. 미국은 학업도 그렇지만, 여러가지 면에서 그런게 가능하고 허용되는 곳입니다.

      한국이 상향 평준화 되어 있는건 대체로 맞습니다. 미국은 탑 스쿨도 그런 정도까지 평준화가 되어 있지 않습니다. 의도적으로요.

    • 32423 73.***.178.169

      마이크로 소프트하고 골드만삭스가 좋은 회사이긴 한데 코딩 인터뷰 난이도는 두 회사 다 매우 낮은편이라.. 비교 대상을 잘못 잡으신듯 싶네요.

      • 기모링 199.***.225.108

        넵 인정하는 부분입니다

        메타, 넷플릭스, 구글등 코테가 어려운 회사들이 있죠
        물론 카카오, 쿠팡, 배민 같은 경우에는 위에 회사들과 비교를 하는게 맞다라고 생각합니다.

        골드만 삭스야 그렇다쳐도.. 마소까지 이렇게 쉬울줄은 몰랐네요

    • 샤대 47.***.238.36

      석궁관대를 서카와 묶냐? 석궁관 출신인가?? 연고대 아래인데.
      서성한하고 같이 묶어야지.

      • 기모링 199.***.225.108

        요즘 성균관 공대가 연대보다 들어가기 힘듭니다.
        지각변동이 많이 일어났어요
        모르면 구글링부터하시고 비판하시죠

    • ion 211.***.159.167

      코테 수준으로 비교하면 안 돼요.. ㅠㅠ 게다가 FAANG도 아닌 회사들과 네카라쿠배를 비교하는것도 안 맞고요

    • 성훌 117.***.17.140

      워킹us에도 성훌이 있네… 당장 22년 입결만 봐도 성대는 저 아래 있구만… 성수공이 무슨 연고대 넘는다는 소리를 하고있냐..개가 웃고간다

    • zzz 198.***.34.99

      와 미국이 얼마나 좋아요. 코딩테스트도 한국보다 쉽고 돈도 많이주고 ㅋㅋㅋㅋ

    • ㅇㅇ 59.***.53.244

      진짜 헬조선이 따로없습니다.. 네카라쿠배 채용규모? 다합쳐도 아마존만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