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베라크루즈 VS 기아 모하비

  • #9384
    주재원 12.***.154.5 9351

    제목처럼 어떤차가 여러모로 좋은지 한번 고수님들의 의견을 듣고자 합니다.

    둘 중 하나를 사서, 좀 타다가 한국으로 가져가고 싶은데…참 결정하기가 힘드네요. 사실은 현대 아제라도 후보에 있지만, 아제라는 세단이라 군이 다르기에 뺐습니다. 이래저래 나름 비교해 봤는데…고수님들의 주옥과 같은 고견거침없이 들려 주십시오….꾸벅 :) 여긴(인디애나, 인디애나폴리스)이제 아침,저녁으로 많이 쌀쌀해 졌습니다. 곧 하얀눈이 엄청 오겠네요…미국와서 눈 구경은 원없이 하는 것 같습니다…고향이 남쪽이라 한국선 거의 눈 못보고 살았습니다. 사설이 길었네요…그럼..

    • 주재원 98.***.50.167

      너무 진부한 소재라서 그런지 댓글이 없네요…….

    • 호랭이 161.***.73.45

      쉬운 문제로 보입니다. 미국 수출용 모하비(보레고)는 완전히 짐차로 세팅이 되어져 있습니다. towing capacity가 무식합니다. 그래서 마일리지도 좋지 못합니다. 한국가서 의자접고 납 배달 할 차량이 아니면 적절하지 못합니다. 즉, on-road용으로 개발된 베라쿠르즈와는 완전히 concept이 다른 차입니다. 베라쿠르즈로 가시면 됩니다. 베라가 가격대비 아주 좋은 차입니다. 게시판에서 모하비로 검색하며 좀 더 자세한 정보가 있을 듯 합니다.

    • nysky 208.***.222.198

      미국에서 가끔 캠핑카로 쓰고 싶을땐 모하비가 괜찮은 선택이겠쥬??
      그래도 MDX 랑 가격차이가 별루 안나서… ㅡ,.ㅡ 선택하기가 쉽지 않다는 ㄷㄷㄷ

    • 참고 211.***.189.226

      귀국시 반입해서 계속 타실 요량인지 아니면 중고로 넘기실 요량인지는 모르겠으나, 이점이 변수가 될 수도 있겠네요. 어차피 중고시장에서도 아제라, 베라크루즈북미용으로 따로 시장가격이 형성되기에 국내 내수용 그랜져나 베라크루즈와는 사양에 따른 가격차이가 존재합니다. 아제라는 내년4/4분기 국내시장에서는 단종후 풀모델체인지가 예정되어있고, 베라크루즈도 연식변경이 예정됩니다. 보레고는 프레임바디구조라서 전형적인 트럭베이스suv이고 베라는 승용차처럼 일체형구조이지요..장단점이 있습니다만 요즘은 그 차이가 많이 줄어든게 사실이구요, 내수용은 어차피 두차량모두 디젤엔진이 거의 98%이상 판매되지만 북미시장에는 휘발유엔진이니 정숙성이나 승차감 등이 국내용과는 확연히 다릅니다. 특히 모하비의 경우 에어서스펜션을 디젤모델에는 채용하지만 휘발유모델에는 없어도 상관없을 정도로 승차감이 보존됩니다. 물론 차체구조에 따른 연비문제는 베라가 우세할테고, 디자인도 확연히 두모델이 차이가 납니다. 안전도면에서는 국내에서는 모하비(*보레고)를 조금더 우세하게 쳐줍니다. 바디자체의 강성과 특히 전복위험성이 높은 suv차량의 특성상 전복방지장치의 유무를 많이 따지는데, 단순 롤오버장치는 두 차량이 다 장착이 되어있는지 모르겠지만 이것만 보지 마시고 에어백장치에 롤오버기능이 있는지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내수용에는 베라크루즈는 이게 빠져있습니다. 모하지에는 있구요. 수출용은 어떤지 모르지만 확인필요합니다. 하여튼 솔직히 말씀드려서 두차량 모두 국내반입후 쭈욱 이용하실거면 몰라도 그렇지 않을 경우는 고급사양의 부재와 엔진의 차이 등으로 인해 판매하실때는 별 이점이 없다는 것 참고하시구요…판매용으로는 베라가 조금 더 잇속이 있지만 당장 모하비의 신규고급사양을 내수용은 2009년모델에 추가도입예정이고 수출용과 내수용은 어차피 그 차이가 크네요…오프로드 성능은 내수용에서는 솔직히 제값못한다는 지적이 많았습니다…

    • 주재원 12.***.154.5

      여러 분의 고견 감사합니다. 전 당장은 살 생각이 없고 내년 이맘때쯤 사서 몇개월 타다가 한국으로 가지고 갈 예정입니다. 한국에선 제가 쭈욱 탈 생각이고요.
      베라로 가는게 좋을 것 같네요…그런데 참고님, 베라 연식변경이 언제쯤 이뤄질지 대강이라도 아시는지요? 베라는 09모델이라는 말 자체가 없어서 내년 이맘때 쯤 미국시장에 10년(2010)식이 나올지 궁금하네요….호랭이님의 짧지만, 핵심적인 내용에도 감사 드립니다. 한국에서 소나타 고급사양 살 돈으로 여기선 베라를 살 수 있으니…..아무튼 감사한 일이네요…휘발유, 경유값도 이젠 별로 차이도 안나고…연비야 당연 경유가 좋지만, 차 값이랑 수리비 생각하면 가솔린 베라도 한국에서 타기에 좋은 것 같습니다.

    • 호랭이 161.***.73.45

      베라 face-lift 모델은 내년 하반기에 출시되고 수출용은 2010년 상반기에 출시 될 것입니다.

      참고님, 저가 그냥 지나갈까하다 틀린부분이 많아 다른 분들을 위해 몇가지 지적하겠습니다.

      “보레고는 프레임바디구조라서 전형적인 트럭베이스suv이고 베라는 승용차처럼 일체형구조이지요..장단점이 있습니다만 요즘은 그 차이가 많이 줄어든게 사실이구요”
      => 베라는 서브 프레임이 들어간 모노코크 바디인데 둘은 차이가 많습니다. 저가 위에서 언급했듯이 보레고는 짐차로 세팅되었는데 대표적인 예가 프레임바디 구조입니다. off-load와 짐을 많이 실으면 차체변형이 올 수 있는데 이를 감당할 수 있는 바디가 프레임이지요. 하지만 사고시 차체는 변형이 적지만 충격을 제대로 흡수 못해 사람들이 많이 마칠 확률이 높습니다.

      “내수용은 어차피 두차량모두 디젤엔진이 거의 98%이상 판매”
      => 이건 어디서 나온 자료인가요? 저가 한국의 베라 동호회 회원인데 회원이 2만3천이 넘습니다. 98%이상이 디젤엔진이라는 것은 말이 안됩니다.

      “특히 모하비의 경우 에어서스펜션을 디젤모델에는 채용하지만 휘발유모델에는 없어도 상관없을 정도로 승차감이 보존됩니다.”
      => 에어서스펜션과 디젤/휘발유 모델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안전도면에서는 국내에서는 모하비(*보레고)를 조금더 우세하게 쳐줍니다.”
      => 위에 언급했듯이 (아시듯이) 보레고는 프레임바디 구조입니다. 이게 안전도면에서 좋지가 않습니다. 미국 SUV 사망사고 통계만봐도 확연히 알 수 있습니다. 프레임바디 구조 SUV가 사망률이 월등히 높습니다. 그리고 iihs.org에서 아직 안전도 테스트가 끝나지 않은 상황에서 특정 차량의 안전도를 언급하는 것은 적절하지 못합니다.

    • 주재원 12.***.154.5

      원글 입니다. 호랭이님의 지적 감사합니다. 여기와서 보시는 분들께 많은 도움이 되리라 확신합니다. 이왕이면, 신형인 Face lift된 모델을 사서 가고 싶은데…저의 귀국 일정 상 내년 이맘 때쯤 사야 되기에…그의 끝물의 베라를 사게 되겠네요..가격은 좀 더 착해질 수 도 있겠지만…..저도 개인적으로 베라에 조금 더 좋은 점수를 주고 있었는데. 이제 확실히 베라로 가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한국에서 돌길로 다닐일도 없고, 뒤에 뭐 달고 다닐일도 없고…베라로 갈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