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외국인 학교 어떤가요?

  • #2824388
    education 174.***.144.51 9202

    미국 한국 교육환경 비교 중에 한가지 궁금한 게
    한국에 있는 외국인 학교 교육환경이예요.
    한국에서 미국 혹은 유럽식 교육을 받고 외국 대학에
    진학을 할 수 있다라고 막연하게 알고 있는데요.
    혹시 외국인 학교를 나온신 분들의 경험담을 알고 싶네요.
    특히 궁금한 것은 일부에서 얘기되는 것처럼 한국의 극부유층
    자녀들이 다수를 차지하는 지. 학비는 미국 사립 고등학교하고
    큰 차이가 없어서 한국에 돌아갈 경우 외국인 학교를
    생각하고 있는데 학교 분위기가 저희가 적응할 수 있는지
    궁금하네요

    • 1 100.***.85.4

      한국 학생과 미국 학생들의 나쁜점들을 모아둔 곳.

    • soon 67.***.134.213

      국제학교는 외국인 내국인 다 들어갈 수 있구요. 외국인학교는 내국인은 입학하지 못하는데 요즘은 내국인 학생들도
      받아들인다고 하더라구요. 물론 합법은 아닙니다만 요즘 워낙 외국에서 살다 온 학생들이 많고 국제학교의 수용능력이
      많이 떨어져서 그런지 외국인학교에 들어가는 내국인 학생들이 많다고 합니다.

      두 학교에 대한 정보는 네이버에 외국인학교나 국제학교를 치면 정보가 쫙 뜨니 거기서 알아보는게 더 정확합니다.
      학비는 일년에 가볍게 천은 넘는다고 하던데 우리나라 교육부의 학력인증을 받지 않은 학교들이 대부분이라 우리나라 대학에
      가려면 검정고시를 쳐야 한다는 것 염두에 두셔야 하고, 미국대학은 상관없다고 알 고 있지만 혹시 모르니 미국에서도
      학력을 인정하는지 확인해 보셔야 합니다.

      어디나 인기 있는 학교는 돈이 있어도 들어가지 못할 정도로 경쟁율이 치열하기에 여러 학교를 알아 보셔야 합니다만
      교과과정이나 시설은 직접 보지 않는 이상 여기서 알긴 힘들어요. 인터넷으론 잘 되어 있는 것 처럼 보이는데 실상은
      그렇지 않은 곳이 많습니다.

    • 외국인학교 졸업생 98.***.142.18

      안녕하세요. 제가 외국인학교 졸업하고 미국으로 대학을 온 케이스예요. 자녀분을 어느 외국인 학교로 보내느냐에 따라 부유층이 대부분인지 아닌지 갈릴것 같아요. 흔히들 외국인학교 나왔다고 하면 엄청 부자인줄 아는데 아닌 경우도 있어요.

      어디를 염두해두시는지는 모르겠지만 자녀분이 시민권자가 아니고 고등학생이시면 잘 알려진 외국인학교는 힘드실거예요. 제가 그랬거든요. 10학년때 미국에서 한국으로 나와야 할 일이 생겨서 알아봤는데 성적이나 다른게 다 좋음에도 불구하고 시민권자 (외국인이 아니고) 너무 고학년이라 자리가 없다구요. 아무래도 학교 측에서는 외국인:내국인 비율을 봐요. 그래서 순수 외국인을 더 받으려고 하는게 있어요. 그래도 지금은 바뀌었을수 있으니 알아보시는게 좋을 것 같아요.

      적응면에서는 아이 나름이예요. 적응을 잘하는 아이가 있는 반면 못하는 아이도 있어요. 학교 정하시기전에 리스트 뽑으셔서 직접 방문 후 아이의 의사에 따라 결정하시는게 나을 것 같아요. 저는 교과외 활동 같은거 하면서 여기저기 외국인 학교들을 많이 방문했었어요 대회나 그런게 저희 학교 외의 학교에서 열리는게 많아서요. 그때가서 느낀거는 정말 미국 학교 저리가라 할 정도로 시설면에서 엄청 좋은 학교들이 많아요. 아이가 몇 살인지는 모르겠지만 직접 카운슬러도 만나보고 학교 분위기도 보고 정하는게 제일 좋을 것 같아요. 주로 한번 들어가면 졸업할때까지 다니더라구요 별 특별한 일이 있지 않는 한이요.

      그리고 위에 Soon님께서 말씀하셨다시피 국내에 있는 대학에 가려면 검정고시를 봐야하지만 미국으로 가려면 볼 필요 없어요. 제가 졸업할때 추후에 한 외국인학교에서 한국사 과목을 넣는 조건으로 교육부에 한국학력 인증해달라는 청원서를 낸다고 했었는데 지금 그게 실행이 됬나 안됬나는 모르겠네요. 그리고 국제학교는 되도록이면 피하세요. 국제학교는 말이 국제학교지 거의 대안학교 개념으로 보시면 되요. 대안학교를 비하하는게 아니라 거의 국제학교로 빠지는 아이들은 말그대로 외국인학교 입학조건에 해당되지 못해서 국제학교로 가는거예요. 외국인학교 입학조건을 충족하시면 외국인학교로 보내세요. 국제학교랑 외국인학교를 구별하시는 방법은 입학요강에 보시면 내국인의 경우 해외 거주 3년이 되어야 한다고 나와있으면 외국인학교예요. 대표적으로 예를들자면 KIS, SIS, SFS, YISS, GSIS, TCIS, ICS-UJB, ICS-Pyeongtaek, CCS, Dwight International School, 등등이예요.

      외국인학교에 대해 궁금하신점 있으면 더 말씀해주세요! 자세히 알려드릴께요!

    • 외국인학교 졸업생 98.***.142.18

      아 그리고 제가 쓴거에서 좀 더 덧붙이자면 몇몇 분들이 잘못 알고계신게 있는데 외국인학교 내국인도 입학 가능해요. 다만, 해외에서 3년이상 합법적으로 체류를 하면서 학교를 다니고 그거를 증명할 서류가 있어야해요. (주로 성적표가 되겠네요). 저도 한국 시민권자인데 해외 체류 3년이상 하고 학교를 다닌 기록이 있어서 들어갈수 있었어요. 그리고 불법적으로 들어갔다고 해도 언젠가는 걸립니다. 예전에 2008년인가 2009년에 에콰도르인가 어느나라 시민권 위조로 만들어서 들어간 한국 학생들 걸리자마자 다 퇴학처리 됬습니다. 불법적인거는 아예 생각을 안하시는게 좋을거예요.

    • 궁금이 168.***.31.129

      안녕하세요. 저희 아이가 미국 시민권자(이중국적)이고 현재 미국에서 학교를 다니고 있습니다. 하지만 체류기간이 총 3년은 되지 않는대요. 이럴 경우 외국인으로 외국인학교 입학이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 외국인 학교를 알아보려는 학부모 74.***.219.5

      안녕하세요, 미국에 사는 미국 시민권자인데 갑자기 한국에 한 6개월 나가야 할일이 생겼읍니다. 딸아이가 고등학교 1학년생인데, 외국인 학교를 알아봐야 해서요. 미국에서 영재 학교를 다녔기에 혹시 외국인 학교중에 영재 학교가 있는지, 그리고 외국인 영재학교를 보내려면 지금 준비해서 9월에 넣을수 있는지에 대해 알고 싶읍니다. 아시는 분이 있으면 답글 남겨주세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