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0-06-0913:32:37 #3479080송금 76.***.193.108 3485
보통 은행에서 했는데, 보내는 사람 받는 사람 다 수수료 내야되고 하잖아요..
요즘 들어 라디오에서나 페북에서나 WireBarley라는게 광고를 많이 하는거 같은데..
혹시 써 보신 분 있으세요? 은행에서 송금하는 것 만큼이나 안전한가요?많이들 쓰시는 방법 있으시면 공유 부탁드립니다.
어제 갔던 은행에서는 수수료 $25이나 한다네요..
-
-
검색 좀 하세요.
일주일에 2~3번 씩 올라오는 질문 -
카카오뱅크 쓰는게 제일 편한것같아요
-
감사합니다.
123님. 미국에서 온라인으로 카뱅 계좌 개설 가능한가요? 카뱅에 계좌 개설해서 미국에서 그리로 송금하시거 말씀이신거 맞나요?
고갱님님.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한국 가서 미래에셋대우 계좌를 개설해야할 것 같네요.. 공인인증서 같은 것들이 다 만료되서..참고로, 집 사기 위한 큰돈 같은 것 말고 그냥 $5000 미만으로 보내고 받고 할 일이 꽤 있을 것 같아서 질문 드렸습니다.
-
sodatransfer.com
WireBarley
Zoom
wiretransfer
limitely -
xoom 앱을 이용해 미국에서 한국으로 두번 연속 따로 보냈는데 한번만 $4.99 가 charge 되었어요. 받는사람 따로 내는 fee 도 없었어요. 얼마 이상 액수가 커지면 한국에서 받는 사람 본인 인증 해야하는 절차는 있었습니다.
-
최근에 레미틀리를 소액 송금용으로 (20만원) 사용했는데 다른데보다 환율+수수료 가 약간 더 저렴했습니다.
구글에 Remitly 쓰시면 나올겁니다. -
Transferwise.com으로 하시면 받으시는 분은 아무 것도 안하셔도 국내에서 통장으로 계좌이체되는 것처럼 돈이 들어 온답니다. 미국에서 보내시는 분이 트랜스퍼와이즈 앱에 가입하셔서 보내시면 되요
받는 분의 은행계좌번호, 은행명, 영문 이름만 있으면 여기서 보내시면 되구요. 받는 분은 그냥 나중에 통장확인하시면 돈이 들어와 있다고 그러더라구요. 저도 부모님이 연로하셔서 이렇게 보내고 있어요전 부모님께 송금할 때 웨스턴 유니온 썼었는데, 요즘 코로나 때문에 은행에 가질 못해서 찾아낸 온라인 송급 앱인데..Transferwise.com요, 큰 은행이라고 하더라구요…안전하고 4번 보내 봤는데 잘 들어 갔어요. 부모님 통장에 직접 입금되서 부모님은 별달리 하실 일 없구요 받으시는 분 수수료 안빠지구요. 은행 계좌번호만 알면 되요
리퍼럴 받으시면 첫번째는 수수료 면제고 그 다음에도 다른 곳보다 수수료가 싸고 보내실 때 어떤 환율이 적용되는지 아실 수 있어 좋아요…기준환율 가깝게 환율 적용해 줘서 다른 은행보다 더 이익이구요. 무엇보다 받는 분이 아무 것도 안하고 받으시는 분 통장에 이체되는 것 처럼 돈이 들어 온데요…수수료도 안 빠지고… 보낼 때 여기서 수수료가 빠지는데…리퍼럴 코드 쓰면 그것도 처음은 공짜고 나중에도 다른 곳보다 싼 것 같아요.
단, 단점은 한국돈 950,000원이 한번에 보낼 때 최대 금액이라 그 이상 보내시려면 여러번에 나눠서 보내야 합니다.https://transferwise.com/invite/u/440107c
이 리퍼럴 코드 사용하셔서 가입하시면 첫번째 수수료 면제구요…귀찮아도 남편이름으로 어카운트를 하나 더 여시면 그쪽으로 보낼 때도 수수료 면제 받을 수 있구요 매번 환율이 다르니 많이 보내실 때에는 환율 올랐을 때마다 한두번씩 나눠서 보내시면 괜찮아요
받으시는 분은 아무 것도 안하셔도 되구요 부모님 말로는 KB 국민은행 쓰시는데 받는 쪽은 수수료도 안 뗀다네요. 그리고 보낼 때 보내시는 분이 환율과 수수료 등이 다 보여서 최종적으로 얼마를 받으시는지가 다 보여서 좋아요.
그 외 한국 벤처기업인 wirebarley인가는 받는 사람이 인증을 해야 해서 부모님이 인터넷에 익숙치 않으시면 불편하구요…이 두 곳의 환율은 둘 다 괜찮아요 다른 곳에 비해서…페이팔이나 다른 곳은 환율에서 좀 떼어 먹는 것 같구요. 하지만 거액이 아닌 이상 환율차이는 거기서 거기인 듯 싶어요.
웨스트 유니온은 찾을 때 부모님이 원하시면 달러로도 찾을 실 수 있는데…보통 한국에서는 원화로 찾으시는데 찾는 날 해당 환율을 적용받는데 아무래도 좀 떼어 먹겠죠…수수료도 은행보다는 싸지만 온라인보다는 좀 더 비싸고…
암튼 요즘같은 시절에….어디 찾아 가지 않고 온라인으로 송금하기에는 제 경험상으로는 Transferwise가 좀 더 나은 것 같아요. 받는 쪽에서 아무 것도 안해도 되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