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 보통 “간수치”가 높아졌다 낮아졌다 하는 말, 미국에서는…

  • #3356856
    sf 174.***.151.59 1572

    보통 암환자들이 키모치료중에 이런말 쓰는거 들었는데

    이거 미국에서는 뭐라고 부르나요?
    피검사 애뉴얼 피지컬 검사할때 분명히 이 항목도 들어갈거 같은데, 어떤 항목을 찾아봐야 하나요? 아니면 미국에서는 내가 특별히 피검사에 이항목을 넣어달라고 안하면 안해줄거 같기도 한데…

    • 사시사철 73.***.145.22

      Hepatic function panel 넣어달라고 하면 됩니다. 6-7가지 검사가 들어갑니다.
      대표적으로는 것은, 혈액내의 간효소 수치인데, 이게 기준치보다 높으면 간세포가 손상되어 안에 있는 효소가 흘러 나오기 때문입니다. 즉, 간 손상이 있다는 증거지요.

    • 고쿠시칸토착왜구 99.***.35.41
    • 00 69.***.59.24

      윗분이 말한데로 하면 됩니다, ㅡ런면 ALT, AST (간수치)가 포함되고 엑스트라로 보통 GGT도 합니다.

      • sf 174.***.151.59

        AST, ALT 는 보니까 들어가있는데, GGT라는건 안들어있네요. (혹시 이게 토탈 글로블린 이라는건가요?)
        0~40/44 레인지중에 15/16 이라는걸로 봐서 정상치인거 같군요.

        혹시 알콜분해 효소는 뭘 검사해야하는지 아세요? 내가 워낙 술에 약해서 궁금해서요.

        HCV, Hep C Virus 라는건 뭔가요? 씨형간염인가 아니면 혹시 매독이라고 부르는건가?

    • 68.***.243.81

      annual checkup 할때 기본으로 들어갑니다. 걱정안하셔도 됩니다.
      항암치료시 백혈구,적혈구,혈소판은 기본으로 줄어들고
      약의 독성때문에 간수치가 올라갑니다.
      약의 독성과 백혈구, 혈소판 감소 때문에 2주 항암 1주 휴식기간인데, 이기간 수치가 회복이 안되면 치료가 연기되거나 임시 향상시키는 주사를 맞습니다.
      간수치같은건
      Alanine Aminotransferase
      Alkaline Phosphatase
      Aspartate Aminotransferase
      같은게 있는데, 에뉴얼 책업에 기본으로 들어갑니다.

    • 지나가다 76.***.45.241

      문.재.앙이처럼 간땡이가 부었다 란 말입니다

    • 00 69.***.59.24

      HCV 는 매독이 아니라 C형 간염입니다. 먼저 항체를 피건사하고 양성이면 예전에염을 앓아서 항체가 있기에 다시 바이러스 검사를 해서 숫자가 15 보다 적으면 츠정이 안되는 레벌로 적기에 안심해도 되고 이것보다 크면 약을 사용하여 적게 하여야 합니다, 요새는 신약이많이 나와서 치료가 거의 100% 입니다. 하지만 치료가 끝나도 힝체는 계속 양성으로 나타 납니다. 다시 말해서 양성이고 바이러스 숫자가 15보다 크면 간염이고 더 진행되어 간경번이되고 이후에 간암 이런식으로 진행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