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 엔지니어링 전공에 수학이 중요하다고 해서 왔는데 실망입니다.

  • #3776515
    dee 172.***.96.210 2446

    안녕하세요 미국 학부레벨 ME 전공 하고 있는 2학년 학생입니다.

    중고등학교때 공대 전공 수업 따라가려면 수학이 엄청나게 중요하다는 말만 듣고 살아서 물리 보다는 수학만 집중적으로 열심히 팠는데 막상 대학 와서 전공책 펼쳐보고 공부해보니 수학을 그냥 중구난방 필요한 것만 골라서 쓰는 일종의 도구 같이 취급하는 거 보고 조금 현타가 옵니다.

    수학이 안 중요하다는 소리는 아닙니다. 알고 보니 사람들이 강조하던 잘 해야 된다는 의미가 미적분과 미분방정식의 모든 기본개념들을 완벽히 숙지하고 그냥 A 받을 정도로만 잘하면 된다는 소리였고 저는 솔직히 수학에 있는 모든 topic 들을 증명과 함께 엄밀하게 쓰이는 줄 알고 겁을 잔뜩 먹고 미리 철저히 준비해놨는데 그냥 오히려 물리의 Classical Mechanics 파트가 제일 중요하더라고요. 수학은 솔직히 과장 좀 보태서 필요한 것만 알면 될 것 같은 느낌입니다. 그리고 저는 이게 좀 싫어집니다. 마치 뭔가 흥미에 안 따라주는 느낌이예요.

    아직 2학년이라 감이 제대로 안오는데 수학을 마치 도구처럼 막 빌려다 쓰는 이 느낌은 언제 사라지나요? EE 전공은 좀 더 수학적이고 abstract 하나요?

    같은 ME 전공으로 대학원에 가면 좀 달라질까요?

    뭔 얘기하는지도 모르겠고 질문 자체가 바보 같이 들릴 수 있는데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공대는 다그래 209.***.176.198

      그게 시르면 전공을 Mathmatics 나 Physics 로 바꿔.

    • 공대는 다그래 209.***.176.198

      그게 시르면 전공을 Mathmatics 나 Physics 로 바꿔. 공학은 과학이랑 달라 그런 점에서

    • 노가다 172.***.22.182

      뭔소리들 하는거냐?
      날씨 좋다 이쁜 아줌마 랑
      여행가면 좋겠는데

    • 흠… 73.***.238.139

      공학에서 수학은 mechanics 를 이해하기위한 도구입니다. 공학은 수학을 활용하여 applications 를 만드는 학문입니다. 수학자체에 흥미가 있다면 싸이언스나 매쓰로 전과를 하시는게 낫습니다.

    • 76.***.207.158

      공대는 다그래. 컴싸나 ee는 더 심하고.

      수학과쪽 가든지 물리과 양자역학 한번 들어봐. 아니면 혼자 수학 공부해보던지. Geometric Algebra, Combinatorics, Graph theory 이런것도 혼자공부하기 재밌을듯.

    • ㅇㅇ 73.***.17.211

      말씀하시는 수학 과목은 엔지니어 필수 수학 과목 보다는 수학과 전공과목에 가까운것같은데 복수 전공을 해보는건 어떨까요? 겹치는 과목이 많아서 엔지니어 본 전공 + 수학 더블 메이저 혹은 마이너 하는 경우를 종종 봤습니다

    • 공업수학 202.***.150.19

      엔지니어라면 응용만 잘하면 됩니다.
      물론 프로페서가 목표라면 이야기는 달라지겠죠.

    • 47.***.234.227

      공업수학이 엄청 어려운 거 맞는데 수학과에서 본다면 당연히 아주 좁은 특정 분야죠. 이게 아쉬운 정도가 아니라 실망스러운 수준이라면 본인 전공은 기계공학이 아닌 수학이 맞네요. 공대에서의 수학이 응용 (tool)인 건 너무 당연함. 그것도 어렵고 싫은 사람이 대부분.

    • aaa 172.***.8.156

      1. 공업 수학은 그냥 복잡한 산수입니다. 그렇다고 이게 싫다고 수학으로 전공 바꾸는건 추천 못하겠습니다. 둘 사이는 전혀 다릅니다. 수학은 해가 존재하는지 않는지도 알지 못하는경우가 대부분입니다.
      2. 둘 사이 적당하게 물리학과에서 필요한 수리물리학은 조금 더 수학적으로 엄밀합니다.
      3. 어느 전공이든 깊이 있는 학문을 하는게 목표라면 수학적 공부를 좀 하는게 지적인 트레이닝에 도움이 됩니다. 공대 교수들 중에 수학, 물리학으로 박사 받은 사람들도 꽤 있을겁니다.

    • 76.***.207.158

      공업수학도 재미없지만
      솔직히 ME에서 배우는 과목들 진짜 재미없다. 키네마틱스부터 재미없지.

      근데 로보틱스로 시야를 높이고 넓히면 아주 재밌어질거 같은데? 로보틱스에서 쓰는 수학은 기하학중에서도 아주 재밌는 다양한 고등 수학분야를 알아야하지. 코딩도 잘해야 하고.

    • 1234 155.***.129.241

      Engineering (공학)의 개념을 명확히 이해하셔야 될 것 같습니다.
      본인이 공학자로서 적성에 맞는지를 잘 확인해보세요

    • 참조만 121.***.195.67

      수학을 현실적인 모델에 맞게 잘 응용할 수 있는 것도 재능이죠. ME보다는 EE가 더 수학적이긴 한데 기본적으로 수학의 필요한 부분을 응용하는 것은 같죠.

    • Chisato 140.***.198.159

      >공대는 다그래. 컴싸나 ee는 더 심하고.

      공대는 대부분 그렇죠. 도구로써 필요한걸 사용하는 것 뿐이니까요. 그런데, CS는 공학적인 응용 부분이면 역시 비슷하지만, 계산 이론쪽은 다릅니다. 수학자들도 많이 같이 연구하죠. 학부 레벨에서는 제한적이지만요.

      수학을 깊게 이용하는걸 원한다면 공대쪽은 제한적일겁니다. 물론 수학 잘 하는 사람들이 유리한 부분들이 있으나, 원하시는 것과는 많이 다를겁니다. 어느 학교를 다니시는지 모르겠으나, 공대내에서는 CS의 이론쪽 교수가 좋다면 그쪽을 살펴보고 흥미가 있냐 보세요. Number theory 같은거 관심있으신가요? 이쪽이 아니라면 Physics로 가야 수학이 좀 더 깊게 사용될겁니다. 아니면 아예 수학과로 가시던가.

    • 65 24.***.18.91

      미리 철저히 준비해왔다는 부분에서 피식.
      지금 2학년이면,
      교양과목 열라 듣고, 전공은 lower level정도 듣고 있을텐데,
      도대체 전공에 대해 뭘 안다고 평가를?

      • ㄷㄹ 76.***.207.158

        원글이 천재일수도 있쟎아요? 난 천재아니어도 예전 학교다닐때 기억해보면 아프켄 수리물리책보다가 공업수학 책보면 무슨 수학공식 정리해놓은 싸구려 매뉴얼 같더구만… 원글이 무슨 얘긴지 알것같애. 그래도 돈벌어먹고 살려면 공대가 좋지. 그리고 천재아니면 수학쪽은 …휴 … 들어가기 겁나는 험난한길 ㅋㅋㅋ

      • 1234 73.***.23.246

        ME 로 오래전에 학부졸업까지 했는데 원글 말 맞음; 4학년까지 가도 배우는 수학은 별로 달라지는건 없음.

    • 1 192.***.206.85

      Sensor and mechanical dyamics 관련하여 math 엄청 들어간다. Nonlinear solver부터 어마하한 크기의 matrix를 효과적 실시간적등 다양하다.

      단 재료역학/열역학 제외하고

    • gma… 134.***.116.6

      뭐, 그렇게 계과에서 배우는 수학이 만만해 보이면, 나비에 스톡스 이퀘이션 일반해라도 구해보는 것은 어떤가요?
      왜 공대에 와서 증명을하고 자빠질려는 것인지 이해가 안 되네요. 일단 계산기 들고 시작하는 곳인데…

      기계과 나오지는 않았지만, 화공과나 기계과나 유체역학 배우지도 않고 그 전공에 대해서 뭐라하는 사람은… ㅎㅎ

      • ㅋㅋ 75.***.55.103

        유체역학은 유체에 대해서 뉴턴역학의 모멘텀/ 질량 보존법칙 쓴거임.

        일반해가 존재하는지 않는지 증명하는게 수학자고,

        존재하는지도 모르면서 계산기 들고 백날 들고 있어도 헛짓이지.
        헛짓 안하려면 수학을 공부해야하는거고. 물론 학부 교육과정에서는 잘 정의된 문제만 가르치니까 별 상관없겠지만.

        아무 생각없이 남들이 그러면 그런가 보다 받아들이는것보다, 글쓴이 처럼 의문을 가지는게 “학자”로서는 올바른 자세인것 같네.

    • 수학 + 공대 복수 전공하시면 대학원에서 환영할거에요~ 216.***.95.160

      수학 + 공대 복수 전공하시면 대학원에서 환영할거에요~
      “수학은 모든 이공계의 언어” 이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