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9-01-1711:11:37 #3294845ㅇㅇ 174.***.144.131 1814
얼마전에 결혼하고 아파트 계약도 몇달 남지 않아 집을 알아보는 중입니다.
눈이 많이 오는 미시간에 살고있어 HOA를 내더라도 콘도에 살려고 알아봤었는데 동네에서 따로 돈을 모아서 눈을 치워주는 사람을 고용한다고도 하네요.
혹시 이외에 다른 차이점이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
-
콘도는 가난한 사람들이 사는곳 하우스는 돈좀 있는 사람들이 사는곳
-
The main difference between buying a condominium and a single-family home is the type of ownership you receive. With a condominium you get the exclusive right to the interior space of your dwelling unit, but the land, walls, grounds, fences and facilities are owned in common with the other owners in the complex. With a single-family home you are the sole owner of the building and the land it sets on. This is called “fee simple” ownership.
-
ㅋㅋㅋ 가난한사람…나두 가난한가…45만불짜리 칸도에서 사는데…
-
-
미국의 콘도는 한국의 아파트와 비슷한 개념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한 건물에 여러 가구가 들어있고, 각 집이 각각의 재산으로 되어있지요. 주차장은 각 집당 한대 또는 두대씩 전용으로 주어지는 경우가 많고 정원이나 수영장, 커뮤니티 센터 등은 공유합니다. 반면 미국에서 아파트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매니지먼트 회사가 여러 가구가 들어있는 건물(들) 을 관리하면서 각 가구에게 렌트를 주는 식입니다.
하우스는 각 가구당 독립된 건물을 갖고 있습니다. 역시 많은 경우 커뮤니키 형태로 몇십 가구가 위의 눈 제거와 같은 공동의 문제를 해결하며 살기도 하지요.
하우스가 콘도에 비해 아무래도 옆집의 눈치를 볼 일이 없어 편하지만, 반면 본인 집건물에 문제가 생기면 스스로 해결해야 합니다. 이에 비해 콘도는 건물에 문제가 생기더라도 공동으로 사용하는 공간에서의 문제이면 HOA 에서 해결해줍니다. -
답변 감사합니다. 집건물에 문제가 생겼을시 콘도 관리측에서 처리해주는건 편할 것 같네요.
가격같은 경우는 오히려 비슷한 시기에 지어지고 방 갯수, 사이즈 비슷하고 학군 같은 콘도가 하우스보다 좀더 비싼 경향이 있던데 일반적인 것인지 궁금합니다.
-
콘도는 아파트에 사는 거랑 비슷한데 내가 사고 판다는 개념. 옆집 소음을 공유하고 따로 돈을 내는 게 아니면 주차장이 내꺼가 아님. 일단 집보다 싸고 잔디깎기, 스프링클러 관리및 고치기, 나무 가지치기, 파티오 청소 및 관리, 겨울에 눈 치우기, 에어콘, 히터, 워터 탱크등이 고장나면 몇천불들여서 수리 및 교체, 지붕 나이를 고려해서 20년쯤에 한번씩 만불 들여서 교체, …등을 안해도 됨.
대신 집값이 오르는 동네의 경우 콘도는 집에 비해 집값이 늦게 조금 오름.집은 위에 말한 집 관리에 시간과 돈을 들여야됨. 가격이 더 비싸니 당연히 매년 나오는 집세 및 집 소유자한테 부과하는 교육세 세금도 많이 내야됨.
집값이 오르는 동네가 아니라면 집은 5년이하로 살면 손해.
대신 싱글하우스는 내 맘대로 가족만의 프라이버시가 보장되고 옆집과 공유하는 벽이 없는 게 장점. 내 공간에 내 가족만 있고 남과 공유하는 공간이 최소한이되어 집에 사는 마음의 안정감을 가질 수 있는 장점이 가장 큼. 지하는 영화보는 공간, 놀이공간 사무실등으로 따로 꾸미고, 일층은 사무실, 주방, 리빙룸, 다이닝룸 으로 구성되고 이층은 화장실, 세탁실, 자는 방으로 구성되어 활용 공간이 층별로 구별 되는 장점이 있고 확 늘어남. 겨울엔 주로 이층에 있고 여름엔 주로 지하에 있어 추위와 더위를 피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음. 애들이 있는 경우 하우스의 장점이 더 생기는 데 뛰어다녀도 소음에 신경 쓸 필요가 전혀 없고 뒷 마당에서 뛰어놀아도 안전함. 집에 사는 사람들은 애들이 다들 있기때문에 이웃끼리 애들을 같이 놀게하고 연락을 서로 수시로 주고받아 정보를 빨리 공유하고 수상한 사람이 동네에 보이면 바로바로 신고해서 더 안전함. -
P.s. 제가 질문하는 콘도는 한국의 아파트 같은 건물이 아닌 일반 하우스처럼 되어있으나 콘도 회사에서 관리하는 콘도를 말합니다.
-
윗분이 말씀하신 장점이있는 일이층 지하공간 있는 곳으로 알아보구있구요 ㅎㅎ
-
콘도는 일반적으로 하우스 보다는 가격이 저렴하고요. 콘도 형태는 정말 다양해서 한국에서 오신 분들이 헛갈려 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면 아파트 같은 건물을 지어 놓고 각 유닛을 분양해서 콘도로 유지하는 경우도 있고요, 혹은 2층 건물에 한 유닛이 1층과 2층을 다 사용하지만 여러 유닛이 붙어 있는 경우도 있어요.제가 사는 콘도는 긴 3층 건물에 1층은 차고, 2층은 부억 및 거실, 서재, 3층은 침실로 되어 있어 층간 소음 같은 것은 없지만 옆 유닛과는 붙어 있고, 당연히 HOA가 건물 외벽 관리 및 각종 편의시설을 관리합니다. 게이티드로 되어 있어서 게이트 안의 규칙도 HOA가 지정하고 관리합니다.
가드닝 일이 없고, 건물 외벽 관리 등에서 자유롭다 보니 편하긴 한데, 가끔 독자성을 침해 받는 기분이라 하우스가 그립기도 합니다. 위성 디쉬 달 때, 지정한 장소 아니면 못달게 한다던가 하는 규칙이요…
-
그럼 주로 다른 점은 잔디, 눈치우기 관리를 내가 하느냐, 내 마당을 크게 가질 수 있느냐(애들 놀이터나 농구장, 나만의 자쿠지나 수영장을 만들 수 있음), 내 거라지를 차 세대세우는 싸이즈로 크게 가질 수 있느냐의 차이일듯. 보통 2대 세우고 1대 세우는 공간은 각종 집관리, 차관리하는 툴과 간단한 작업공간으로 활용하죠.
-
사려깊은 답변 감사합니다 회원님들.
찾아보니 제가 말하는 콘도는 디테치드 콘도라고 불린다고 하네요.. 마지막 하나 궁금한점은 이런 콘도의 경우에도 집 수리가 필요할시 HOA에서 수리를 해주는건지 제가 부담해야되는건지 궁금합니다.
-
HOA에 물어보는 게 제일 정확합니다. 본인 소유의 집이나 마찬가지라 잔디, 눈등 공동 공간만 HOA에서 관리비 받고 관리해주고 본인 소유 부분은 본인이 알아서 고칠 듯 하네요. 다만 집 외관의 색깔이나 소재 랑 집안 바닥등 교환하더라도 HOA의 기준에 맞춰야할 수도 있습니다. 특히 집 외관은 주변 건물들과의 색깔 조화등을 고려해서 승인을 받아야 할 경우가 많습니다. 자세한건 HOA사무실에 문의하는 게 제일 정확합니다.
-
가장 큰 부분은 본인이 소유하게 될 토지가 없습니다. 부동산이 땅값이 차지하는 비중도 큰 편인데.. 콘도는 토지에 대한 소유가 전혀 없습니다.
-
저는 타운홈에 사는데 집내부는 본인이 비용 들이고, 외부에 공용으로 사용하는 것만 HOA에서 관리하더군요..
내부에서 수도, 전기, water heater등 문제 생기면, 전부 내가 알아서 고쳐야 합니다… 하우스와 타운홈 둘다 살아 본 결과, 저는 하우스가 더 나은것 같아요.. 지금 타운 홈은 렌트지만, 주인이 게을러서, 제가 핸디맨 불러서 수리를 하고, 수리비만 청구하는 형태였는데, 아무튼, 수도, 전기 뿐 아니라 water heater등 큰 문제도 많이 생겨서, 이제 지긋지긋할 정도입니다.. 내년에 제가 산 하우스로 이사 갈예정인데, 들어가기 전에 전기와 수도는 싹 고쳐서 들어갈라고요, 지붕 문제만 없으면 그거 2개외에는 고장날만한게 없어요.. 나머지 가전은 새거로 바꾸면 되니까,,.. 사실상, 살아 보니, 타운홈이 작아서 관리 영역이 작다는 것 뿐,, 수리 할라고 핸디맨이나, 컨트랙터 상대 하는 것은 똑같습니다.. 이제는 많이 수리해봐서,, 왠만한것은 문제 생겨도 어떻게 해야 할지 바로 알겠네요.. -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콘도는 분양형 아파트.
하우스는 단독 주택.
-
질문자분이 질문하는 콘도란 외관은 하우스 처럼 생겼으나 구조상 두채가 한벽을 공유 하는 2가구1건물 형식의 콘도 같네요 그런곳은 자신이 관리하는 작은 마당과 패티오도 있을거고. 보통 근데 그런 식의 콘도는 집문제 생기면 외관문제는 hoa통해 고치고 내부문제는 본인이 알아서 해야할거에요.
-
주재원이나 동양계 회사에 근무하는게 아니라면, 향후 자녀들을 위해 하우스를 추천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