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1-03-1400:05:06 #161245ib 110.***.242.20 14511
한국에서 학부 졸업후 미국에서 대학원 졸업시 미 투자은행이나
일반은행( 뱅크오브아메리카 등)에서 취직이 가능한지 알고싶습니다
검색중 회계학 전공으론 투자은행에선 백오피스 업무로 여기는 분도 계시던데요
전공은 어떤걸 선택하는게 좋을까요?
페이는 한국 학부졸업 + 미 대학원졸업과,
미국 학부 졸업
어떤것이 더 높은지 궁금합니다.
-
-
IB 69.***.42.70 2011-03-1402:02:42
투자은행 백오피스쪽은 얘네들이 원래 짠돌이 입니다.
들어가기는 상대적으로 쉬운데, 연봉 짜게 나옵니다.
신분문제가 해결되었고 (영주권 이상) 영어회화 커뮤니케이션 스킬 상급이라고 가정하면, 미국내 중위권 대학에서 어느정도 괜찮은 성적으로 졸업하면 Goldman Sachs, Morgan Stanley, JP Morgan Chase, Citigroup, Bank of America 등등 백오피스로 들어가는것 그다지 어렵지 않습니다.
물론 본인이 인터뷰는 알아서 잘해서 통과해야 되고요.
-
MLB 151.***.175.205 2011-03-1501:09:23
어느 회사를 가던간에 경력 없이 들어가게 되면 연봉이 그리 높지는 않을 것입니다.
음.. 투자은행 back office가 짠돌이라는 말은 좀 수긍하기가 어렵네요.. ㅎㅎ.. -
짠돌이 199.***.131.153 2011-03-1503:18:42
ㅎㅎ
그러면, ‘짠돌이’말고 ‘짠순이’라고 부르면 어떨까요?
-
MBA 192.***.216.147 2011-03-1506:46:52
한국학부 + 미국대학원으로 취업 당연 가능하구요… 페이는 학부졸업한 사람들이 대학원 안가고 계속 서바이벌 했다면 학부+대학원 마치고 나온 사람들보다 나을수도 있습니다. 문제는 대부분의 경우대학원을 가거나 다른 회사로 옮기게끔 해준다는것… 그렇게되서 대학원후, 혹은 다른 회사로 옮긴후 더욱 잘나가는 경우도 많구요…
백오피스라 해도 투자은행이라 불리우는 회사들의 샐러리+보너스 수준은 상당한 편입니다. 회계쪽하는 사람들도 뒷전이라 느낄수 있을지 몰라도 돈 받는 자체는 왠만한 다른 회사에서 회계하시는것보다 나을겁니다. 따라서 들어가는 것도 어렵습니다. 회계쪽도 대학원 졸업자 들 대상으로 management associate program을 따로 운영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이런 프로그램으로 입사하는 사람들은 학벌은 기본입니다. 물론 워낙 규모들이 크니까 전체적으로 보면 천차만별이지만… -
Back Office 192.***.221.204 2011-03-1513:40:29
글세요….
백오피스도 백오피스 나름대로 일하는 종류가 워낙 다양해서, 구체적으로 백오피스 어떤 부서냐에 따라서 차이가 많이 나고요.
골드먼삭스의 경우 백오피스가 뉴저지에 한곳 유타에 한곳 있는데, 유타에 있는 오피스는 그야말로 “백”오피스 입니다.
골드먼삭스 유타 이쪽은 그냥 미국 중위권 정도 대학 나온사람들이 대다수 입니다.
보너스는 일반적으로 잘 받아야 10% 넘기기 힘듭니다 (특히 매니저 이하급). 특히 지난 2008/2009년도에는 백오피스는 아예 보너스 빵불인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매니저 이하급).
-
MBA 192.***.221.141 2011-03-1521:04:35
진짜 골드만이 유타에 오피스가 있는줄은 모르겠으나… 유타 오피스를 말씀하시는거라면 위에 말씀이 맞을수도 있겠네요. 근데 아무리 골드만이라도 유타 오피스라면 투자은행에 취직했다고 하기는 좀 그렇죠… 뉴욕과 같은 대도시 지역에서는 보너스를 빵으로 주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말씀대로 워낙 다양하지만 보너스는 그래도 20%정도가 미니멈이 아닐까 싶은데… 작년에 사람을 많이 뽑았던 모건스탠리 정도가 새로 뽑은 사람들에게 보너스를 주지 않았다는 소문이 많았습니다. 근데 아무도 자기가 보너스 못받았다고 자랑하고 다니지는 않기때문에 확인은 못하고 있기는 합니다… 사실 금융쪽에서 보너스 안주는 거 상당히 충격적인 겁니다. 대게 다 줍니다.
-
goldman 192.***.221.204 2011-03-1601:11:07
골드먼 유타 오피스가 있는지 없는지 못믿으시겠으면, Google 서치 해보면 바로 답이 나오고요.
골드먼 삭스 원래 뉴욕/뉴저지 쪽에 있던 백오피스 (오퍼레이션 쪽) 최근 몇년 사이에 유타로 대량 이주 시켰습니다.
그러는 와중에 많은 사람들 관두었고요. 뉴욕에 살다가 하루 아침에 유타 깡촌으로 가기는 싫겠죠.
-
goldman 192.***.221.144 2011-03-1601:19:55
그리고 믿기 힘드시겠지만, 골드먼 삭스 2008/2009년도에 백오피스 쪽은 보너스 빵불 이었습니다 (물론 매니저급 또는 일부 부서는 조금 받았겠지만).
뉴욕 본사 오피스 백오피스 말입니다. 유타쪽은 말할 필요도 없고.
물론 증빙자료가 없기 때문에 뭐라고 더이상 말씀 드리기가 좀 그런데, 제가 이쪽 사람들 좀 압니다. 못 믿으시겠다고 하셔도 뭐라고 하지 않겠습니다.
그리고, 유타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백오피스로 들어가면 흔히 말하는 ‘투자은행’ 취직했다고 하기는 좀 그렇죠.
-
MBA 192.***.221.140 2011-03-1601:50:15
말씀대로 백오피스도 여러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백오피스 중에도 파이낸스 (여기서는 “회계”로 통칭되는 듯한…), 리스크, 일부 프로그래머 등의 대우는 괜찮습니다. 여기서 최근 무능한 직종중 하나로 소개된 IT쪽 project manager포지션… 이것도 말씀하시는 골드만의 경우는 상당히 돈을 줍니다. 저 아는 사람이 2년정도 그 일을 했기때문에… 바쁘기는 정말 많이 바쁘더군요… 근데 이런 사람들 다 제하고 나면 남는 사람들은 비서, 진짜배기 IT, HR, … 질문 올리신 분이 백오피스를 얘기할때 이런 직종을 생각하고 얘기하셨을것 같지는 않군요. 대부분의 백오피스 직종은 투자은행 갔다고 얘기할만 합니다.
-
GS 174.***.18.207 2011-03-1601:50:17
얘네들 짠돌이 소리 듣는 이유가 다 있습니다.
지난 금융위기 난리통에도 프론트오피스 쪽은 보너스 다 챙겨먹고, 뒤에서 묵묵히 일하는 백오피스 직원들 한테는 보너스 안주고.
소위 말하는 짠돌이 경영기법인데, 좀 불합리한면이 있습니다.
-
OP 174.***.18.207 2011-03-1602:07:20
백오피스 하면 뗄래야 뗄수가 없는게 오퍼레이션인데
한국말로 하면 운용부서 인가요???
아무튼 투자은행에서는 오퍼레이션쪽 인원이 절대 다수입니다.
이쪽이 짠돌이 경영의 본거지가 되는 곳이기도 하고요.
연봉보너스 짜게 나옵니다.
물론 대학은 중위권 이상 나온 사람들로 채워지고요.
-
MBA 192.***.221.147 2011-03-1604:47:13
음… Ops는 넓은 개념으로 쓰이죠. 회사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아마 IT시스템 관련 개발 프로젝트관리, 개발후 유지 보수 유저서비스 등을 총괄하는 개념으로 많이 쓰이는 것 같습니다. 실제 개발하는 쪽은 주로 IT혹은 그냥 technology라 부르니 좀 차이가 있죠…Ops인원이 투자은행에 있어 절대 다수라는 것은 수긍이 가지 않네요. 인원수가 적지는 않으나 컨설턴트등을 제외하고 나면 절대다수일수가 없습니다. 내부 시스템 유저 서비스하는 직원들은 유타 같은 곳에 두고 연봉 조금 주고 할수 있겠죠… 프론트야 실제 돈을 벌어오는 곳인데 (말썽도 곧잘 만들지만…) 더 돈을 많이 주는 것은 당연합니다. 백오피스사람들을 그정도 줄수는 없지요. 하지만 백오피스 역시 전반적으로 페이는 합리적인 수준보다도 조금 높다고 보시는것이 맞습니다. 페이가 문제가 되는 경우는 많지 않아요… 다만 일이 워낙 많고 바쁘니 돈을 많이 받으면서도 본전 생각나는곳이 금융계이죠… 자꾸 한말 또 하게 되는듯… 이제 그만 하겠습니다…
-
이분은 184.***.167.76 2011-03-1616:08:24
이분은 Ops 의 넓은 개념을 완전히 잘못 짚으셨네.
“회사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아마 IT시스템 관련 개발 프로젝트관리, 개발후 유지 보수 유저서비스 등을 총괄하는 개념으로 많이 쓰이는 것 같습니다.” 이런 정의는 처음 듣네요.
제가 다니는 회사만 해도 서비스업종이라, Operation 부서가 가장 인원이 많습니다. GM,AM 급 매니저 소속도 operation 쪽이고 우리회사에선 CEO CFO 다음으로 COO의 권한이 강한데….
-
MBA 192.***.216.156 2011-03-1621:37:04
여보세요… COO에 쓰이는 “operating”은 ops와는 다릅니다… COO는 어느 회사나 서열상 CEO 다음이에요. 회사 운용을 총괄한다는 뜻으로 chief operating officer라고 하는거지 ops 그룹의 헤드라는 뜻이 아닙니다.
-
-
-
Operation 69.***.42.70 2011-03-1607:38:05
투자은행에서 Operation (운용부) 쪽은 다른 일반 회사하고 사뭇 다릅니다.
IT쪽하고 직접 연관은 없고요, 비이공계 졸업자들도 많이 들어옵니다.
참고자료:
http://www2.goldmansachs.com/careers/our-firm/divisions/operations/what-we-do/index.html
골드먼에서 가장 큰 부서가 오퍼레이션 부서입니다. 위 참고자료 보시면 전체직원의 14%라고 나오죠.
맨하탄 본사말고 뉴저지 및 유타 사무소에서 많이들 근무합니다.
위에서 언급되었듯이 오퍼레이션은 투자은행에서 기본적인 백오피스이고, 없어서는 안되는 꼭 필요한 일들을 하는데 (예를 들어 트레이드 Settlement / Clearing), 일 하는 종류에 따라서 좀 따분하고 단순반복 허드렛일 같은것들이 꽤 있습니다.
-
MBA 69.***.93.66 2011-03-1609:25:12
맙소사… 링크 걸기전에 읽어보긴 하신건가요… 어째 그게 settlement/clearing 으로 이해가 되시는지. 14%가 어찌 절대다수라는 건지도 모르겠네요… 에구 그냥 제가 틀렸다고 하고 상대를 안해드리는 편이 낫겠습니다…
-
흐음 173.***.253.219 2011-03-1609:51:49
누구의 말이 맞고 틀리고를 떠나서 MBA님은 communication skill에 문제가 있는 사람인듯… 사람을 면박주는듯한 말투가 무척 거슬리네요. 그리고 진짜 골드만은 무슨 뜻인가요 진짜 사나이 같은건가요. 유타에 골드만 오피스 있는것 맞고 operation division이 가장 큰 division 맞는데요.
-
Communication 216.***.65.88 2011-03-1621:56:01
3자인 제 눈에도 좀 그렇게 보이네요.
MBA 수업들 중에 communication 관련된 수업들 여럿 있지만 그걸로 communication 문제가 해결되지는 않지요. 어떻게 하는 게 좋다 이런 내용들은 배우지만.
-
-
done 199.***.140.45 2011-03-1612:17:31
Settlement / Clearing 은 오퍼레이션 부서에서 처리하는것 맞는데요. 위의분 위의 글에서는 하나의 예를 들어준것이지, 오퍼레이션 전체가 Settlement라고 한것은 아닌것 같은데요.
오히려 MBA님 댓글 읽어보면, 님이 투자은행 운용부에 대해서는 잘 모르시는것 같네요. IT 시스템 유지보수 어쩌구 저쩌구 하시는것 보니까.
그리고 수많은 부서 가운데, 한 부서가 전체의 14%이면 ‘다수’인것은 맞고요. ‘절대’ 다수냐 아니냐는 관점을 어디에 두냐에 따라서 맞는말이 될수도 있습니다.
예를들어 두번째로 인원 많은 부서가 전체인력의 10% 미만이면, 오퍼레이션이 압도적으로 ‘절대’ 1위이죠.
이제 다들 그만하시죠. 님들 논쟁하는 와중에 유저들은 되리어 좋은 정보들 얻었습니다.
-
MBA 192.***.221.139 2011-03-1621:46:07
Settlement/clearing이 ops그룹의 한분야다 하시는거였다면 제가 잘못 알아들었던 건가 봅니다. 어쨌든 실제 operation management라고 하면 제조업체에 더욱 관련되는 분야죠. 원래는 공장에서 제조공정의 최적화, 물류의 최적화… 등을 하는 일입니다. 이게 금융쪽으로 적용되면 리테일쪽의 경우 지점 구조, 업무 flow의 최적화… 등을 하게되죠. 근데 투자은행이라는 곳은 리테일이 없거나 아주 작아요. 대부분의 ops 관련 업무는 IT시스템과 연결될수 밖에 없구요… 그래서 많은 회사들이 operations & technology라는 하나의 그룹을 가지고 있거나 그냥 IT부서에 ops의 기능이 있기도 합니다. 14%가 다수이다… 그래요… 새로운 사실을 하나 배우고 갑니다… 아뭏든 적지 않은 인원 맞으니까요. 저도 인원이 적지는 않을거라는 부분은 위에 이미 적었습니다.
-
bk 151.***.224.45 2011-03-1701:08:42
14%면 굉장히 큰 숫자로 보이는데,,,,
더군다나 mba 님이 주장하는
옵스대부분이 IT 시스템 메인터넌스라면 (사실 여기서 좀 뿜었지만ㅋㅋㅋ)
14%라…. ㅋㅋ영화를 너무많이 보셨나……
-
MBA 199.***.140.45 2011-03-1704:44:58
하하… 참… “IT시스템 관련 개발 프로젝트관리, 개발후 유지 보수 유저서비스 등을 총괄하는 개념” 이라 하지 않았습니까… 누가 유지 보수하는 인원이 ops의 대부분이라고 했나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