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비전 탑컨퍼런스 논문 1저자

  • #3636031
    JK 172.***.149.130 2006

    Google brain, FAIR, Facebook really lab, Microsoft Research 정도급에 Research Scientist 로 들어가려면 CVPR, ICCV 1저자 논문 몇편정도 재야하나요??

    그리고 저는 이제 미박 1년차인데 대략적으로 졸업하려면 탑학회 1저자 논문 2-3편이면 졸업가능할까요?? (물론 교수재량에따라 다르다는것은 알고있습니다)

    • ㅇㅇ 38.***.205.61

      없어도 들어감. 물박사 심지어 박사 학위 중간에 포기해도 들어가는 사람 많음. 겉만 보면 그렇듯하지 막상 속사정 보면 다들 별거없는 그냥 월급쟁이들임.

      • ㅁㅇㄹ 68.***.227.104

        ㅎㅎㅎ 잘 모르면 댓글달지 마라

        • ㅇㅇ 38.***.205.56

          ㅎㅎ 온라인이라서 편하게 얘기하는데 알아서 판단해라. 교수될꺼 아니면 이 쪽은 학부 나와서 SDE 가 갑이다. 교수되기는 하늘의 별따기고… Research Scientist라고 별거 없다. 잘난 사람도 있지만 대부분 별 볼일 없다. 이런식이면 다른 직장도 다 비슷해. 결국 가성비로 귀결되고 답은 박사 딴다고 뻘짓 그만하고 석사로라도 빠질수 있으면 나와서 빅테크 취직해라. 애초에 박사는 교수되기 위한 것이거나 공부가 진짜 좋아서 해야한다. 사회적 지위나 아웃풋 계산해서 하는 것이 아님. 회사가서 월급쟁이할꺼면 학부 졸업해서 어느 직업이든 직장가서 경력 쌓는게 제일 좋다. 판단은 알아서 ㅎㅎ

        • 13 134.***.222.36

          이게 맞다 ㅋㅋㅋ

    • king 76.***.254.97

      미국에서의 취업은 크게 2가지로 판단됩니다.
      1. 분야가 맞는지
      2. 본인의 실력

      박사 후 바로 취직이라면 분야가 일단 맞는다는 가정하에 어떻게 본인의 실력을 측정할 것이냐는 것이지요 ?
      a. 본인의 실적 : 탑 저널 , 탑 논문 , 본인 대학 등
      1차 패스는 쉬움
      문제는 얼마전에 탑대학 박사에 이런 사람 면접했는데 직접 인터뷰를 해보니 그 분야에 대해서 대답을 잘 못합니다. 기초가 없습니다. –> 탈락 시킴
      b. 본인의 기본 실력 : 이게 가장 중요
      공부를 할때 그냥 외우고 그것만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기본기가 탄탄해야 합니다.
      탑저널, 탑 논문 없지만 , 기본기가 정말 탄탄함. 대부분 질문에 논리적으로 대답 ==> 합격
      c. 코딩 실력 : 중요
      python에만 집중하는데 추가적으로 c/c++ 등을 할 수 있으면 좋음

    • 대체로 174.***.193.52

      탑스쿨 좋은 랩에 나오면 분위기상 탑 저널 논문도 몇개 나오고 네트웍으로 쉽게 인터뷰까지 갑니다. 스탠포드 추천

    • 2323 24.***.115.205

      최소 2개 + 1개 다른곳

      그리고 네트워크

    • 인플레이션 216.***.112.21

      제가 박사할때쯤인 10여년전만해도 1 저자로 cvpr/iccv/eccv에 3-4개만 가지고 있어도 경쟁력이 있었는데 요즘은 딥러닝 때문에 비전 쪽 진입 장벽이 정말 많이 낮아져서 아이디어만 좋으면 석사들도 1-2개씩 1저자로 가지고 졸업하는 세상이 되었습니다.

      사실 그런 면에서 논문의 갯수보단 논문 하나 하나의 임팩트가 더 중요해지지 않았나 싶은데요 그래도 1 저자로 3-4개, 공동 저자로 2-3개, 그 중에 1-2개가 아주 임팩트가 있다 그러면 충분히 google research, FBAR등 최고의 인더스트리 리서치랩에 가능성이 있을 것 같습니다.

    • ㅇㅇ 70.***.119.166

      비전 쪽은 잘 모르겠는데, 일반적으로 플레그쉽 주립대 교수 임용 기준 정도는 채운다고 알고있습니다.
      궁금하면 Microsoft Research 쪽 홈페이지 들어가서 사람들 클릭해보면서 이력을 보면 대충 각이 나올겁니다.

      재학중인 학교가 어디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평균 연령이 높아보이긴 하네요.

    • 98.***.12.137

      한국에서야 논문 갯수가 중요하지만, 미국에서는 학문의 깊이가 중요하지 않을까요?
      논문을 위한 논문이 아닌 하나라도 제대로된 연구 결과가 있다면 어디든 갈 수 있으리라 봅니다.

    • ㅁㄴㅇㄹ 24.***.143.98

      저도 미국 리서치 하는 동네면 quality over quantity리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