캘리퍼 씰 (seal)쪽에서 브레이크 오일 누유

  • #1448974
    궁금한것… 98.***.218.93 3384

    일주전쯤에, Floor Jack에 대해 질문을 드렸고, 많은 분들의 좋은 의견을 받았습니다. 다시한번 감사합니다.

    며칠전에, 연휴를 맞이하여 앞바퀴의 브레이크 패드 양쪽을 교체하였습니다. 브레이크 패드를 교체하고, 마지막으로 캘리퍼 피스톤 링을 감압(decompressing) 하는데, 거의 마지막으로 피스톤링을 집어넣을때 브레이크 오일이 캘리퍼 씰(정확하게는 기억은 나지 않지만, 피스톤 링 주위)에서 브레이크 오일이 누유가 되더군요. 약간의 오일이 삐져 나왔다고 할까요? 한번 천으로 닦아내면 깨끗하게 없어지는 정도… 왼쪽, 오른쪽 캘리퍼에서 모든 이런 현상이 생겼습니다.

    너무 피스톤 링을 깊에 밀어넣다가 생기는 일인가요? 어떤 유투브 비디오에서도 피스톤링을 집어넣을때, 오일 누유에 대해서 언급한것이 없었고, 괜히 내가 직접하려다가 자동차를 고장내는구나하는 자책감도 생기더군요.

    여하튼 패드를 교체하고, 차를 동네 몇바퀴 돌고 나서 주차 했을때, 지난 며칠동안 타이어 주위에 브레이크 오일 자국 (puddle)은 없었습니다 . 또한 브레이크 오일 reservoir 의 레벨을 매일 두번씩 체크하는데, 별다른 오일 레벨이 급격하게 줄어든다든지 하는 경우는 없고, 계속 reservoir 뚜껑 바로 밑에 브레이크 오일의 레벨을 확인할수가 있습니다. 오늘( 일요일), 편도 10마일 정도의 거리를 운전하였고, 브레이크 오일의 레벨도 유지하였고, 브레이크 패달 (pedal)이 특별하게 물렁(스펀지)하지도 않고, 브레이킹도 보통때와 같이 작동합니다.

    Rockauto에서 캘리퍼를 주문하였는데, 밴죠 볼트 (브레이크 라인이 캘러퍼에 연결되는)의 와셔 (washer) 두개가 구리재질이더군요. OEM제품은 와셔 한개당 $2~$3정도 (aluminium?) 되는데, 일요일이어서 딜러쉽은 문을 닫았고, Autozone과 Advance Auto Part를 가서 와셔 재질에 대해 물어보았더니, 두곳 모두 단호하게 구리(copper) 재질의 와셔를 써야 한다고 강조하더군요. 또한 brake line washer 라고 구글해보면, 상당수가 구리재질도 많이 있습니다.

    캘리퍼 교환은 동네 정비소 (개인)에서 하려고 합니다. 브레이크 라인을 건드리는 일이라 자칫 잘못하다가는 주차장 바닥에 브레이크 오일을 쏟게 생겼더군요.

    1. 내일 동네 근처(편도 2마일)에 있는 정비소에 가야 하는데, 특별히 조심해야 할 일이 있는지요? 견인차를 불러야 하는지요?
    2. 월요일에 못고친다면, 그차를 편도 20마일 거리의 회사까지 운전해도 되나요? 중간에 고속도로(10마일)이 조금 걸리네요…
    3. 인터넷에서는 밴죠볼트의 구리와셔가 좋네, 알루미늄 와셔가 좋네하고 논쟁(?)이던데….. 별차이는 없겠죠?

    혹을 떼려다, 다른혹을 붙인셈이지만 적어도 안전에 직결된 문제가 발견된만큼 많을것을 배웠다고 생각합니다. 적어도, 제가 브레이크 패드를 교환하다가 문제(캘리퍼쪽 누유)가 발견되니, 아무것도 모른상태에서 정비소에서 캘리퍼 교환하라고 얘기듣는것 보다는 낫지 않을까 하고 생각합니다.

    우문현답에 감사드립니다.

    • 지나가다 76.***.51.231

      직접해보시는 것도 방법이죠.

    • joop 107.***.214.214

      반조볼트는
      한번 조여주면 그걸로 끝입니다. 풀렀다가 다시 사용하면 안됩니다.
      엔진오일 드레인볼트에 들어가는것도 일종의 반조볼트인데, 엔진오일팬에는 그다지 큰 유압이 걸리지 않고 몇개월마다 한번씩 보는것이기때문에 다시 사용한다고 해서 문제될게 없는데, 그 외에.. 엔진이나 브레이크 등에 들어가는 반조볼트는 이점 유의하셔야 할겁니다.

      그것만 지켜주면 구리든 알미늄이든 상관없습니다.

    • 142.***.52.95

      씰이라고 하니 이해가 안갑니다.
      피스톤링을 집어넣을때 고무재질이 찢어 졌다는 의미인지.
      만약에 고무 재질이 찢어졌다면 브레이크를 밟으면 fluid가 비산됩니다.
      부득이 운행을 해야 한다면 브레이크액 한통을 사서 운행후 브레이크 액이 줄었으면 보충하면 됩니다.
      캘리퍼 호스가 터져 브레이크 밟은후 한통씩 보충 해줄정도의 상태로 300마일을 달려와 나중에 수리 한적이 있었읍니다.
      지금 증상은 충분히 관찰 해보고 수리해도 여유가 있읍니다.

    • MM 207.***.93.60

      원글님은 이미 새 캘리퍼를 샀다니까 의미는 없겠지만…

      브레이크 패드 교체시,
      캘리퍼 피스톤을 뒤로 누를때, 브리더 밸브를 열은 상태로 누르지 않으면 조금 새는 수가 있다고 합니다.
      (밸브를 반드시 열지 않아도 되긴하지만, 열어놓는 방법이 오염된 fluid가 위쪽으로 올라가지 않고 밖으로 빠져나와 더 좋습니다)
      http://www.nissanpathfinders.net/forum/topic/26877-brake-caliper-leaking-at-seal-replace-the-whole-thing/
      실제 운행할 때도 새는 지의 확인은 브레이크를 최대로 세게 여러번 밟고나서,
      캘리퍼를 열어서 또 그곳이 새는지 보면 됩니다.

      만일 계속 피스톤 주변에서 새는게 확인되면,
      (1) 캘리퍼 전체를 교체할수도 있고 ($50~200),
      또는
      (2) 고무 seal 2개 ($2~5) 교체하여 (또는 원하면 피스톤($15) 까지) 리빌드 할수 있습니다.
      http://www.rockauto.co.uk/catalog/x,carcode,1434107,parttype,17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