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 전기 합선…퓨즈나 차단기?

  • #1319999
    s7 75.***.228.134 14722

    집의 전 소유주가
    퍼밋은 받은거 같지않고, 지하실에 방을 하나 날림으로 만들면서 전기를 부얶쪽에서 따와서
    지하실의 방에 램프와 콘센트를 연결한거 같습니다.
    지하실에 방에 불이 나가면서, 전기를 따왔던 부얶쪽의 전기가 다 나간것 같아요. 부얶의 한쪽 벽면에 3개의 콘센트가 다 전기가 들어오지 않고 있네요.

    전기 배전반이라 하나요? 집의 외벽에 있는 배전반을 살펴보니 차단기나 OFF 된게 하나도 없네요, 아마 전 소유주가 전기전문가가 아니라서, 어딘가에서 합선이 되든지 해도, 차단기가 못알아먹는거 같습니다. 전에 한번 천정 램프선 연결하다가 합선이 되어서, 차단기가 내려간적이 있어서, 이번에도 아마 차단기가 내려갔다고 생각했는데, 이번엔 그게 아니네요.
    이런경우, 어딘가에 퓨즈가 있어서 퓨즈를 갈아주든지 해야 할것같은 추측이 드는데, 관련된 전기 선이 다 벽속에 들어 있어서, 퓨즈박스가 있을만한 곳은 없네요. 전기선이 벽 안 어딘가에서 녹아 내렸을까요?
    어떻게 제가 혼자서 고칠 방법이 없을까요? 부얶의 한쪽벽의 콘센트와 지하실에 새로난 배선들 말고는 다른데는 아무문제는 없는거 같습니다.

    혹시 아시는분 조언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아침 75.***.184.16

      차단기가 트립이 안되었다면
      문제를 찾는 일이 어렵습니다. 이건 업체에 맡기시는게 정신건강에 유익합니다.
      그 문제의 차단기에 연결 된 모든 선을 검사해야 합니다. 전등이면 전등 콘센트면 콘센트 열어봐야 하고요
      아니면 지하실 방으로 조인해간 부분이 있을 겁니다. 거길 중점적으로 찾아 보시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 ㅍㅍ 99.***.194.10

      electric panel이라고 하고요, 집안에 없으면 차고에라도 있을것입니다. 집밖에는 밖에서 바로 들어오는 메인박스가 있는데, 님의 경우에는 집안으로 들어온 판넬 가운데 서킷 브레이커가 내려갔을 것입니다. 얼핏보면 모두 올라가 있는것 처럼 보여도 자세히 보면 살짝 내려와있을 확률이 큽니다.
      그렇지 않다면, 나간 콘센트에 내장 서킷브레이커가 있는지 살펴보십시오.

    • s7 75.***.228.134

      모두다 ON 으로 되어있고, 어정쩡하게 중간으로 되어있는것도 없었어요.
      내일 날 밝으면 다시 한번 다 OFF 로 한다음에 ON 으로 해봐야 겠네요.

      근데….이거 당분간 안고치고 그냥 놔둬도 혹시 화재 위험같은건 없겠죠? 앞으로 약 3-4달 후에 지하실을 대대적으로 손봐야 하겠다고 생각하던 참이었거든요.

      부억의 다른 벽쪽에 콘센트들은 괜챦기 때문에 급한거는 아닌데…지하실 불이 문제군요. 지하실도, 원래 퍼니스나 보일러쪽의 전기 배선은 독립적으로 되어있어서 거기는 문제 없더군요. 전 집주인이 전기를 따온 쪽만 모두 다 함께 전멸된거 같습니다. 콘센트 부분이 가장 취약한 부분일까요? 콘센트에 CO 디텍터랑 다른게 많이 있었는데, 연결된 콘센트에 팬을 켜려고 플러그를 꼽자 마자 다 죽어버렸거든요.

      저희집 서큣 브레이커는 집 뒤뜰의 외벽에 금속박스로 붙어있습니다.

      • Bostonian 72.***.50.31

        보니까 과부하 같네요. 나중에 전기 회사에 전력량 증가시키는 공사해달라고 하세요.

    • going 99.***.181.1

      거라지등에 빨간색 버튼으로 색깔이있는 소켓이있나 확인하시고 리셋 표시가있으면 꾹 몇초간 눌러보시길…
      색깔은 틀릴수도 있음. 이게 의심되네요.

    • 정답 76.***.186.168

      두가지 가능성 윗 분들이 다 설명하셨네요.
      1. fuse panel에 스위치가 눈으로는 다 on상태라 할지라도 스위치가 조금 기울어서 차단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모두 off 했다가 on하면 다시 들어올 수 있구요
      2. 부엌이나 화장실에 gfci 소켓이 있어서 reset을 하면 되는 경우입니다.

    • Bostonian 72.***.50.31

      윗분 말대로 부엌에 전기 안들어오는 소켓들 보시고 혹시 가운데에 무슨 버튼 있나 확안해 보세요. 이게 세개 다 있을수도 있고 하나만 있을수도 있는데 만약 이게 있으면 이거 리셋 시키면 됩니다. 리셋하는 방법은 다시 눌러주면 되요. 전기 전공은 아니지만 만약 합선이면 서킷 브레이커가 반드시 내려가구요. 만약 누전이면 이게 안내려 가는걸로 압니다. 도움이 되셨길

    • ㅍㅍ 99.***.194.10

      집 외벽에 있는 판넬에 서킷이 몇개나 있는지요? 보통 집 밖에 있는 것은 두 세개의 서킷으로 된 메인 판넬이고 거기엔 보통 에어컨 같은 기기들로 분전되어있습니다.
      집안의 전기는 보통 20A 짜리 서킷이 10개 정도 있는 판넬로 이루어져있고 보통 집안 어디인가에 있습니다.
      그리고, 앞서 말씀드린바와 같이 서킷브레이커가 내려간다는 것은 완전히 내려가는 것이 아니라 아주 살짝 내려간 상태를 말합니다. 눈에 잘 띄지 않을 만큼입니다. 보통 손으로 만져보면 확실히 차이를 느낄 수 있습니다. 다시 서킷을 연결하기 위해선 완전히 OFF한 후 ON하여야 합니다.

      주와 시에 따라 코드가 다르긴 하지만, 일반적으로 판넬의 서킷 옆에 해당 서킷에 대한 설명을 명기하게 되어있습니다. 이를테면, 주방, 워터히터, 가라지, 베드룸2, 등등 이런식으로 표기되어있습니다.

    • s7 75.***.228.134

      다시 원글입니다.

      1. Circuit breaker 는 외부벽에 약 40cm x 30 cm 정도 안에, 말씀하신대로, 안방, 애들방, 화장실…뭐 이란식으로 누가 손으로 써놨는데, 다 제대로 표기된게 아니라 불확실한것들도 많군요.

      2. Gfci 나 소켓이 게라지등 집안 내부 어딘가에 있을지 모르겠다고 하시는 분들이 있으신데, 그런건 못찾겠어요. 저도 그런게 있으면 좋겠는데…있는데 제가 못찾는건지 모르겠군요.

      3. 그냥 놔둬도 누전으로 인한 화재의 염려는 없을지 모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테드 12.***.209.194

      전기 나간 곳에 전기가 흐르고 있는건 아닌지 확인해 보세요. 펜처럼 생긴 non contact voltage tester로 들고 다니면서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저도 간단한건 제가 하는데, 그라운드 작업 확실하게 안하고 전등 연결해 놓은걸 일렉트리션이 보더니 제대로 작업하지 않았을 경우 쇼트가 나 있는 상태면 불이 날 수 있다고 들었습니다.

    • s7 75.***.228.134

      아! 방금전 문제 해결되었습니다.

      그림

      Gfci 가 뭔지 몰랐는데, 구글해보니, 콘센트 중간에 스위치군요. 저희건 하얀색 버튼이네요.

      전국적으로 전기공사 코드로 외부 콘센트와 싱크대에 가까운 콘센트쪽이나 화장실 콘센트, 게라지 콘센트는 이 특별한 콘센트를 설치해서 감전방지를 하게 하는군요.
      다 한쪽이 전기가 전멸했는데, 싱크대쪽에 있는 콘센트하나가 그 쪽을 관할하는 gfci 식 버튼으로된 콘센트였습니다. 이거 리셋했더니 지하실이랑 다 살아났네요.

      감사합니다. 하나 배웠네요. 그러고보니 프론트 야드쪽 외부콘센트도 하나, 작년에도 먹통된게 있던데, 이것도 이 스위치가 차단된 모양.

    • 테드 12.***.209.194

      다행이네요.
      그런데 GFCI 하나에서 부엌과 지하실 전기를 모두 따간거라면 물려있는 콘센트에서 한번에 전기를 많이 쓰면(스토브, 전자렌지, 드라이어 등등) 거기에 물려있는 차단기가 계속 내려갈지도 모릅니다. 궁극적으로는 배전반에서 분리된 전원을 가져오는게 안전할 거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