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안 공유기2대 IP 설정 시 주의할 점이 있을까요?

  • #3604053
    궁금이 69.***.127.44 1315

    안녕하세요?

    Garage에 위치한 통신단자함에 1층/2층/3층으로 전화선/데이터선/동축케이블이 연결되어 있는 비교적 최신식 타운홈입니다.

    현재 2층 거실에 Comcast Cable Modem + 공유기 1 (2.4 GHz/5.0 GHz 지원) + 공유기 2 (2.4 GHz Only)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제가 각방에 유선으로 UTP Cable 에도 접속이 가능하도록 통신 단자함에 5 port 스위치도 설치하였습니다.
    기존 프린터와 Old Notebook 그리고 070 전화기로의 연결을 위해,
    공유기 1의 2.4G 대역을 사용하지 않고 예전 공유기인 공유기2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DHCP/DNS/Gateway 등 IP 설정관련하여 보완해야 될 사항이 있을 까요?
    가끔 3층의 Old Notebook에서의 인터넷 속도가 좀 느려지는 것 같은 느낌입니다.

    1. 연결도는 아래와 같습니다.

    A. 케이블 모뎀과 공유기 그리고 스위치 연결 (랜 케이블)

    ——> Xfinity Cable Modem ——–> (WAN) 공유기 1 ———–스위치————–> 각 층 Room UTP

    B. 공유기1에 스위치와 공유기2가 연결됨 (랜 케이블)
    공유기 1 (LAN) ————– 스위치 ————> 각 층 Room UTP
    공유기 1 (LAN) ————- (WAN) 공유기 2

    공유기2의 WAN port는 공유기1의 랜포트에 연결되어 있습니다.

    2. IP 설정 (Old Notebook을 연결하여 확인한 주소들)

    공유기 1 (5.0 GHz Enable) : (DHCP/GW/DNS: 192.168.0.1)
    공유기 2 (2.4 GHz Only) : (DHCP/GW: 192.168.100.1, DNS: 192.168.0.1)

    위의 IP 설정은 3층에 있는 Old Notebook을 UTP와 공유기 2의 무선랜을 각각 연결했을 때
    ipconfig /all로 보여지는 정보입니다.

    공유기2의 WAN port가 아닌 일반 랜 포트를 공유기1의 랜포트에 연결하는 것도 있던데 (일명 AP 모드)
    이렇게 변경하고 공유기2의 IP 설정도 192.168.0.x로 바꾸는 것이 좀더 나은 설정일까요?
    전문가들의 고견부탁드립니다.

    • 92 76.***.80.205

      공유기2를 계속 연결해놓는게 상식적이지 않은거 같은데요.

      • 궁금이 69.***.127.44

        기존 무선랜 (2.4 GHz 대역)으로 공유기2와 연결했던 무선 프린터를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공유기1의 2.4G 대역을 활성화해서 사용할 경우에 시간이 지나면 프린터와 연결이 계속 끊어져서,
        궁합이 않좋은 것 같아 기존 공유기2를 유지하고 공유기1의 2.4G 대역을 비활성화 한 것입니다.

        이렇게 사용을 하게되면, 무선 프린터를 사용하는 데에는 별 문제가 없습니다.

        다만 공유기1 — 허브 — UTP 케이블 – Old 노트북에서 사용하면 Speed Test 시 100 Mbps까지 나오는 데
        시간이 지나면 가끔씩 유선 인터넷 연결이 갑자기 늦어질 때가 있습니다.

        .참고로, Old 노브북의 무선랜도 프린터 사용을 위해 공유기2로 연결을 유지한 상황입니다.
        (Old 노트북의 원도우에서 유선랜과 무선랜 동시 연결해 놓으면 자동으로 유선랜을 우선 설정하여
        사용하는 것 같습니다.)

    • 11234 37.***.212.169

      Double NAT를 구성해야하는 특별한 이유라도 있나요? 뭐 할 때 느려지는데요?

      • 궁금이 69.***.127.44

        1. Double NAT라고 하신 것은 192.168.100.1과 192.168.0.1 두개를 설정한 것을 말씀하시는 것인지요?
        .우연히 인터넷을 검색하여 그렇게 설정하면 공유기를 동시에 쓸 수 있을 것 같아서 그렇게 한 것입니다.
        .서비스 끊김상황은 위에 댓글로 달았습니다.

        2. 공유기 1을 192.168.0.1로 하고, 공유기 1의 DHCP 할당범위를 192.168.0.3과 그 이후로 좁히고
        공유기 2를 192.168.0.2로 설정하고 해당 공유기의 DHCP를 Disable하는 설정이 인터넷으로
        검색되던데, 이런 경우가 Single NAT로 2개 공유기를 설정하는 방식인지요?

        제가 지식이 짧아서 Single NAT / Double NAT 장단점에 대해 잘 모릅니다.

        • 11234 68.***.183.111

          1. 네. router 2의 네트워크를 router 1로부터 isolate 시키고 싶으신건가요? 예를들면 router 1에 연결된 사용자들이 router 2에 연결된 프린터를 사용 못하게 하고 싶으신 거라면 지금 설정도 일리가 있습니다.
          2. router 2를 router mode로 사용해셔야 하는 특별한 이유가 있나요? router mode에서만 가능한 filter가 필요하시던가? 그게 아니라면 AP mode로 바꾸시는게 더 간단할 것 같습니다.

    • 네트웍 72.***.132.49

      그냥 간단하게 mesh network 구입해서 하심이..

    • 92 76.***.80.205

      보통 저렇게 NAT 이중으로 안해요
      ping도 나빠지고…
      윗분 말씀처럼 mesh로 하던가, AP 위치를 옮기던가 …

      • 궁금이 69.***.127.44

        일단 현재와 같이 일반적이지 아닌 구성은 기존 무선 프린터가 라우터1의 2.4GHz에서 안정적이지 않아서 이런 모양이 되었습니다.

        1. 일단 무선 프린터가 3층에 있으므로 공유기2를 3층으로 옮겨 보는 것을 시도해 보고, 프린터 및 전반적인 상태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렇게 하려면 집의 케이블링 상 아래와 같이 되는 데, 이 경우 네트워크 상 문제가 없을 런지요 ?
        —— 케이블 모뎀 ——- 공유기 1 ——- 스위치 ——– 3층 UTP Outlet — 공유기 2 (WAN)
        이때, 공유기2의 외부 IP는 192.168.0.x / 내부는 192.168.100.x, 공유기2 WAN 포트와 3층 Outlet 포트 연결

        2. 추가로 공유기2를 공유기1과 같은 192.168.0.x IP 사용하는 AP모드로도 설정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때, 공유기2는 AP 모드로 DHCP 할당은 Disable하고 공유기2의 LAN 포트와 3층 Outlet 포트 연결

        좋은 의견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 궁금이 69.***.127.44

          위의 1의 형상으로 변경하여 현재 별 문제없이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시간날 때, 공유기2를 AP 모드로도 변경해 볼 예정입니다.

          1. 결 선 도
          …………… (2층)……… (2층, 2.4G/5GHz Dual)……….(1층 단자함)……………………………………………. (3층)
          —— 케이블 모뎀 ——- 공유기 1 —————– 5 port 스위치 ——– 3층 UTP Outlet —– 공유기 2 (WAN Port)

          2. 무선채널 및 IP 설정
          – 공유기1의 2.4GHz/5GHz 모두 활성화. (2.4GHz 는 채널 5번 중심으로 40 MHz 설정)
          – 공유기2의 2.4GHz 는 채널 11의 20 MHz로 설정하여 무선 프린트 사용시에만 연결
          이때, 공유기2의 외부 IP는 192.168.0.x / 내부는 192.168.100.x, 공유기2 WAN 포트와 3층 Outlet 포트 연결

          확실히 2.4GHz 만 지원되는 Old Notebook이더라도 공유기1로 직접 연결하니 체감속도가 다르내요.

          다시한번 좋은 의견들 감사드립니다.

    • brad 75.***.46.173

      결국에는 마누라 몰래 챠터베이트 시청할라구 하는거넹

    • yup 167.***.187.204

      혹시 SSID 나 Wi-Fi password 에 특수문자가 포함되어 있나요?
      유난히 연결이 좋지 않은 기기(프린터, 스마트 전구 등등) 들이 몇개 있었는데요, SSID 하고 PW 에서 특수문자를 없애고 다시 설정했더니 지금은 아무 문제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