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1-12-1422:56:41 #17605저도궁금 76.***.58.193 13914저도 평소 궁금했던 것 하나 질문 올립니다.Auto 차량을 운전하며 신호등에 정차시 기어를 중립으로 놓는 것이큰 장점/단점 이 있나요? 특히 미션/미션오일의 수명에 있어서요.한국에서 택시기사분들이 많이 하시던데…아시는 분 답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원래 67.***.236.20 2011-12-1504:19:18
중립으로 드라이브 들어갈때 충격이 가는데 이것때문에 정차시 중립으로 놓지 말라는 말을 많이 합니다.
근데 택시기사분들은 하루종일 운전하려니 발도 아프고 자기차도 아니고 등등 그냥 무조건 중립으로 놓은 분들이 많죠ㅎㅎ
신호대기가 3분 이상되는 경우는 중립으로 놓는게 좋다는게 시골에서는 이런 경우가 거의 없어서.. -
지나가다 71.***.46.160 2011-12-1504:46:32
전에도 이런얘기 오고가고 했는데…
저는 정차시 꼭 중립에 놓는데 이유는 간단합니다. 기어를 왜 드라이브에 넣고 브레이크로 못나가게 막는지 그냥 중립에 있으면 무리가 안갈텐데.
그리고 중립으로 자주 바꾸면 트랜스미션이 안좋다고 누가 그러던데 .. 이게 근거가 있는건지.. 여태 여러차를 10만마일 이상 그렇게 사용했으면 미션에 문제가 생긴적이 없는데요. 혹시 누구 자동차 전문가가 있으시면 설명을 해주셧으면 합니다. -
곰 76.***.13.54 2011-12-1506:48:40
굳이 따지자면 D->N->D 시에 걸리는 stress가 D에서 토크컨버터만 돌아가는 상황보다 크다고 봅니다. D->N->D 동작에서 2개 이상의 클러치도 붙었다 떨어졌다 해줘야하고 기어도 빠졌다 들어갔다 하겠죠. 오토미션이라도 안에서는 다 이루어지는 동작입니다. 기어는 정차된 상태이므로 1단이나 혹은 2단으로 걸려있는 상태에서 토크컨버터에만 부하가 걸리는, 엄밀히 오일에만 부하가 걸리는 상태죠. 그렇다고 N에서는 컨버터가 안도나요? N에서도 컨버터 안에 오일에는 부하는 걸려있습니다. 기어만 빠져있는 상태죠.
비교하자면 그렇다는것이지 전체적인 미션 수명이나 성능에는 큰 영향이 없다고들 합니다. 하지만 일반적인 사용자의 일반적인 주행환경을 타겟으로 설계한 일반적인 미션이 신호대기시 마다 D->N->D를 더 염두에 두고 만들어지진 않았다고 봅니다. 개인적으로는 D로 유지에 한표입니다.
하지만 감속시 D->N은 하시면 안됩니다.
-
제경우 66.***.44.12 2011-12-1506:55:22
제가 그랬죠. 27만 마일 주행한 차량입니다. 전 정차시 기어를 안빼면 클러치에 무리가 가지 않을까 해서 기어를 뺀거죠. 그렇게 한 10년 가까이 운전을 한거죠. 8년째인가 기어가 일단에서 이단으로 자동 변속이 이루어질때 충분히 RPM이 올라가지 않은 상태에서 기어가 넘어가더군요. 결과적으로 차기 힘을 못받고 가속이 안되는 일이 벌어졌습니다. 정비소에 가져가니까 트랜스미션의 압력 센서문제라고 테크니션들이 진단을 했습니다. 왜 이런 일이 생기냐고 물어봤더니 여러가지 이유가 있다고 했습니다. 그래서 제 운전 습관을 말해줬더니 그게 꼭 정확한 이유라고 단정할순 없지만 충분히 문제를 야기시킬만한 행동이라고 했습니다. 전 그후에 정차시 절대로 기어를 빼지 않습니다.
-
22222 112.***.12.51 2011-12-1513:47:06
짜릿한 만-남을 지금 바로 경험해보세요
오직 쎅-스 만-남만을 위한 러브파인트~ 만-남-성-공 100% 만족도 100%
지역,나이 상관없이국내어디든 가능-가입에서 만남까지 20분이면 OK
최초로=> 실명인증, 폰인증 필요없는 안-전-사-이-트(무료가입 2분이면 ok)
ㅈㄱ만남,애인모드, 출-장-안-마 ,.그 룹 쎅, 스-폰,키스알바…
백-마포함 20대~40대남녀 수천명 대기..
만남실패시 전액환불해드립니다
■■
http://nasek86.com
■■
『바로가기클릭』
그 특별함을 지금 바로 경험해 0보세요~
-
원글 76.***.58.193 2011-12-1517:53:58
원래님, 지나가다님, 곰님, 그리고 제경우님, 답글 감사드립니다.
D 로 계속 유지가 좋겠다고 생각이 드네요. 좋은 하루 되세요. -
퍼옴 64.***.249.6 2011-12-1521:39:10
퍼왔습니다
엔진 A 바퀴
| 토크컨버터 |
| 클러치 |
이 그림은 엔진이 돌고 바퀴도 돌고 A(토크 컨버터의 터빈부터 클러치 입력단까지의 회전체)도 도는 걸 표현한 것입니다. N 레인지라면 엔진과 A가 같은 속도로 돌고, D 레인지라면 A와 바퀴가 같은 속도로 돌겠지요. 즉, N과 D의 차이는 클러치의 개방/체결에 따라 A가 엔진에 붙느냐 바퀴에 붙느냐입니다.
N↔D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영향을 받는 부품이라면 셀렉트 레버의 레인지 스위치(인히비터 스위치), 솔레노이드 밸브, 클러치 마찰 면을 눌러주는 피스톤 씰, 클러치 마찰재 등이 있고, 부품이 점점 劣化되면 유압 응답성 달라져서 쇼크가 나거나 클러치 마찰 면이 타는 등 주행하기 어려운 상황이 오게 됩니다.
N에서 엔진과 같이 돌던 A가 클러치 체결(N→D)에 의해 바퀴에 붙을 때 A의 속도 변화는,
*브레이크 ON 시에는 아이들rpm→0 rpm
*브레이크 OFF 시에는 아이들rpm→바퀴속도( 바퀴속도 > 0 rpm, 클러치 체결에 의해 토크가 전달되어 차속 증가)가 되고,
브레이크 OFF 시가 상대속도(아이들rpm-바퀴속도)가 더 작으므로 체결시간이 더 짧으므로 클러치 발열량은 유리한 방향입니다.
마찬가지로 악셀을 밟은 채로 클러치가 체결되는 것보다 아이들에서 입력 토크가 더 적은 상태로 체결시키는 게 발열량에 유리합니다. 그러므로 유리한 모드만 고르자면 –브레이크 OFF 후 D셀렉트 하여 클러치 완전 체결한 후 악셀 ON– 이네요.(발열량은 상대 속도와 토크, 시간에 비례합니다.) 그리고 브레이크 OFF 시가 샤프트나 기어, 프레임이나 마운트 등에 가해지는 스트레스가 적으므로 전체적으로 유리해지겠네요.^^
아이들에서 브레이크 ON 또는 OFF에 N→D의 “통상적인 셀렉트”의 횟수는 차량의 내구성에 영향을 끼칠 신경쓰일 만한 모드는 아닙니다. 클러치 체결 전에 악셀을 밟는다던지 하는 것(악셀 밟고 N→D, N→D 후 바로 악셀)은 학습과 관계없이 반드시 내구성에 악영향이 있습니다. 메이커에서도 이를 통상적인 운전모드에 준한다고 분류하고 검증을 하지만 운전자에 따라 악셀 밟는 타이밍이나 조작 횟수 등의 편차가 심하므로 차를 아낄려면 매뉴얼에도 쓰여 있듯이 안전을 위해서라도 지양해야겠지요.
최근의 변속기는 D정차 시에 알아서 N으로 빼버리는 기능이 있습니다(아이들 뉴트럴 제어). 레버와 클러스터는 D 레인지 상태 그대로이지만 정차라고 판단하면 연비 향상을 위해 변속기가 알아서 클러치를 해제하여 N상태로 만들어 줍니다. 아예 알아서 시동을 꺼버리기도 합니다(아이들 스탑 앤 고). 발진할 때에도 역시 알아서 다시 클러치를 붙여주거나 시동을 걸어줍니다.
-
유학생 149.***.6.50 2011-12-1617:54:46
“클러치 체결 전에 악셀을 밟는다던지 하는 것(악셀 밟고 N→D, N→D 후 바로 악셀)은 학습과 관계없이 반드시 내구성에 악영향이 있습니다.”
윗 분 글중에 이 문장이 가장 중요한 것 같습니다. 저도 예전에 한국 방송에서 나온것을 본적이 있는데요. N으로 바꾸는 것은 정차중 연료소모를 확실히 줄여준다고 하더라고요.. 그리고 N->D 혹은 D->N으로 바꿀때는 크게 문제가 없다고 합니다. 다면 윗 문장처럼 기어가 바꿔지기 전에 가속을 해버리면 그때는 당연히 문제가 되겠죠.. 그 방송에서는 정차 시간이 충분이 길다고 판단되고.. 출발하는 시점을 예상해서 출발전에 미리 D로 바꿔두라고 하더군요..
-
정차 208.***.166.47 2011-12-1700:07:01
유학생님 말에 동감합니다. 저도 한국 텔레비젼에서 에코 드라이브 방법이라고 본적이 있는데 정차시에 N 으로 기어를 바구면 연료를 생각보다 많이 절약된다는 사실을 알았습니다. 출발시에는 D 로 바꾸고 기어가 충분히 들어간 다음 엑셀을 밟아주면 전혀 문제가 없다고 들었습니다. 좀 귀찮지만 연료를 절약하고 싶은 분들에게는 강추입니다.
-
그러니까요 67.***.236.20 2011-12-1705:37:56
정차시 D가 아닌 N으로 하고 있으면 연료 절약되는 것은 맞는데
D와 N을 자주 오가며 받는 미션의 충격도 고려해야 되는게 답이죠.
즉 이 둘간에 trade-off관계가 있는데
3분 이상의 정차시에는 N으로 하고 있는 것이 좋다라는 것입니다.
근데 이것 참 애매하죠.. 3분있을지 아닐지 잘 모르니..
근데 왠만한 대도시 아님 신호에서 3분 이상 서 있을 일이 없으니
그냥 D로 있는 것이 좋다라는 것입니다. -
원글 76.***.58.193 2011-12-1801:52:01
귀한 댓글 달아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제게는 거의 답이 정해지는 듯 하네요. -
정말 중요한것은 64.***.235.84 2011-12-2707:54:36
연비보다 중요한게 안전성이죠! 중립으로 있을때는 엔진브레이크가 안먹습니다. 정차시 중립으로 놓았을 때 뒤에서 누가 밖으면 차가 앞으로 미끄러지죠. 연료 조금 아끼려고 중립운전습관 들이시다가 사고나시면 일이 커질 수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트럭 아저씨들이 내리막길에서 중립놓고 가시다 엔진브레이크 안먹어서 사고나는 경우가 종종 있다고 하네요. 자동차는 뭐니뭐니해도 안전성이 최고죠. D에 한표!
-
원글 69.***.174.139 2011-12-2721:30:41
원글입니다. 정말 중요한 점, 잊지 않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저기.. 오히려 후방 충돌 시 중립상태가 에너지 분산해서 인체에 더 충격을 약화시키죠. 큰 충격시 오토매틱차량 브레이크 놓치면 그대로 앞으로 가서 오히려 2차 사고가 더 크게 날 수도 있고요.
아울러 충돌시 엔진브레이크는 무슨 말인지 모르겠어요 ㅎㅎㅎ. 엔진브레이크는 일부러 저속상태를 수동으로 유지해 내리막길 등에서 물리적 부하를 걸어줘서 가속도 붙는것을 저해하는것입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