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재 한국에서 4년제 대학에서 전기공학과를 곧 졸업을 앞둔 학생입니다.
여차여차 해서 정부에서 하는 K-MOVE 사업에 들어가서 내년에 해외 인턴을 갈 기회가 생겼습니다.
요즘 고민이 원래 1학년때의 전공이 컴퓨터 였으나 전과를 하여 전기과를 왔는데 해외로 눈을 돌리니 컴퓨터에 비해 많이 밀리고
저를 증명할게 없다고 느껴져서 좀 불안합니다.
해외쪽에서 전기쪽으로 일을 할려고 하면 무엇을 준비를 해야 할까요 … 현재 저를 증명할것이 성적뿐인데 이건 한국안에서의 성적이니 없다고 생각이 되어집니다.
해외에서 잡을 갖기 위해서는 기술이 최고라고 생각이 되어 1년간 인턴후 거기서 기술을 배울수있다면 좋겟지만 안된다면
다시 귀국후 PLC 프로그램을 배워서 다시 나가볼려고 합니다.
전기관련 직종에서 일하시는 선배님들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
-
PLC 배우면 좋기는 하겠지만 한국에서 주로 배울수 있는 일제 PLC는 미국에서 희망 없습니다. 독일제나 미제 배우시구요. 그 보다 중요한건 미국 자격증입니다.
그런데, 미국 자격증 딸 실력, 노력이면 한국 기사 1급 자격증 딸수도 있을겁니다. 그러면 어디가 더 삶의 질이 높을자비교하기 힘들것 같습니다. 제가 아는 케이스 중에 한국 기사 1급 있지만 미국 자격증 없던 사람 고생끝에 한국으로 리턴했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한국 기사 말씀하시는데 전기기사 말씀하시는건가요 ..??
-
-
저는 현재 미국 빅3 자동차회사 중 한군데서 Control Engineer 로 일하고 있습니다.
3년전에 한국에서 현대차 계열사로 현지 채용되서 왔고요.
그후에 미국 메이져 자동차 회사로 옴겼습니다.
PLC는 주로 지멘스를 하고요. 그외 AB나 일본 미쯔비시계열 모두 다 합니다.
미국에 이분야 자격증이 있는지는 모르겠구요. 저도 없어서… 미국 학위도 없습니다. 순수 토종..
모 영어는 일하는데 크게 불편이 없을 정도고요.
저도 한국에 있을때 교육 정말 많이 다녔습니다.
국내에 재직자과정 많이 있어요.
그리고 PLC 배우실려면 관련 자동제어 회사에 들어가시는게 가장 빠릅니다.
미국에 와보니 PLC하는 사람들 대우가 좋더군요. 해 볼만 합니다.
건승을 기원 합니다.-
조언 감사 합니다.
혹시 조금더 여쭈어 볼게 있는데 메일이나 연락 가능한 방법이 있을까요 ..??
같은 상황인데 무언갈 하기는 해야겠는데 아직 경험을 하지 않아서 이다보니 명확하게 알지를 못하는 상황입니다..ㅎㅎ
혹시 도움주실수 있으시면 메일 남겨 주시면 감사 하겠습니다.
-
-
전 미국4년제 전기공대 졸업하고 , 공장, 발전소, 미국 정부 시설 설계 관리 일 10년좀 넘께 했습니다.
대학교 졸업 앞두신지 얼마 안됬다고 하시니 몇마디 적겠습니다.
회사에서 경력없는 대졸을 고용시 1~2년정도는 투자 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회사에서 교육하고…. 한 2년동안 투자하고, 2년쯤 되면 이제 좀 일을 해 회사에 PROFIT 을 준다고 말합니다.
미국으로 인턴 잠시와서 뭔가 특별히 SPECIALIST 다 라고 생각할 만큼의 실력을 어떤 분야에서 같기에는 기간이 제 생각에는 좀 짧으실꺼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특별히 한국에서 받아서 좋을 자격증이 있을지 모르겠고요.
전기 일이 넘치는게 사실이지만, 그만큼 능력있고 자격증 있는 엔지니어도 많아서,
한국대학 졸업후 영주권/시민권도 없으신체 미국회사에 취직하는건 제 생각에는 불가능합니다.컨트롤님 말씀대로, 현대 협력 업체로 들어와서 옮기는 방법이 제일 좋은 방법인거 같고, 학원에서 배우는거보다, 회사에서 들어가서 현장에서 직접 해보시는것이 100배 빨리 배울겁니다. 협력업체 들어가도, 영주권 받고 해야 이직하기 수월하지, 그렇치 못하면 어렵고, 또 현대 협력회사 일하다가, 미국 회사로 옮기시고 문화차이 등등… 때문에 적응 못하시는 분들도 많이 봤습니다. PLC 도 잘하면 좋은 대우를 받을수도 있겠지만, 또 잘하는분들이 원악 많고, PLC 쪽 일하시게 되면 공장 일을 하시게 될껀데, 공장 일이라는것이, 라인이 가동중단 되면 회사에서 입는 금전적 손실이 어마어마 하기때문에, 그 라인을 최대한 빨리 복귀해야합니다. 그럼 밤샘도 밥먹듣이 하겠지요~
또 다른 방법은, 미국 대학원에들어가서 졸업후 취직을 알아보시는것이.
결론적으로, 특별히 자격증…. 준비 하셔도, 한국 대학 나와서 영주권/시민권 없이 취직은 힘들고요, 알라바마공장 현대쪽으로 알아보는게, 아마 제일 좋은 방법인거 같습니다.
-
좋은글 감사합니다.
작년에 먼저 인턴쪽으로 해서 가신분들 보면 알리바마 에 있는 현대 쪽으로 간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럼 제가 미국에서 자격증을 준비 한다면 무엇이 가능할까요..?
FE 정도로 알고 있는데 이것 말고 혹시 다른 제가 응시 할수 있는 자격증들이 있을까요..?
-
-
이미 잘 알고 계신거 같은데, FE 자격증은 PE 따기전 스텝중 한개인거지 그것만으로는 진짜 아무것도 아니고, 또 왠만한 졸업생들, 졸업후 바로 시험 봐서 취득하고 취직 합니다.
설계쪽으로 갈계획이 없고 PLC 제어쪽으로 일하실계획이면 PE 가 커리어에 필요하거나 도움이 될꺼같지는 않습니다.
-
제가 아직 견문이 좁아서 어느 직종이 미래가 밝은지를 잘 모르는 상태입니다.
그래서 일단 기술을 배워야 될거같아 PLC 로 갈피를 잡으상태입니다.
설계쪽으로 갈려고 생각을 해보았는데 그럴려고 하면 최소한 미국에서 석사 과정은 밟고 나와야 취직이 될거 같아 자금적으로 부담이 되서 살짝 내려 두었습니다. 제가 잘못 알고 있는거라면 혹시 조언을좀 얻을수 있을까요 … R&D 분야도 충분히 흥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
-
설계도, 석사 과정이 필요한 분야는 아닙니다.
설계는 경력이 제일 중요하고, 경력이 4년 이상이 되면 PE 가 꼭 필요합니다.문제는, 설계는 일도 많치만, 그만큼 하는분들도 너무 많아서 미국에서 대학교를 졸업하지 않으셨으면, 무경력에 취직이 불가능할꺼 같습니다.
전기쪽으로 특별히 R&D 할께 뭐가 있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현대쪽에 설계회사가 하나 있는데, 회사 이름이 기억 나질 않네요.
또 현대쪽 건설회사들도 많습니다. 하지만, 건설쪽으로 가게 되면 직접 설치하는 일을 하셔야 할수도 있을꺼 같습니다. 신분도 없고, 또 ….. 작은 회사들이 설계 엔지니어 따로 둘만큼 여유있지 않습니다.한국 건설 회사에 취직해서 동중부에 출장을 다니다보면 다른 미국에 진입해있는 회사들과 접촉일 생길터인데, 경력이 어느정도 쌓이면, 그회사들과 입맥을 좀 쌓아 오는것도 도 방법일꺼 같습니다.
-
감사합니다.
제가 잘못 알고 있엇나 봅니다 ..ㅎㅎ
PE 취득위해 FE 는 이제 준비 해볼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일단 제 진로부터 먼저 확실히 정해야 하는데 어떠한 일들이 정확히 현장에서 어떻게 돌아 가는지 보아야 저의 적성과 맞는지를
알수 있을텐데 그걸 모르니 참 고민입니다…감사합니다. 꾸준히 알아 보겠습니다.
-
-
동중부가 아니고….. 중동쪽 이였습니다.
-
자격증에 절대 목메지 마세요. 아무 필요 없습니다. 무조건 실무기술과 경력 입니다.
한국서 현대기아차 관련 업체중에 자동제어 관련된 회사 찾아서 입사 하세요.
보통 PLC만 주로 외주로 받아서 하는 회사는 몇명 안되고 임금도 얼마 안되지만,
열심히 하겠다하면 보통 받아 줍니다. 특히 지멘스 하는 업체를 찾으셔야 합니다.
지멘스 PLC기술자는 한국에도 별도 없지만 미국에도 별로 없어요. 미국은 거의 AB…
그리고 거기서 몇년 고생하시면서 기술및 실력 향상과 영어회화 집중 하세요.
그러면 자연스럽게 기회가 올것입니다. 그때쯤이면 주변에서 물어봐요 너 미국올 생각없냐고..저도 불과 몇년전이었습니다.
어떤 인터넷 카페에 미국에 먼저 와 계신 PLC하는분에게 미국에 어떻게 갈수 있냐고 물어보았는데,
귀찮았는지 답변이 없더군요…
이젠 스스로 개척 하셔야 합니다. 이런데 질문 올려 봐야 좋은말 해주는 사람 별로 없어요.이제 다른 생각 하지 마시고 자신의 목표대로 열심히 하시어 꼭 성공하시기를 바랍니다.
-
답글 정말 감사 합니다.
혹시 그럼 PLC 말고 전기 관련 직무에 대해서 알수 있을까요…?
어떤 직무들이 미래에 괸찮을지 아직 감이 확 잡히지 않아서 많은 고민중입니다.
이제 곧 전기 로 돌아가는 세상이 될거같아서 PLC 로 갈피를 잡아 보았는데 혹시 다른 길도 있을까요..??
현재 어떻게 일하고 계시나요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