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3-07-0700:37:53 #19978브레이크 24.***.20.116 18150
고속에서 브레이크를 잡으면 잘 모르겠는데, 저속 (10마일 미만쯤..)에서 브레이크를 약하게
잡으면 턱턱..하는 약간 무딘 소리가 뒤쪽에서 들립니다.혹시 무엇을 살펴보아야 하는지 조언 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아무래도 작년에 딜러에서뒷브레이크 패드가 이상하다고 해서 갈았는데(사용하면서 그다지 이상할 이유가 없었는데,아무래도 사기 당한 것 같음) 그 이후로 그러는 것 같습니다. 조용한 곳에서 주의깊게 듣지않으면 잘 모르겠었거든요.차종은 2008년 혼다 CR-V입니다.
-
-
파일런 99.***.8.144 2013-07-0700:48:43
답이 아니라 죄송합니다.
제차는 2005년 Sienna인데 제차도 얼마전부터 저속에서 브레이크를 살짝 밟으면 탁탁탁탁하는 소리가 납니다.
-
포지 76.***.94.63 2013-07-0706:33:59
제가 딱 겪었던 내용이네요.
어코드 2010년 ,비엠 2007년에 동일한 문제겪었습니다
딱히 나사조임의 문제가 아니라면 문제 원인은 아마도 저와 같은 세차 습관. 고압물세차를 브레이크쪽에 자주한것이 원인.
암튼 브레이크 패드 그리스(마찰면 절대 아님)를 캘리퍼 접촉부위, 즉 패드 뒷면과 캘리퍼 가이드 접촉면에 적당히 발라주세요. ㅎㅎ저는 완존 소리 사라졌슴.
-
지나가다 99.***.1.190 2013-07-0707:53:28
브레이크를 정비하면서 구조를 보면 굉장히 간단합니다.
유압파이프가 연결되어 힘차게 패트를 누르면 Rotor와 맞물려 마찰을 일으키면서 속도를 줄이는 그런 구조입니다.브레이크를 밟을떄에만 문제가 생긴다면 이는 접촉부분에서 문제가 생기는 것 외에는 다른 문제가 있기 힘든데요. 만약 내리막길에서 너무 무리하게 잦은 브레이크로 기포가 생겨서 브레이크가 밀리면서 어떤 평상시 보시 힘든 물리적인 현상을 보는 것이 아니라면 말이죠.
아마도 패드가 불량이거나 Rotor가 시간이 지나면서 Warping 현상이 있어서 그런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1. 처음 패드를 갈아끼우면서 Rotor Resurfacing을 하지 않아 Braking Bending 즉 브레이크와 로우터가 잘 매끈하게 Bending이 안되니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Warping 문제가 커진경우
2. 굉장히 뜨거운 날씨에 잦은 브레이크로 한참 로터의 온도가 올라가 있는 상황에서 세차를 한다고 찬물을 부은 경우 혹은 어떤 이유로 갑자기 찬물에 접촉이 되어 극심한 온도차가 생겨도 Warping현상이 나타나고 Resurfacing을 해주어야 하는 경우가 생기기도 합니다.
3. 공기압력 렌치로 휠너트를 조이는 경우 제시된 토크보다도 훨씬 높게 압력이 가해지면서 조여집니다. 이럴때에도 문제가 생기는데 가장 좋은 것은 토크렌치로 손으로 조이는 것이 좋습니다. 정비소에서는 80만되도 충분한데 모든 차에 100이나되는 토크로 쏘니 차들에 문제를 일으키는 거지요.
4. 윗 분 말처럼 Break 패드 뒷면 접촉부위에 바르는 그리스도 있지만 주로 이 제품은 날카롭게 나는 “삑삑”소리를 안나게 하기 위해 씁니다.
원글님처럼 탁탁 소리가 난다면 단순 마찰에 의한 소리보다는 로우터 및 패드 자체의 문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진짜 소리를 들을 수 있다면 좀 더 자세한 조언을 줄 수 있겠지만 여기선 한계가 있네요.)해결방법,
브레이크 및 로우터를 모두 점검하고 교환하거나 Resurfacing을 해서 이런 틀어진 문제를 바로 잡아야만 합니다.
토요타, 혼다 어느 딜러를 가건 정품은 그 퀄리티가 중간정도 밖에 안가고 가격만 비쌉니다.
많은 분들이 가격이 비싸니까 좋을 것이라고 오해하지만 90%가 인건비이고 부품은 아주 싼 놈들을 씁니다.실례로 혼다의 경우 혼다 정품 패드는 아케노보 제품을 많이 쓰는데 그중에서도 아주 낮은 수준부품에 해당욉니다. 물론 딜러에서는 아주 좋은 퀄리티 보장이라고 광고를 많이 하면서 사기를 치지요.
브레이크 림 부분을 보면 굉장히 많은 쇳가루들이 나오지요? 대부분 싸구려 OEM제품들 입니다. 로우터도 비슷한 수준입니다.
가장 좋은 것은 좋은 제품을 사서 직접 교환하는 것이 좋지만, 여의치 않다면 좋은 제품을 리뷰를 보면서 구매한 후 동네 미케닉에게 인건비만 주고 갈아도 됩니다.
좋은 로우터와 패드를 쓰면 그만큼 안정성도 올라가고 Stopping Distance도 줄어드는데요, 제가 볼 때 윗글에 나온 두 분 모두 비슷한 경우 입니다.
저속에서 삑삑 소리가 난다는 것은 결국 바퀴가 천천히 돌면서 그 Warping 및 패드 문제가 소리나는 것을 들을 수 있는 것이고, 고속에서 안들리는 것은 그만큼 빠른 회전에다 차량 속도도 있으니 듣지 못하는 경우입니다.
본인이 정비하기 힘들면 브레이크 전문 샵에 가서 돈을 좀 주고서라도 점검을 받은 후 좋은 제품으로 가는 것이 좋은 것 같군요. 딜러는 피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10대 후반 초짜들의 마루타 체험이 될 가능성이 아주 높고 제품도 좋지 않기 때문입니다.
브레이크 패드와 로우터에 대한 좋은 제품 및 리뷰를 보기 위해선,
tirerack.com이 좋고 요즘은 Amazon도 꽤 괜찮습니다. 그리고 AutoRock도 자신의 부품을 찾은 다음 사람들이 가장 많이 사는 “하트” 표시된 중간 이상 제품으로 가면 실패하지는 않습니다.
도움이 되셨길…
-
원글 24.***.20.116 2013-07-0716:55:56
위의 두분 조언 모두 감사드립니다. 제가 요즘 차량 정비를 스스로 해볼까 생각하고 있었는데, 말씀 듣고 실제로 부품 구입하여 직접 교환해볼까 합니다. 직접 교환해본후에 결과가 어떤지 게시판에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
!!! 173.***.23.19 2013-07-0720:37:37
얼마전에 앞 브레이크 패드를 직접 갈았습니다. 생각보다 어렵지가 않더군요. 뒷 브레이크는 드럼타입이라서 조금 더 복잡해 보입니다. 하지만 조만간 뒷 브레이크의 패드도 직접 갈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패드를 간 후에 adjust를 해야한다고 들었고, adjust를 하는 것이 패드와 드럼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는 것이라는 것을 알고 있는데 막상 드럼을 열고 안 쪽을 보니 adjust를 어떻게 하는 것인지 감이 잡히지가 않습니다. 참고로 제차는 2005 Corolla 입니다.
그리고 원글님께서 직접 정비를 하실 예정이라고 하셨는데, 반드시 충분한 안전장치를 하신 후에 하시길 바랍니다. 무엇보다도 안전사고를 미리 예방하는 것이 우선입니다.
-
MM 207.***.93.60 2013-07-0802:21:18
-
!!! 173.***.23.19 2013-07-0818:19:34
고맙습니다…
-
-
-
지나가다 99.***.1.190 2013-07-0723:49:32
정비안전의 몇가지 중요사항.
1. 토크렌치로 정확한 볼트조임
2. 차체를 들어 올린 뒤 차가 기울어져도 다치지 않도록 고임대 및 추가 안전고려하며 정비 (이걸 대충하다 죽는 사람들 많습니다. 정말 조심해야 합니다)
3. 유툽을 다 믿지 말고 참고만 하기. 시중에 나와있는 정비 책을 숙독하고 간간히 나오는 안전에 관련 된 조언은 반드시 숙지해야.
4. 좋은 툴을 사용. 좋은 정비툴 하나가 엄청난 시간과 고통을 줄여 줍니다. 이는 정비를 해보신 분들은 동의 하실 겁니다. 한번 사면 평생쓰는 툴을 너무 싼 걸로하지말고 좋은툴로 시작.
5. 자동차 포럼 등에 나오는 고수들의 사진과 노하우를 잘 스크랩해서 내것으로 만듦
6. 잘 모르면 절대 무리하지 않기
너무 당연하지만 기본기를 잘 다져 나가면 어느 순간 많이 발전되고 차도 업그레이드 된 것을 발견하게 됩니다.
그때의 기쁨이란. 미국사람들이 자동차 정비에 올인하는 이유입니다.-
원글 24.***.20.116 2013-07-0801:03:58
도움 말씀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
지나가다 99.***.1.190 2013-07-0802:56:03
즐겁고안전한 정비 되시길…
-
-
-
위에 지나가다 50.***.72.203 2013-09-2901:25:56
위에 지나가다는 그냥 지나가는게 나을거같네요. OEM 정품 혼다 브레이크 패드는 positive molding process로 프릭션및 stopping power 가 애프터 마켓제품에 비해 월등히 우수하고 공정자체도 비쌉니다. 그래서 가격도 비싸고요. 뭘모르면 걍 가만있는게 낫죠
How OEM Brake Pads Work Another thing to consider when choosing your brake pads is how they are constructed. All OEM brake pads are made using a positive molding process where the compound is put into a mold, the brake shim is applied to the back of the mold and then the entire compound is heated up to melt the brake compound, pressure it into a perfect mold and bond the shim to the back of the pad. This process helps eliminate noise by minimizing pad movement. Many aftermarket pads are not made in this fashion, rather the compound is heated and pressed in a machine and then a shim is glued to pad after the molding process. While the glue does hold the pretty pad tight, it is not as secure as using the positive molding process.Why don’t most aftermarket brake pad manufacturers use positive molding processes? Well for one, the positive molding is more expensive.
Positive molding process가 더 비싸다고 마지막에 딱 나와있네요 ㅉㅉ 이러니 동네구멍가게 정비소갔다오면 차가 더 망가지는 이유입지다. 아마츄어 10대들의 실력 테스트장이거든요. CPO차를 사고싶은지 동네정비소 점검받은 차를 살건지는 누가봐도 100%자명한 선택입니다
-
이런 소음인가요? 저도 동일한 턱턱 하는 소음이 발생하는데 원인을 모르겠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