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택 근무랑 온사이트에서 일하는 걸 병행하는데요

  • #3618694
    69.***.44.250 2531

    안녕하세요.

    최근에 취업했는데, 대부분은 집에서 일을 하고 있고,
    가끔 출근해서 밑에서 일하는 사람들 체크하는 정도인데요.
    집에서 일할 때 꼭, 집에서 해야 하나요?
    뭐 딴데 여행가서 오전/오후에 노트북 켜놓고 회의 참석하고, 일상 업무 처리해도 괜찮은가요?

    처음에 입사할때 회사에서 VPN으로 자동으로 접속되는 노트북을 받기는 했는데,
    이게 제 위치를 자동으로 추적해서 보고되는 건지 궁금하네요.

    혹시 비슷한 경험있으신 분들 답변 부탁해요

    • ㅎㅎㅎ 76.***.64.230

      IT나 HR 조직이 그리 할일이 없는 사람들이 아니라 봅니다. 아주아주 높은 직급이시라면 모를까…

    • 174.***.208.179

      WFH 이라는게 정해진 집이나 업무 환경이 만들어진 곳에서하라는거지 아무데나 가라는 뜻이 아닙니다. 한두시간도 아니고 하루가 넘는다면 당연히 업무 위치가 다른경우 미리 보고해야지요. 그리고 추적이라고 하긴 그렇지만 VPN툴은 당연 위치 파악해서 로그로 남기고요. 본래 위치추적을 위한 툴은 아니지만 예를들어 퍼블릭 와이파이인데 보안이 상당히 취약한 곳에서 사용하면 직접 보고가 될수 있어요. 지역이나 시간차가 다른 경우엔 VPN 이전에 요즘은 여러 업무용 어플리케이션에서 자동으로 시간이나 지역(도시)를 로그로 남기기에 상대방에게도 쉽게 보입니다. 저같이 못되고 싸한 매니저들은 칼같이 찾아내서 윗선에 바로 보고하거든요.

    • 직장 66.***.194.187

      저희 같은 경우 원래 있는 지역에서 다른 지역에 일이 있어 가는 경우 매니져에게 이야기 하고 그쪽에서 리모트로 일합니다. 잠시 방문 하는 경우 그렇게 하는데 아예 지역이 바뀌면 어떤식으로든 이야기를 해야 할 거 같네요. 업무 특성상 퍼블릭 와이파이에서 접속해서 일하는 건 별로 좋은 생각은 아니지만 한번씩 그러는 건 큰 문제가 되는 건 아닌거 같네요.

    • 1111 172.***.141.26

      휴가는 어디 국 끓여 먹었냐?ㅋㅋㅋㅋㅋㅋ 정식으로 휴가쓰고 놀러 가던가 해야지ㅋㅋㅋㅋㅋㅋㅋ 나 같으면 누가 휴가도 안쓰고 휴가가서 그 짓거리 하고 있으면 상부에 리포트 할 듯

    • 카리타스 174.***.148.64

      인프라쪽 IT부서에 일하는데..하고자 한다면 어디서 일하는지 추적 할수 있습니다. 특히나 요새같이 하이브리드가 대세인 요즘 랩탑 보내줄때 asset managent agent깔아서 보내는데..이외에도 office365, anti-virus등등 admin이 보고자 한다면 public ip 추적 및 Geo fencing같은거 설정도 가능합니다. 단 직원들에게 알려주죠..대부분 문서로 알려주는데 안읽어 보는 사람들이 대부분이죠.
      또한 이런거 주기적으로 체크하고 하진 않습니다…꼭집어 누구누구 언제 어디에서 랩탑 사용했는지 같은 request가 있을때만 확입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