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9-02-2212:12:02 #3307869bb 70.***.29.94 3513
Cox를 통해서 인터넷서비스 이용하고있습니다.
사실 다른 업체가 들어오질 않아서 독점인 회사이구요.
한달에 100불정도 내고, 인터넷만 사용하는데 최대 다운로드 속도는 150Mbps입니다.
식구가 셋이라서, 셀폰 세개, 컴퓨터 세개, 아이패드 두개, 스마트 티비해서 최대 9개까지 접속되지만
동시에 사용하는 기기는 사실상 4-5대 정도입니다.
속도 테스트를 하면 대략 20~35Mbps정도 나옵니다.
이건 정상인지가 궁금하구요.
회사에서 한달에 몇불 더내면 300Mbps로 바꾸어준다고 하는데, 이런 경우는 확실히 속도가 올라가는걸 느낄수 있을런지요?
저녁이후에는 넷플릭스, Hulu등을 통해서 2대 정도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추가로 한두개 더 사용하면 (chrome cast등), 속도가 버벅거리는경우가 많은데,
300Mbps는 확실히 도움이 될런지 궁금해서 여쭈어봅니다.
모뎀에는 두대의 라우터가 연결되어 있고, 모두 듀얼밴드장착된 상급모델들입니다.
-
-
그 정도 속도는 정상이 아닌거 같은데 테스트 하실때 와이파이로 하시면 간섭으로 인해 정확한 축정이 안되고 유선으로 하셔야 합니다.
-
Wifi로 속도 측정을 하면 여러가지 변수가 많아서 실제 최고 속도를 알기 힘듭니다. 윗분 말씀대로 wired로 해보세요.
-
Wired로 하니 속도는 138Mbps나오네요. 아무래도 라우터가 두개이고 연결된 기기가 많아서 wireless에선 속도가 많이 떨어지는가보죠? 이런 경우, 300Mbps 서비스를 신청하면, 스트리밍같은 영화보거나 할때 눈에 띄게 속도가 올라갈까요?
-
KoreanBard 204.***.13.250 2019-02-2213:03:44
150 짜리 쓰는데 기기 몇개 쓴다고 버벅 거리는 것은 느린데요.
유선으로 했을 때 속도 제대로 나오고, 무선으로 했을 때 느리니 집에 라우터/무선 세팅을 좀 잘못 하신게 아닌지 합니다.
1. 우선 라우터 2개를 쓰신다니 밴드가 충돌되지 않는 지 보시구요.
2. 라우터의 위치도 확인 하시면 좋구요
3. 라우터가 허접한거 두개 쓰시면은 좀 괜찮은거 $150-200 대짜리 업그레이드 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안테나 4개 달린 그런거
4. 마지막으로 이번 기회에 Mesh Network 로 가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한 $300 + – 하셔서 메쉬 네트워크 설치하시면 장기적으로 이득이 아닐까 합니다.
-
제가 이런 네트워크나 통신기기에 매우 무지합니다.
현재 라우터1은 모뎀과 일체모델이며, 라우터 2는 집 반대편쪽에 있으며 cat6케이블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따로 셋팅은 하지 않았고, 그냥 두 라우터를 설치하니, 각 기기에 총 4개의 인터넷이 잡히고 (라우터당 두 밴드), 그 어느것을 해도
인터넷은 다 잘 작동합니다. (다만 5G보다는 2.4G이 더 빠릅니다.)
위치는 나름 집의 크기를 고려하면 대략 밸런스가 맞는 지점 인듯하구요.
라우터들은 모두 200불 정도로 아마존에서 나름 리뷰가 좋은것들로 샀습니다.
Mesh network은 처음들어봅니다만, 한번 찾아보겠습니다.
지금 세어보니, 무선 네트웤에 연결된 기기는 총 14네요. (셀폰 4개(방문객 한명 포함), 데스크탑 3개, 아이패드 2대, 스마트 티비 1대, 랩탑 1대, 크롬캐스트연결 tv 2대, 프린터 1대). 그러나 동시 사용은 아마도 저녁시간대에 약 6-7가 최대일듯합니다.
-
-
cox 300Mbps 월 54.99 내고 있습니다. 모뎀도 무료 임대받았고요 , 2년 계약 프로모션입니다
그전엔 수년간 월 $100 내고 150Mbps 썼었고요
그리고 Mesh Network 추천합니다 사용중 wifi 로 연결된 컴퓨터는 자주 끊겼다 연결되곤 했었는데
Gogle wifi 사용후에는 단 한번도 끊김 없네요 속도도 스트리밍 하기 충분하게 나와줍니다 -
인터넷 속도는 괜찮네요. HD비디오 6대 정도 동시에 물려서 봐도 문제없는 속도입니다. 2.4가 더 빠르다고 하니 아마 와이파이 간섭이 심하거나 5g 접속 거리가 먼저 같은데요.. 가까운데는 5g로 쓰시고 먼데는 2.4로 써보세요. 5g는 속도는 빠른데 거리가 멀어지면 신호가 약해지니까요. 그리고 사시는곳에 따라서 이웃집과 와이파이 채널 간섭이 심하기도 합니다. 와이파이 라우터에서 채널을 자동으로 검색하게 하는것도 방법입니다.
-
저는 19불내고 30 Mbps 쓰는데 넷플릭스 잘보고 게임잘 하고 있습니다. … 너무비싸네요. 저같으면 버라이존 핫스팟 쓰겠습니다.
-
그러게요. 저도 너무 비싼것 같아서 xfinity니 verizon이니 다들 알아봤는데,
제가 사는곳이 너무 시골이라서 그런지 cox말고는 centrylink밖에 안된다는데,
이 centrylink는 저희 집 같은 경우 최대 40Mbps라고 하네요.
시골사니깐, 서비스도 부실하고, 집은 쓸데없이 복잡한 구조에 넓기만 해서 이래저래 불편한 점이 많네요.
조금전에 cox service에 전화해서 물어보니, 150Mbps는 접속기기 5대 이상이면 속도 저하될수 있다고 300으로 바꾸라고 하네요
한달에 4불 더내면 된다고 해서, 그리 하기로했습니다.
여러 조언주신분들께 모두 감사드립니다. -
콕스에서 뻥치는거구요. 40Mbps 면 여러기기 써도 충분합니다. 집이커서 WiFi 속도 떨어지는건 게네들이 해줄수있는게 아니고 리피터 여러개 사서 곳곳에 놔두면 되구요. 방금 또 4불 낭비하셨네요 . 그나저나 사람들은 무조건 시골은 물가쌀꺼다 하는게 이런거 보면 시골이라고 물가 절대 싼게 아닙니다.
-
가장 먼저 해야 할 것은 모뎀과 PC혹은 랩탑을 케이블로 직접 연결 후 속도 측정을 해 보셔야 합니다. 이른 아침 기준으로 150Mbps에 근접하게 나온다면 인터넷 회사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속도는 제대로 나오는 것 입니다.
그런데 왜 스피드 테스트를 하면 30~40Mbps밖에 안나오느냐…
두가지 중 하나 입니다.
– 5Ghz SSID가 아닌 2.4Ghz를 쓰고 계시기 때문입니다. 본글을 읽으면서 이쪽을 강력하게 추정했는데, 추가 리플 보니 맞네요. 2.4Ghz SSID로 연결되면 인터넷 플랜이 900Mbps짜리라 할지라도 30~40Mbps정도 나옵니다. 2.4Ghz의 한계라고 보시면 됩니다. 핸드폰이나 아이폰등등을 메인 라우터(모뎀+라우터라고 하셨으니 모뎀있는 곳으로 가서) 바로 코앞에서 5Ghz SSID에 연결하고 속도 측정 해 보세요. 케이블로 직접 연결된 상태와 거의 비슷한 속도가 나옵니다.(대신 케이블로 연결한 것보다 더 빠르지는 않습니다. 뭔짓을 해도 wireless는 wired보다 더 빠른 속도를 가질 수 없습니다. 기술적으로 그러 합니다.)
– 그래도 안나온다면…. 라우터가 구리거나 그 동네에 이놈저놈이 라우터를 써 대서 신호가 뒤섞였다고 볼 수 밖에 없습니다. 핸드폰에서 wifi analyzer 같은 앱을 깐 뒤에 집 근처에 쓰지 않는 channel로 wifi를 바꿔주는 방법을 택하실 수 있겠지만… 이건 너무 멀리 온거고 보통 전자에서 해결이 됩니다.그러기 때문에 300Mbps로 업그래이드를 한다고 해도 똑같이 2.4Ghz SSID로 연결하면 속도가 30~40Mbps정도에서 머물게 됩니다. 대신 더 많은 기기들이 한꺼번에 인터넷을 써도 병목현상은 많이 줄어들겠지요. 하지만 빨라지는것과 쾌적해지는것은 다른겁니다.
집이 매우 크지 않는 이상 집 구조상 쓸데없이 벽이 많은 집으로 예측 됩니다. 5Ghz의 경우 빠른 속도가 장점이지만 2.4Ghz보다 짧고 벽이 조금만 있어도 신호가 반토막 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걸 보완한 기술이 mesh network입니다. 5Ghz의 속도와 2.4Ghz의 커버력을 가진 장비라고 보시면 됩니다. 비싸고 성능에 의심 된다면 리턴이 쉬운 costco나 amazon에서 구매하시고 마음에 안들면 리턴하시는 방법도 있습니다.
또 한가지 우려점은 메인 라우터가 케이블 회사에서 준 것 이네요. 보통 케이블 회사에서 비싼거/좋은거 안줍니다. 구린거 줍니다. 만약 모뎀 바로 앞에서 5Ghz로 연결했는데도 속도가 엉망이라면 모뎀+라우터 합본된 장치를 모뎀으로만 변환 시키든지 wifi를 꺼버린 상태에서 두번째 라우터를 연결, 그 라우터의 5Ghz로 연결 해 보시고 차이를 보세요. 차이 있으면 케이블 회사 라우터가 구린것 입니다.
-
많이 배웠습니다.
300으로 업그레이드해도 크게 나아지지 않을것 같거나, 4불 낭비라고 하시니 조금 우울합니다.
지금 집에 혼자 있어서 이것저것 테스트 해봤습니다.
– Wired: 138Mbps
– Wireless 2.4G 멀리 있는 라우터: 26Mbps
– Wireless 5G 멀리 있는 라우터 : 신호가 안집히네요
– Wireless 2.4G 가까이 있는 라우터: 65Mbps
– Wireless 5G 가까이 있는 라우터 : 24Mbps
집에 벽이 좀 구조가 복잡하고 좀 넓은 집입니다. 아마도 윗분들 말씀들어보니
집크기나 구조때문에 5G는 제대로 작동안하는것 같고, 혼자서 사용해야 최고 70Mbps정도일듯하네요.
이정도만 되도 좋은데, 가족들이 본격적으로 기기들 사용하면 25-35Mbps정도인가 봅니다.
구글에서 나온 mesh network 제품 좋아보이는데, 먼저 300으로 업데이트 신청했으니
그 후에 다시한번 테스트해봐야겠네요.
시골이라고 물가 싸지 않아요 ㅠㅠ 집값만 많이 저렴합니다.
조언주신분들 모두 다시 감사드립니다. -
아직도 이해를 못하시네요. 지금 무선 속도가 유선속도인 138Mbps 가 안나오는데 유선망을 300Mbps 로 업그레이드 한다고 해서 더 빨라지지 않습니다. 일단 무선으로 138Mbps 나오고 난 다음에 업그레이드 하세요. 지금 유선망을 300Mbps 로 끌어올리는게 문제가 아니고 보틀넥이 무선에 있기때문에 라우터든 매쉬든 연결해서 무선속도를 높이는게 필요합니다. 무선으로 24Mbps 나오는데 유선속도를 150 에서 300 으로 늘린다고 24Mbps 보다 더 나올것 같으세요?
-
라우터에서 무선을 다 꺼버리고, 성능좋은 AC Access Point 하나를 집 한 가운데 천장에 달아주는 방법도 있습니다.
Long Range 커버되는 모델을 집 한가운데에 달아주면 어지간한 집이면 다 커버 될겁니다.
$100 정도면 됩니다. 아마 무선이나 유선이나 속도 비슷하게 나올겁니다.
Mesh 가 편하기는 하죠…초기 투자 비용이 좀 쎄서….ㅎㅎㅎ
여러 리뷰 찾아보시고 좋은 선택하세요. -
Mesh 제품으로 가실 생각이면 유튜브 리뷰 검색 해보시길. 저도 구글 wifi로 갈까 하고 리뷰를 좀 보고 있었는데 구글 wifi가 최상의 제품은 아닌 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