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돈 벌려면 박사하지말라는????

  • #3409774
    나무 175.***.3.182 4225

    미국 “이공계”박사졸 기준
    보통 20만불 정도는 받고
    년차 쌓이면 여기서 조금 더 받아서
    30-40만불 가겠죠

    근데 이 정도면 한국에서 의대 치대 한의대
    나와서 일하는 사람들 보다
    비슷하거나 더 버는데

    아무리 세금 제외한다고 해도
    달에 순수하게1500은 벌지않나요?
    결혼 안하고 혼자살아도 넉넉하게
    살것같은데 뭐가 힘들다는건지 모르겠네요
    엄살아닌가요?

    한국에서 개업한 저랑 비슷하네요

    • q 24.***.134.46

      박사가 돈을 많이 안번다는게 아니라 엔지니어들은 이공계 학사나 석사 하는거랑 크게 차이없으니까 그런건데 잘 모르시는듯.. 어짜피 박사에 20 주는 직장이면 학사나 석사만해도 15시작해서 올라갈텐데

    • Bn 73.***.234.42

      20만 이상 받는건 CS 박사들이지 다른 이공계 박사가 아닐 가능성이 많고요. CS학부 졸업 직후 회사 들어가서 승진하다보면 CS 박사 달고 들어가는 직급/연봉보다 높을 가능성이 많아요. 박사들은 4-6년간 stipend 2-3만 받고 공부하는데 그네들은 15만 20만 이미 받고 있으니 경제적으로 좋은 투자가 아니라고들 하는 겁니다.

    • CS 172.***.35.17

      박사는 정말 케바케에요. 스타가 되면 돈이 쫓아다닙니다.

      아무리 좋은 학교가도 좋은 논문 없으면 그냥 회사에 자기 연구 분야 살리지도 못하고 가야되는데 그럼 학석사 출신 개발자나 다를게 없어요.

      연구주제가 매우 매우 중요합니다.

    • 칩쟁이 142.***.230.165

      Chipmaker 회사에서는 너도나도 ph.d들이기 때문에.. 또 스토리가 다르죠. 짐켈러같이 학부만 마치고도 헤네시-패터슨급 대가가 된 예외도 있지만.

    • 박사 147.***.209.101

      스펙으로서 박사는 별 의미 없고요.
      본인이 박사 하면서 어느 정도 실력을 올려 가치를 올릴 수 있을지 고민해야겠죠. 박사를 하며 회사에서 배우지 못하는 것들을 배우게 되니…
      하지만 평균 정도의 박사면 평생 net income으로만 따지면 보통 손해일겁니다.

    • 1 118.***.77.155

      google swe 기준
      학사졸 1년차 – L3
      학사졸 2년차 – L3~L4
      학사졸 3년차 – L4
      학사졸 4년차 – L4~L5
      학사졸 5년차 – 대부분 L5

      박사졸 1년차 – L4
      박사졸 2년차 – L4~L5
      박사졸 3년차 – 대부분 L5

      고로 학사졸 5년차 = 박사졸 3년차
      학사졸부터 박사가 평균 6년정도임을 감안하면 4년이 늦음. 그새 버는 돈 생각하면 훨씬 늦음

    • Abc 108.***.30.247

      한국인이 미국에서 박사하고 포닥하고 나면 나이가 이미 삼십대중반 넘어갑니다. 미국인 중에 CS 전공해서 잘하는 친구들보면 20대 초중반에 이미 연봉이 15만입니다.

    • 맞는 말입니다. 50.***.222.101

      돈 벌려면 절대 박사가면 안됩니다. (CS 박사는 다른 얘기입니다. )

      보통 박사를 갈려면, 최소 4~5년 또는 길게는 6~7년 정도의 시간이 필요합니다.

      그 기회비용을 생각하면, 학/석사 끝나고 회사 들어가서 경력 쌓는게 훨씬 유리합니다.

      나중에 잡 서치를 해보시면 아시겠지만, 박사출신 보다 학/석사 출신 5년 이상 경력직이 훨씬 유리합니다.

      Ph.D는 너무 over-rated 되있습니다. 박사학위는 “리서치를 할 줄안다” 이게 전부 입니다.

      여전히 네임벨류와 타이틀을 중요시하는 한국 대기업 같은 경우는, 해외 Ph.D들 모셔갑니다. 연봉도 상당히 파격적이고, 시작 직급도 과장급입니다. (회사와 계열사마다 호칭이 다르지만, 보통 이 정도 선에서 시작합니다)

      근데 미국은 전혀 다릅니다.

      정말 필요한 분야가 아니면, 구지 Ph.D를 뽑을 이유도 없으며, 아카데미에서의 경력보다 회사에서 보낸 경력을 훨씬 더 인정해 주기 때문에 정말 pigeon hole 입니다.

      당장 링크딘이나 glassdoor 들어가보세요… Ph.D prefered 포지션이 얼마나 되는지요.

      아무리 아카데미에서 날고 긴다고 한들, 인더스트리는 전혀 다른 얘기입니다.

      박사 초봉 20만불..?? CS출신 아니고서는 전부 10만불 초반이면 잘 받는 거에요.

      Ph.D를 하면서 보낸 시간을, 절대 “돈” 으로 환산 받을 수는 없습니다. (CS 박사 제외)

    • 박사출신 73.***.16.13

      박사를 왜 하느냐, 한 케이스로서 언급한다면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기 때문임다.
      1. 관심 분야에 대한 평생 전문가로 행사할 수 있다. 물론 동종 업계에 종사해야만.
      2. 학계쪽 컨퍼런스나 학술지 논문을 계속 써 낼수 있슴. 본인의 연구능력을 지속하기 위한 방편이면서 해당 연구 분야에 대한 동향 파악 및 학계나 산업쪽 인풀런서로 활약 가능
      3. 박사 학위 동안 평생동안 영문 페이퍼를 스스로 써낼수 있는 문장력을 키움. 페이퍼를 써낼수 있다는건 연구분야에선 창의력 다음으로 중요한 능력임.
      4. 박사학위 동안 학석사 과정보다 안정된 재정 상황을 유지 가능. 지도교수와 관계만 유지하면 학위 과정 중 적어도 벌어논 돈 까먹지 않아도 된다는.
      5. 평균 5년 정도의 학위 기간 중 본인 연구 능력에 따라 eb-1 영주권 취득 및 꾸준히 eb-2 영주권 관련 취업 시장에 어플라이 가능. 석사 2년 동안 논문 쓰랴 인턴하랴 취직 준비하랴 탈진되는게 싫은 대기만성형 타입은 박사가 미국 취업 기회를 본다면 나아 보임.

      위의 사항은 지극히 개인적 경험과 제한된 주변 사례를 바탕한 결론임. 참고만 하시라는.

      • 맞는 말입니다. 50.***.222.101

        많이 공감되네요 ㅎㅎ

        개인적으로 박사학위를 하며 얻은 가장 큰 성과는 5번 NIW… ㅎㅎㅎ

    • ㅑㅐ셔465 99.***.218.46

      돈에 대해서 잘 모르는 원글같은데요.
      돈이 무엇인지 함 곰곰 생각해 보시면 금방 해답이 나올텐데요.

      힌트를 주자면,
      돈은 똥입니다.

      똥박사가 아닌이상 보통 박사들이 똥을 좋아하겠습니까?
      무슨 말인지 이해하겠습니까?
      ㅎㅎㅎㅎ

    • ㄷㅇㄷㄹ 211.***.255.132

      20만불이라니 잘못 알고계시네요.

      보통 공대박사 평균 6년 걸리고 (석박 포함) 석사를 한국에서 하고 오면 더 걸리지만 그런 분들은 미국 올 방법이 박사 밖에 없으니 제외..

      공대박사 초봉이 TC 10에서 15 사이입니다. 금융이랑 전자과면 15만에서 20만까지도 받지만 나머지는 낮아요. 컴공 역시 박사 해고 초봉 20에서 24 사이입니다. 그렇게 크지 않아요. 본인 전공 탑10 학교에서 박사하려면 자기가 나온 학부에서 학점이 꽤 높고 연구도 많이 해야합니다. Competition이 매우 심해요. 한 해에 보통 한 학교당 10명 내외로 뽑는다고 가정하면 1년에 전 세계적으로 100명도 안 뽑습니다.

      그런 확률을 뚫고 졸업해봐야 남는건 학위 하나 뿐인데 인더스트리에서는 학위보다 경력을 더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그래서 학부 졸업하고 6년차가 박사 1년차보다 돈도 더 많이 벌고 직급도 더 높죠…. 게다가 대부분 메니져급 엔지니어들은 박사도 없어요. 직급이 높을 수록 학력이 더 낮아지는 현상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단지 박사 하면 좋은 점은 그 경험 자체가 꽤 재밌을 수 있으며 졸업하고 나서 한 분야에 전문가가 되기 때문에 실용적인 연구를 하고 나오면 잡 시큐리티가 매우 좋아질 수도 있습니다.

    • ㄴㄴㄴ 96.***.229.64

      본문에서 “이공계” 박사라고 했는데,

      이공계가 워낙 광범위한 분야라서, 그냥 이공계라고 얼버무려 뭉뚱그려서 말하면 답이 안 나오죠.

      일단 이공계의 ‘이’하고 ‘공’만 분리해도 차이가 심하게 나고

      ‘공’ 안에서도 세부 분야에 따라서 천차만별

      ‘공’ 안에서, CS만 한정해서 말한다면 글쓴이 말이 맞겠지만…. 그 나머지 분야는 미안하지만 해당 안 됨.

    • 99.***.251.199

      원글은 가정이 잘못되었습니다. 일단 박사학위를 지원하는 사람은 돈을 목적으로 지원하는 사람은 드믑니다. 그리고 반대로 돈에만 가치를 둔다면 차라리 장사를 하세요. 만일 고등학교만 나오고 장사해서 성공한 사람들은 그 비싼등록금내고 대학은 왜가냐고 ‘돈벌려면 대학가지 말라고 하던데 맞나요?’하고 똑같이 물으면 뭐라고 답하시렵니까? 그럼 한번 생각해 보세요. 정말로 비싼돈 내고 다닌 대학4년이 그렇게 가치가 없는 일이었습니까? 장사해서 돈번 친구를 보면서 만약 몇년전 으로 되돌아간다면 대학입학장은 포기하시겠습니까? 대학은 기본이래서 다르다???? 그건 한국인들 기준에서 그런것이고, 실제로 그돈으로 다르거 하겠다고 대학않가는 애들도 많아요.

    • 유학 50.***.27.253

      돈을 생각한다면 대학 4년도 사치죠.
      4년동안 비싼 등록금은 왜 내나요?
      고등학교 나오고 사업을 하세요.
      바닦부터 시작해서 일구세요.
      왜 박사를 하느냐?
      고등학교때 왜 대학을 갔죠?
      평균적인 보편적인 삶을 살려고 갑니다.
      고졸보다는 대졸이 평균적으로 수입이 많습니다.
      대졸보다는 석사가 석사보다는 박사가 평균적으로 수입이 많습니다.
      성공확률이 높다는 거죠.
      다만,,,박사를 하면 기회비용이 많이 지출됩니다.
      단지 돈만을 생각한다면 박사는 무의미 하죠,
      돈만을 보고 박사과정을 버티기 힘드니까요.
      흑백논리로 생각할 박사과정이 아닙니다.

    • ㅇ_ㅇ 205.***.233.51

      박사 기간 동안 성과가 괜찮고 학위한 분야를 계속 써먹을 수 있는 포지션으로 취업하는 경우엔 박사가 있는게 좋습니다. 전문성이 필요한 부분은 학사출신으로는 한계가 있을 수 있어요.
      박사를 했었어도 자기 전문 분야 지식을 제대로 못 쓰는 예를 들어 일반적인 software engineer로 취업할 거라면 그냥 학사만 해서 빨리 승진하는게 더 금전적인 면에서 유리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박사학위 172.***.129.188

      박사학위 따고 코딩쟁이 개발자 따위로 취직해놓고 박사학위 쓸데없다라고 하니 어이가 없는게 원래 개발자 갈꺼면 박사하면 안되는거지…

      박사하면 리서치쪽 갈려고 하는거.. 개발자가 목표인데 박사하면 부웅신..

    • 99.***.251.199

      달글만 봐도, 여기는 하도 CS 하시거나 지원자들이 많아서 박사학위에 대한 기본적인 관념이 좀 다른듯합니다. 즉, CS는 학사만 나와도 결국 박사학위자와 하는일이 별로 차이가 안난다는것. 연봉이나 직급도 박사나 비박사이에 벽이 별로 없다는거. CS는 박사과정에 하는 일들도 테크니컬한 부분이 많아서 학문적인 부분이나 특성이 강하지 않다는점. 박사해서 학사도 할수있는일을 한다면 박사할 이유는 전혀 없습니다. 인정. 근데 그냥 CS만 그런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