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지니어링 학생인데 수학은 잘하는데 물리를 못합니다.

  • #3332084
    UMichigan 72.***.99.20 2647

    안녕하세요

    대학에서 전/화/기 중 하나 골라서 엔지니어의 길을 걷고자 대학에서 수학, 과학 교양과목을 듣는 중입니다

    수학은 줄곧 A 받아오고 잘하는편입니다 그런데 그냥 기계적으로 교수가 시키는대로 혹은 syllabus 대로 풀어왔고 test review 도 70% 정도가 시험에 그대로 나오고 사실 숙제 꼬박 꼬박만 했더니 그냥 A 주더군요 그러다 이번학기에 엔지니어링 물리를 처음 들었는데 와… 말 그대로 배운 수학을 응용하는 거더라고요. 애들도 수학시간에 배웠던 공식을 자유자재로 유도하더라고요. 저는 무척이나 낑낑댔습니다. 앞으로 전공 들어가면 더 빡셀텐데 엔지니어링 물리에서 이렇게 힘들어하면 어쩔까 싶더라고요… 열심히는 하는 중이라 A는 받겠지만 사실 A 학점이 무슨 의미인지 모르겠습니다. 저는 엔지니어링이 저한테 맞을줄 알았습니다. 왠지 억지로 꾸역 꾸역 하는 느낌이 듭니다. 저는 나중에 인정받는 엔지니어가 되고 싶고 자동차 동력기관쪽에 관심도 많고 자동차쪽으로 취업하고 싶은데 물리가 뭔가 저한테 안맞는것 같아서 안타깝습니다 ㅠㅠ 어떻게 해야되나요? 저같은 사람은 그냥 통계학과로 가야하나요???

    • 경험자 73.***.16.13

      물리 문제 유도가 재미 없는 과정이라면 이공계 체질이 아닌듯..

    • 단순 203.***.53.23

      단순히 숫자로 계산하는게 재밌으신건가요? 연구를 목적으로 하시는 대학원 진학이라면 본인 성향을 더 파악하시라고 말씀드리고싶지만. 취업이 목적이신거면 그냥 재밌고 점수 잘 나오는대로 쭉 하세요ㅋㅋㅋ

    • 물리학자 47.***.218.168

      수학을 적용하는 것이 물리인데, 수학 잘하는데 물리 못한 다는 것은…음…
      과외 좀 받아서 문제푸는 요령을 알면 쉬워져요…

      과외 적극 추천…특히 물리 전공자 출신을 …

      그냥 과목 패쓰하자고 하는 비전공자보다도 물리 좋아서 물리하는 전공자가 가르치면 뭔가 좀 다를거예요..

    • Physics 77.***.247.81

      물리는 제쳐두고

      코딩을 잘하시는지를 봐야겠죠.

    • 고비 172.***.137.212

      못해도 됨

    • 지나가다 207.***.198.198

      취업 할거면 코스워크들은 그냥 학점 유지만 잘 하세요. 아무 쓰잘데기 없음…

    • 학점만 좋으면 됨 174.***.12.78

      어차피 박사 아닌 이상 엔지니어가 이론에 깊게 파고들어갈일 전혀 없음
      학점 관리만 잘하면 됨. 실제 현장에서 쓰는 엔지니어링 수준은 정말 기본 공식에 margin을 많이 붙이는 식으로 진행하지, 교과서에서처럼 optimized design을 도출하려고 절대 안함.
      물론 어느정도 변수들을 최적화하기는 하지만 그렇다고해도 design margin, safety factor 를 엄청 때려넣죠

      결론은 지금처럼 학점 관리만 열심히 하길

    • ㅎㄹ 99.***.217.113

      삐빅- cc생입니다.

    • ??? 50.***.222.101

      현재 전자공학 박사로 있는데요.

      너무 걱정 안하셔도 됩니다.

      말씀하기 전/화/기 계통중에, 전문분야가 applied physics 가 아니시라면 물리는 크게 중요하지 않습니다.

      미국 대학에서 필수로 들어야 하는 물리 과목도 대부분이 메카닉과 일렉트릭 까지입니다.

      종종 quantum까지 들어야 하는 경우가 있기는 한데, 이 한 고비 말고는 물리 때문에 힘드실 일은 없을 거에요.

      그리고 누가 요즘 체질에 맞아서, 좋아하서 하나요?

      어려워도 비젼있고, 진입 장벽이 높은 공부를 해야지요.

      저도 물리를 잘하지는 못했지만, 어느 덧 박사과정 끝자락에 있습니다.

      님도 할 수 있어요. 화이팅입니다 ^^

    • A6 32.***.144.196

      하다 보면 어느 순간 아하! 모먼트가 있을겁니다. 전 물리 전기는 쉬웠는데 화학은 빵점.

    • 지나가다 149.***.7.28

      대학물리, 물리학과는 아무나 하는게 아닙니다.. 기본 지식과 누적된 지식이 일단 있어야하고. 80, 90년대때는 전국수석은 물리학과에 갔었죠. 물론 타과로 전과하거나 밥 굶고는 있지만. 그러니 물리못한다고 자신탓할필요는 없어요.

    • 지나가다2 174.***.33.99

      이과 적성이 있는지 없는지 확실하게 알게 해주는 리트머스 시험지 같은게 수학이 아닌 물리 과목이다.
      내가 만나본 물리 전공한 애들 보면, 입학은 공대보다 쉽지만 어떤 이과 전공을 해도 잘할 수 있는 기본기가 있더라.
      반면에 기타 과목 전공한 꽤 많은 애들이, 필수 물리 할때는 아주 진땀 빼면서 자신 없이 하지만 그 후에 자기 전공은 곧잘 하는 사람들도 많고… 그렇지만, 이런 애들은 그렇게 길게 가진 못하는거 같고.
      수학은 1차, 물리는 2차 적성 검사나 마찬가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