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코드 엔진 스켄 P2647 경험있으신분

  • #19812
    궁금이 70.***.224.61 3718
    그동안 말썽 없이 잘탄다고저밑에다 글쓴게며칠전인데

    오늘 드디어 문제가…..

     

    엔진체크 싸인이 갑자기 떠서 오토죤 가보니

    P2647  라고 합니다

     

    딜러가니 대충 보고는 900 불 불르며 내일 오라고해서

    다른 일본차 전문점 갔더니

     

    저코드가 여러 가지가 걸리는데

     

    그일본차 전문점 에서는

    VTEC SOLENOID   가 문제라고하면서 고치는데 270 달라고하네요

     

    혹시 저 엔진스캔 코드 경험있으신분 답변 부탁드립니다

    인터넷에서는 고쳐도 다시뜬다거나

    다른 걸 고쳐야 한다고하는데 모르겠읍니다
    • MM 207.***.93.60

      VTEC Oil Pressure Switch 교체
      VTEC 솔레노이드 청소

      찾아보니 둘중 하나로 고칠듯 하네요.

      http://engine-codes.com/p2647_honda.html

      Possible causes
      – Check engine oil level and pressure
      – Faulty VTEC Oil Pressure Switch
      – VTEC Oil Pressure Switch harness is open or shorted
      – VTEC Oil Pressure Switch circuit poor electrical connection

      Tech notes
      For the 2003–2005 Accord L4s, 2003–2005 Elements, and 2002–2005 CR-V Honda models replacing the VTEC oil pressure switch (P/N 37250-PNE-G01, H/C 6737217) usually fixes the problem.

      http://www.justanswer.com/honda/3adot-p2647-code-says-rocker-arm-actuator-control-system.html

      Locate the Variable Timing Electronic Control (VTEC) pressure switch on the end of the cylinder head. Honda has had problems with the VTEC oil pressure switch. There is an updated part number for the vehicle (37250-PNE-G01). On this vehicle, the VTEC oil pressure switch can fail at any RPM.

      http://repairpal.com/failed-vtec-oil-pressure-switch-020
      2004 Honda Accord, 68,000 mi
      Enthusiast
      Engine hesitated while accelerating from a stop. The check engine light (CEL) came on immediately. Autozone pulled the code of P2647. I replaced the oil pressure switch (37250-PNE-G01) and the o-ring (91319-PAA-A01).

      http://www.driveaccord.net/forums/showthread.php?t=24626

      VTEC Oil Pressure Switch 교체
      The Honda Part number is 37250-PNE-G01
      Part installed. Extremely simple. You need a 10mm and 22mm socket. 10 is to remove the bracket on the valve cover for clearance (that holds the power steering line.) Unplug the sensor, and its a 22mm. I put 100 miles on it last night. Rev’s normally (YAY!) I was able to hit 3500-4000 effortlessly. However, the idle is still extremely poor, about 250-400, car vibrates like it is going to die. Also the check engine light never went off. My brother has my OBDII reader, so I’m just going to dump it at the dealer.

      VTEC 솔레노이드 청소
      i had the same problem all i did was remove the vtec solenoid found on the passanger/firewall side of the motor and i cleaned the hell out of it with brake cleaner then just sprayed the opening in the motor where the solenoid goes with brake cleaner put it back and i was good to go

      http://www.ebhparts.com/?p=catalog&mode=search&search_in=all&search_str=37250-PNE-G01

      이 part 가 소유차에 맞다면 $50 정도 하는군요.

      • 궁금이 70.***.224.61

        감사합니다
        저가격에서 끝났으면 합니다

        • MM 207.***.93.60

          멀쩡할지 모르는 부품, VTEC Oil Pressure Switch 교체 보다는

          1. 엔진오일 교체 (이건 솔레노이드가 많이 더러우면 임시적 방편일지도)
          2. 솔레노이드랑 Switch 부근을 분해해서 브레이크 크리너 등으로 청소

          해보고 나서, 해결 안되면

          3. VTEC Oil Pressure Switch 교체를 해야할거 같네요.

          본인이 직접하면 돈이 별로 안드는데 정비가 처음이면 하기 힘들듯 합니다.

          솔레노이드 청소하는법 비디오… 쉽지 않네요.

    • MM 207.***.93.60

      엔진오일을 갈아 보는게 제일 먼저 할일 이라고도 합니다.

      http://www.elementownersclub.com/forums/showpost.php?p=823505&postcount=23

      Just wanted to let anyone who reads this thread know how i fixed the problem.

      I did an oil change.

      I went to the Honda dealer on saturday morning and a tech said whenever they see this code, all they do is do an oil change. Sure enough, it fixed the problem.

      VTEC 솔레노이드 청소시에
      솔레노이드와 오일프레셔스위치 주변의 screen(망) 청소를 한답니다.
      또 엔진오일을 자주 잘 갈면 이 근처가 좀 덜 더러워 진답니다.

      http://www.elementownersclub.com/forums/showpost.php?p=701574&postcount=18
      I replaced the VTEC Oil Pressure Switch, cleared the codes and took the car for a test drive. After driving about one mile, the MIL came back on. The same code, P2646 came back.

      I called a friend who happens to specialize in Hondas and he suggested that I clean the screen that is located in the same housing as the VTEC Oil Pressure Switch and Solenoid. The screen is designed to stop debris from getting into the Solenoid and VTEC Oil Pressure Switch. Upon removing the screen, I found it to be very dirty. I cleaned it with Brake Cleaner and Compressed Air and the car is running great now.

      It is extremely important to keep the oil and filter changed regularly. I hope this helps anyone else who encounters this problem.

    • 원글 70.***.224.61

      인터넷에보니 원인이 오일이 더럽다 오늘간 정비소에서도
      엔진오일을 제일 먼져 말하더군요 언제 갈았냐 제때에 갈았냐
      5천이내에서 갈고 혼다 엔진오일 모니터가 20% 이하에서 간적이 없을 만큼
      미리 갈아주었죠 그것도 혼다 딜러에서요
      오일이 센다거나하는 문제 하나도 없고요

      이번에 이사와서 혼다 딜러에서 갈았는데 두달 전에요
      그럼 이번에 갈은 혼다 딜러에서 잘못을?
      엔진오일 량이 맞고 설사 다른 5-20 인데 10-30 5-30 를 섰다고한들
      그것만으로 저렇게 될수는 없고
      오일필터를 않갈았다고쳐도 글쎄요

      미국 혼다 동호회? 미국애들 싸이트 보니
      저랑 비숫하게 관리 해준 사람 차도 이게 들어오는거 보면

      그냥 망가질려니 망가졌나 생각해야하는지도 모르겠읍니다

    • MM 207.***.93.60

      두달 전에 갈았다면, 오일 교체 시도는 안해도 되겟네요.
      솔레노이드 망 청소 일본차 전문점에 시키는게
      순리인거 같습니다. 망이 더러워서 오일 압력이 안 걸리면
      그 코드가 뜨고 고속에서 Vtec도 안걸리는듯 합니다.

    • 엿같아 70.***.130.53

      내 일본차 좋다고 샀다가 두번 다 잔고장에 날라갈 듯한 오토바이 같은 승차감.

      미국차로 가니 이리 좋건만, 일본놈들 상술에 중고차 값도 알고 보니 거기서 거기.
      미쎤 안 나간 것만을 위로 하지만 일본차 정말 명성에 비해 별볼일 없었음.

      특히 왁스 세게 매기다 좀 힘줬더니 얇은 겉 바디 판이 푹 들어 갈 정도로 약한 황당한 품질.

      그러니 일본차와 미국차가 부딪히면 일본차는 완전히 동급인데도 아작이나두만.

      주위에서 아직도 일본차 어쩌구 저쩌구 추천하면 입을 찢고 싶음. 쪽발이들의 상술에 다들 넘어가고 있으니….

      • eco 198.***.76.118

        다른건 모르겠는데

        “특히 왁스 세게 매기다 좀 힘줬더니 얇은 겉 바디 판이 푹 들어 갈 정도로 약한 황당한 품질. “

        요건 저도 경험해봐서 깊은 공감 ㅋㅋㅋ

        • 지나가다 146.***.4.24

          엿같아님, eco님께 한 마디 드립니다.

          그 간 Car게시판이 애국심에 호소하여 현대, 기아차를 사야 하는가 혹은 일제 차를 사도 상관이 없지 않는가에 대한 문제로 시끄러웠던 것이 사실입니다만, “사실”에 대한 왜곡은 좀 곤란하지 않을까하여 한 마디 드립니다.

          1. 얇은 바디로 인하여 왁스질에도 들어가는 형편없는 품질: 모든 차량이 그러하지 않습니까? 심지어는 트럭도 다름이 없습니다. 차제의 강성을 결정하는 것은 프레임이나 샤시라고 얘기하는 “뼈대”가 결정하지, 겉 포장이 좌우하지를 않습니다. 또한 재질의 차이가 있기는 합니다만, 거의 모든 자동차 회사에서 같은 두께의 강판을 사용합니다. 철강 회사에서 공급하는 같은 두께의 철판을 사용합니다. 다만 사용자가 느끼기에 다른 것은 얼마나 혹은 몇 겹이나 추가로 보강재를 사용하였는지 여부가 “느낌”을 결정할 뿐이고, 실재로는 “품질”로 얘기를 할 만큼의 차이는 없다는 것을 얘기하고 싶습니다.

          2. 최근에 IIHS에서 실시하고 있는 Small Overlap Crash Test를 한 번 보시라고 얘기를 하고 싶습니다. 과연 동급의 미국 브랜드 차량과 일본 브랜드 차량이 어떤 결과를 가져오는지….. 아마 몇몇 차량은 친구나 이웃의 차량에 동승을 하게 되는 상황에도 타고 싶지 않을 것으로 생각이 됩니다.

          3. 중고차 가격이 일본놈들 상술이라는 것도 동의하기가 어렵습니다. 이 문제는 중고차 구매 시나, 본인의 차량을 중고 판매 시에 모든 분들이 느낄 수 있는 부분이므로 추가 설명을 필요가 없다고 생각이 됩니다.

          개인의 경험을 일반화하는 과정에서의 오류가 없을 수는 없지만, 그 오류가 마치 전체의 문제인 것처럼 하는 것은 사실 관계를 왜곡하는 것이 아닐런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