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2-10-0718:09:35 #3734534아마존조로존존존 71.***.53.211 1380
답변 감사합니다~
-
-
리테일에 팀이 몇갠데 워라밸이 어떻냐니요..매니저 마음입니다.
levels.fyi 찾아보세요 -
팀바이팀이에요. RetailWebsite 쪽이면 아무래도 tier 1/2 관련 서비스 운영할 가능성이 높은데 이런곳은 강도가 높죠. 얼마나 잘 운영되는 팀에 따라 work load도 다를거에요.
샐러리도 개개인마다 다르겠지만 시애틀 기준 TC 260K+ 정도 받아요. 오퍼받을때 levels 에 나오는 평균에 살짝 높게 나오면 좋은거라고 봐요.
당연히 오퍼가 여러개면 카운터할때 좋겠지요.-
작년에 280k 정도 오퍼 나왔는데 260이면 좀 낮지 않을까요
-
-
구글 카운터 있음 아마 구글보단 더 줄 겁니다.
-
석사에 3년차면 아직 돈이 중요할 때는 아닌데, 저같으면 구글오퍼가 200k 나와도 구글 갑니다. 아마존 하고 구글은 비교 대상이 아닙니다.
1. 아마존 경력이 생기면 나중에 구글이나 메타 가더라도 아마존 출신이라는 선입견 때문에 인정받는데도 오래걸립니다.
2. 아마존은 남을 깎아 내려야 내가 살아남는 문화라 그런 문화에 길들여진 사람들은 채용하는 입장에서도 꺼려합니다.
3. FANG중에 하나인게 SWE에게 그리 플러스 요인이 아닙니다. 아마존 리테일이나 월마트나 SWE이력서 받아볼 때는 그게 그겁니다. 구글하고 아마존 양쪽 다 인터뷰 보셨으면 아시겠지만, 아마존 하고 구글 SWE 수준차가 너무 커서 비교 대상이 아닙니다. SWE 수준으로 줄 세워보면 Tier 1: 구글 메타, Tier 2 Stripe, 에어비엔비, 우버, 드랍박스, LinkedIn, 스냅, Pintrest 정도이고 아마존은 Tier 4 아래로 칩니다. -
Google과 Meta를 다녀보지 않아서 뭐라 말은 못하지만 아마조리언의 한 사람으로써 너무 하급으로 넣으신듯 해요.
-
주변에 아마존 직원들을 보면 매니져들은 나름 자부심도 있고 잘 다니는것 같은데 엔지니어들은 하나같이 아마존 탈출하는게 인생의 목표인것 처럼 너무 절실해 보여서 밖에서 봐도 뭔가 문제가 있구나 싶긴 하네요
-
아마존 직원들이 가장 싫어하는게 PIP. 해마다 팀 인원의 일정 비율을 해고해야 한다는 어처구니 없는 룰을 고집하는데다가 동료들의 문제점을 찾아내서 메니져에게 보고하는게 본인 고과에 득이되는 문화를 좋아하는 사람들은 사회성에 문제가 있는게 아닌가 싶음. 보통 다른 회사들은 동료가 발전하게 얼마나 잘 도와주는가가 중요한데 아마존은 동료의 결점을 들춰내서 빨리 해도되도록 하는게 중요함.
-
워어님.
sde 에서 무슨일 하시나요? 팀마다 하는일마다 tier 순위는 다릅니다.
저 aws 오로라디비팀에서 database engine 연구 개발하고있습니다. 디비의 경우 매우 복잡하고 난이도 높습니다. 클라우드 메인프로덕트 구요. 클라우드 핵심이 데이터 저장이니 말 다했죠. 디비로 따지면 말씀하신 tier는 틀립니다.팀마다 하는일 마다 빅테크회사 장단점이 있답니다. 그리고 누군가를 밟고 올라서야 하는 문화도 불가능팀도 많습니다. 하는일의 complexity가 높을수록 혼자 해결하기 힘들어서 서로 돕습니다. 연구 개발하면서 논문 특허 많이 썼지만 한번도 혼자 힘으로 해낸적 없습니다.
-
아마존은 뭐.. 이름값 못하는 회사죠. 특히 엔지니어들에게는. 메타와 함께 피해가야할 회사 중 하나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