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 디자인 전공자 계신가요? 구직 문의

  • #3400261
    드리머 166.***.143.114 1625

    저희 가족이 이번에 영주권을 받아서 아내가 취업을 하기를 원합니다. 한인 회사에 간다는데요. 분명 제가 느끼기론 한인 회사가 재택 근무도 없을 뿐더러 애 둘을 케어해야하는 입장에서 그만한 플렉서빌리티를 주지 않을 것 같아서제가 반대를 하고 있어요. 전 출퇴근 시간이 정해져있어서 아이들 케어하기가 어렵거든요.

    우선은 제 아내는 스스로 시급이 적더라도 알바라도 하길 원합니다. 아내가 한국 유명대학에서 학-석사까지 했고 메이져 광고 회사에서 일하기도 했어요. 결혼 이후에는 프리랜서로 책 표지 디자인, 로고 디자인 등을 했습니다. 전 이런 경력을 가진 아내가 한인회사 가서 보조잡일을 한다니 아깝네요..

    아내가 걱정하는 건 그냥 영어문제인거 같습니다. 제가 resume도 봐주고 전화인터뷰도 연습 같이 할 건데요. 제가 미국 remote design job에 대한 정보가 없어서 질문을 드립니다. 우선 연봉은 고려안하고 재택 근무 여부가 가장 큰 고려요소 입니다.

    1. 리모트 디자인 잡 공고를 내는 회사에서 원하는 아웃풋은 어떤 것인가요? 목표 디자인을 납기 맞추면 되는 것인가요?

    2. 영어 수준은 어느정도를 요구하나요? 제 아내는 듣는 건 잘 하는데 말하는게 좀 부족합니다. 문법에 안맞고 단어들을 모아서 의사전달을 하는 정도입니다.

    3. 레쥬메 및 지금까지 작업한 포트폴리오를 재출하려고 합니다. 잡 지원시에 또 고려할 점이 있을까요?

    • Gg 175.***.30.136

      미국은 한국과 디자인 시장 구조가 많이 다릅니다. 한국은 제조업 중심으로 그래픽, 제품, 웹디자인 강세일 수 있으나, 미국은 it, 소프트웨어 중심이라 ux/ui, 영상, 모션디자인이 수요가 많습니다. 아무리 한국에서 서울,홍대,국민대 나왔더라도 사실상 미국에서는 잘 모르고 비슷한 인력의 공급이 미국에서도 많이 이루어집니다. 물론 실력이야 있으시다 한들 현지 학력이 없다면 많이 어렵습니다. 굳이 뽑을 이유가 없으니까요. 또 발표와 소통이 굉장히 많은 현지 디자인 분야에서는 영어실력 매우 중요합니다. 현지에서 석사를 다시 하시는 것을 추천드리고, 그렇지 않다면 계속 많은 장애물을 넘어야합니다.

    • 여기 68.***.41.67

      실력이 있으시니, 한인 회사든 미국 회사든 전공 살려서 취직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일단 시작하면 본인이 알아서 이직하고 기회도 잡고 하 실 수 있을 거예요. 링크드인에 레쥬메 올려두고 꾸준히 구직하구요. 의사소통이 쉽지 않으니 바로 프리로 하는 것보다 얼굴보고 회사 다니는게 나을 거예요. 저도 아직까지 영어 잘 못하고 첫 회사는 한인 회사였지만, 지금 미국 메이져 회사에서 나름 만족하며 잘 다니고 있어요. 한국에서 작업했던 포폴로 현대카드나 그런 한국대기업 북미지사에서 잡올라는거 찾아서 지원해보는 것도 괜찮을 것 같네요.
      화이팅입니다~

    • 35 24.***.160.26

      결혼이유로 미국 온 시디과출신 디자이너인데요.. 저도 영어가 안되서 1년간 한인서 일했고 비자야 곧 해결되는데 영어나 인맥 등 여러가지로 문제라 석사 지원 계획하고 있습니다. 현지 회사와 하는 재택근무는 거의 단발성이고 구하기 힘듭니다. 아니면 기본적으로 한 회사에서 파트타임이나 풀타임으로 근무를 꽤나 하고 실력적으로 어느정도 인정을 받으면 일이 딸려오는 식이죠.. 몇 달전 한 번 재택근무로 헤어제품 디자인하는거 해볼까해서 연락했더니 건당 300인데 수정을 100번이라도 할 마음을 가지라더군요.. 당연히 안했습니다. 아니면 한국 사이트 크몽이나 프리랜서로 일할 만한걸 찾아보시는것도 좋겠네요. 다 가격경쟁에 박터지지만..

    • 2222 40.***.34.210

      디자이너로 뉴욕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영어 안되면 미국 회사 힘듭니다. 경력있으신 분야는 미국에서 찾기도 힘들뿐더러 야근도 많고 쉽지않은 분야입니다. 리모트 가능하고 나름 편하게 일하시고 싶으면 금융 혹은 IT 쪽으로 가셔야합니다.
      옵션을 몇개 드리자면
      1. 학교 혹은 boot camp 로 다시 가셔서 뜨고있는 직종으로 전환.
      2. 한인회사 가셔서 초반 고생하시더라도 경력쌓고 계속 다른곳 지원 정도 겠네요.

      물론 영어는 계속 하셔야죠. PT, 소통 안되면 리모트든 뭐든 뽑아주질 않으니.

    • ddd 157.***.173.5

      확실한건 영어 부족하면 더더욱이 in office로 일하셔야지 리모트는 소통이 더 원활하게 되어야되서 더 어렵습니다. 막말로 말로만으로는 설명이 잘 안될 때 바로 그자리에서 모니터나 자료 보여주면서 즉각적으로 대화하는게 원격으로는 그렇게 쉽게 잘 안되니까요.

    • aaaa 209.***.188.188

      경제적인 면이 부담 안되시면, 사회적응도 같이 하는 차원에서 ui/ux 석사 또는 그에 준하는 프로그램 권합니다. 애보면서 할 수 있음

    • 782 24.***.237.219

      아내분이 현재 상태를 잘 알고 대응하시는거 같은데요..?
      디자인이 그냥 예쁘게 만든다고 끝이 아니라 그 의도랑 안에 담긴 뜻을 설명하고 설득해야되는데 영어가 안되면 힘들죠. 그래서 파트타임이라도 해서 영어에 익숙해지려고 하는거 아닌가요? 한국경력 아깝다고 애지중지 집에만 두면 그냥 과거의 유물이 될 뿐 입니다.

    • 지나가다 54.***.196.170

      그래픽 오래 하신 분이라면 어느정도 감이랑 실력이 있으실테니 신분문제 없으시다면 general assembly같은데서 UX/UI 13주 수업 들으시고 잡 구하시는것도 괜찮은거 같아요. 주변에 그래픽쪽 하시다 그런 수업 들으시고 유엑스로 넘어오시는 분들이 꽤 있더라구요.

      • 2222 40.***.34.210

        현 UX/UI 디자이너입니다만 영어 못하면 꽝입니다. 특히 UX분야는.

    • 디자이너 136.***.156.64

      전 리드 디자이너로 한국 대기업 다니신분들 인터뷰 많이 보는데 영어는 둘째치고 포폴에 프로젝/역활 설명 잘 안되어있어서 다 떨어집니다.
      일단 포폴에서 프로젝에 따라 어떤 유저 문제점이 있고 그걸 어떻게 풀었는지에 대한 설명이 전혀 안되어 있는게 공통적이더라구요.
      그리고 왜 이렇게 했냐고 물어보면 조직에서 그렇게 하라고 했다라고 답하는데 이것도 감점입니다.
      여기선 결과보다는 프로세스를 많이 보고 그걸 어떻게 잘 설명했느냐가 디자이너의 중요한 역량으로 봅니다.

    • 17.***.239.14

      실리콘벨리 스타트업(seed, series a) 단계 디자이너 일이 많이 필요해요 생각보다. 단순 아이콘, 일러 부터 하다가, 디지털 프로덕 디자인도 많이 하구요. 투자유치 시 혹은 일정 레베뉴를 넘기면 얼마 준다, 1단계 2단계 이런 형태의 계약인데를 구하시는 걸 추천해요. 당장 돈은 못벌지만, 확실히 어영부영 하는게 아니라, 제대로 준비를 하는 스타트업일 가능성이 높구요. 실제 돈이나 지분을 획득하면서 와이프분이 자신감도 얻기 좋으실거구요.

      투자를 유치하든 말든, 프로젝트 론칭 혹은 참여만으로, 이동네에서 필요로하는 디자이너 스킬셋을 배우기 좋으실거에요. angel.co 같은데 함 봐보세요. 다 리모트고 생각보다 이나라 저나라서 참여하기때문에, 언어가 꼭 필수는 아닙니다. 코어맴버가 아니면. (당장 돈벌이가 아니니, 돈이 급하시다면 비추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