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전공하고 구글,마소 이런데 취직 가능한가요?

  • #170797
    생겨요 24.***.185.36 6635
    수학전공이고 전산과목은 네개정도(C++,이산수학등등)만 수강신청한 학사졸업생입니다.

    전산부전공하는 필수과목보니 열과목 정도만 들으면 되던데

    석사를 전산으로 들어가면 따라가기 힘들까요?

    아님 했던데로 수학을 석(박)사로 하고 전산은 별도로 공부하는게 

    더 베이스를 깔아주는걸까요? 수학전공하면 조합론 전공할 예정입니다.

    졸업하면 취직할 예정인데, 주변에 물어보니 수학이 더 기초를 깔아준다,

    수학전공하면 구글,마소같이 큰 회사 아니면 들어갈데 없다,

    거기도 전산 졸업자가 더 우선이다, 등등 말이 많습니다.

    수학전공자의 취업현황은 어떻습니까??

    만약 전산석사 시작하려면 이름있는 대학은 들어가기 힘들거 같아서 그것도 염두에 둬야하는 상황입니다.
    • ISP 160.***.20.253

      님이 무엇을 하고싶고 목표에 달린거 아닐까요?

      님이 연구나 학교에 남고 싶다면 당연히 박사 가셔야 하는거고
      님이 취업에 관심이 있다면, 박사 보다는 석사를 하시는게 나을것 같습니다.

      그리고 님의 관심사가 수학이냐 cs 냐에 따라서 어느쪽을 할지 정하는거구요.

      수학도 applied math 쪽을 하신다면, 취업이 괜찮습니다. 조합론이 아마도

      combinatornics 던가 그런거 같은데, 이쪽이면 optimization 쪽으로 요즘 길이

      많은걸로 알고 있습니다.

      단, 수학과를 하신다면 랭킹이 좋은곳으로 가셔야 취직과 연관이 되실겁니다. (석사건 박사건)

      하지만, cs는 학교 랭킹은 수학보다는 덜 받는거 같습니다.

      저희 팀에 보면 박사도 있고 석사도 있고 학사도 있습니다만,

      박사들은 학교가 좀 유명한학교가 많고, 뉴욕이라 그런지 석사는 다 유명한학교이고

      오히려 학사들은 석박사에 비해서 학교들이 덜 유명 합니다.

      참고로 저는 금융쪽에 있습니다.

    • 수학최고 192.***.104.170

      저희팀(image processing R&D)에 수학과 박사 있는데
      수학이면 수학 프로그램이면 프로그램 엄청 잘합니다.
      무엇보다고 수학이 강하기에 가면 갈수록 일추월장합니다.

      수학을 전공하면, 갈분야가 매우 많습니다. CS보다 수학과
      더욱 더 추천합니다.

      제생각은 공대 모든 학과의 4년 학부중 2년을 수학으로만 교과과정을
      바꾸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 저도 한표 67.***.41.121

        물리학, 수학이 최고인듯….
        어차피 실무에서는 알고리즘 짜는게 가장 중요한데 초초초정석은 수학, 물리학에서 오는듯

      • 수학최고2 76.***.97.47

        저도 한 표! 저희 지오메트릭 모델링 커널 개발 부서에서는 수학 전공 (대부분 박사 학위) 이 가장 많고 한 물리학 박사도 없어서는 안 될 테크리더이고 컴퓨터 사이언스 전공자들도 이 분야의 수학을 거의 전공하듯이 알아야 합니다.

    • ssss 101.***.9.121

      취업이 우선이면 수학과 비추입니다..
      it업계에서 요구하는 수학이 그렇게 고수준의 무언가도 아닐뿐더러
      당장 일 시킬 사람 찾는데 코딩 못하면 뽑히기 힘들죠.

      • 166.***.208.49

        말씀드리기 뭐하지만 님이 말씀하시는 it인력은 저급 코더인듯 싶네요.
        물론 가장 많이 필요로 하지만…. 아시잖아요. 인도나 중국인들 넘쳐나고
        3-6개월 부트 캠프같은 거 수료한 사람들도 넘쳐 납니다.

        • dddd 161.***.38.59

          일자리중에 수학적인 증명과 새로운 알고리즘 개발 일자리가 얼마나 있나요? 대부분 수학이 아얘 필요하지 않거나 고등학교 이산수학정도에서 끝나는 일입니다. 그것보다 당장 코딩 못하는 어중이 떠중이가 되지 않아야 하는게 급하죠.

          알고리즘개발이요?
          그건 알고리즘 전공하는 박사들이 하는 일이고 프로그래머레벨에서 하는게 아니죠. 대부분은 일은 라이브러리로 구축된것들 가져다 정확하게 사용하는 일이죠.

      • Algo 69.***.45.142

        이 분은 한국에서 오신지 얼마 안 돼서, 미국 IT 실정을 잘 모르시는 것 같습니다.

        미국 IT에서 궁극적으로 ‘고급’ 인력이 되려면 수학/CS/알고리즘/시스템 등의 기본이 탄탄해야 합니다.

        수많은 분이 아니라고 필요 없다고 부정하시는데, 그런 분들은 평생 ‘저급’ 코더로 남게 됩니다.

        물론 ‘저급’ 코더를 비하하는 것은 아니고요. 암만 ‘저급’이라도 일단 IT업계에 들어오면 일반 평범한 사무직 직장인들보다는 연봉이 좀 더 높습니다.

        • 청동 174.***.205.235

          “‘고급’이 되려면 수학/CS/알고리즘/시스템 등의 기본이 탄탄해야 하는데,”
          1) 학부 수학 이상의 수학은 이미 ‘기본’을 넘어섰습니다.
          2) CS/알고리즘/시스템은 그럼 언제 어디서 기본을 다지나요?

      • 아이티 23.***.26.52

        저도 IT종사합니다만, 고수준의 수학이 요구되는 분야는 아니라는 의견에 동의합니다. 원리와 기본적인 이론 공식 이해능력은 당연히 있어야하지만 그건 기본이고요. 근데 그렇다고해서 미분 적분을 쓰고 differential equation등등을 수시로 응용해야하는것은 절대 아닙니다. 수학을 엄청써야한다면 그건 알고리듬 연구하는 박사들이나 필요한듯.

    • 청동 174.***.205.235

      코딩을 우선 할 줄 알아야 합니다. 수학 전공은 그 다음에야 플러스죠. 전산과 커리어페어 가 보면 홍보팀에 수학과 응수과 물리과 전기과 너도나도 양복입고 몰려와서 쭈볏쭈볏 이력서 내는 분들 차고 넘칩니다. 그 사람들 다 어떻게 판별하나요? 일차적으로 코딩 할 줄 아는 사람들로 걸러냅니다. 수학 전공, 있으면 좋죠. 다만 당장 마소나 구글 인터뷰 1차 면접 어떻게 할 건가요. 어차피 이력서로 1차 인터뷰 따내고 나면 그 다음부터는 오롯이 개발 실력입니다.

      1) 최적화, 통계학쪽으로 방향 틀어서 기계학습으로 전공해서 박사로 졸업할 거 아니거나, 2) 수학 석사 받고 또 전산 석사 받을 것 아니라면, IT 회사 갈 목표일 바에 석사 전산과로 들어가서 미친듯이 노력해서 빨리 졸업하고 회사 들어가는게 낫다고 봅니다. 고급 수학 지식이 필요한 정도라면 어지간히 좋은 회사여야 할 텐데, 그 정도 회사라면 수학 박사들을 뽑지 굳이 석사 뽑을 일도 없고요. 그게 아닌 바에야 전산 석사나 전산 학사나 회사 입장에서는 별반 차이 안 둡니다.

      수학 박사 받는다고 치고 코딩 얼추 된다고 치면, 연구하신 분야와 맞는 팀이 있어야 합니다. 그렇다면야 뽑힐 가능성은 훨씬 높지만, 아니면 수학 박사 이력 그닥 안 쳐줍니다. 근데, 박사 학위가 그렇게 나이브한 마음가짐으로 얻어지는 건 아닌 듯 싶더라고요. 그리고 요즘은 시들해 졌지만 퀀텀펀드 같은 파이낸스 쪽… 수학/물리 전공 좋긴 한데, 코딩도 상당히 해야 합니다. 그쪽은 마소나 구글보다 코딩 질문 전문적이고 빡세게 물어보는 듯 하더라고요.

    • 청동 174.***.205.235

      다시 말하면, 수학 학사 했다고 전산 석사 이름 있는 대학 가기 힘들다면서요. 그럼 수학 석박 했다고 전산 회사 이름 있는 곳 가기 쉬울 것 같나요? 전산의 기본에 수학이 깔려있는 건 맞는데, 그것만 가지고 전산과 넙죽 갈 수 있다는 건 아니란 말입니다. 더군다나 연구직 아닌 대부분의 전산직들은 – 설령 그게 구글/마소 같은 탑 티어라 하더라도 – 학부 수학 전공 지식도 이미 충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