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어변속은 현재 속도가 중요합니다.
만약 오르막을 4단으로 올랐으면 내리막은 1단 낮추어 3단으로 내려 가야 합니다. 3단은 2단.
가급적 단계별로 낮추는 것이 좋지만 높은 속도에서 고단에서 저단으로 기어 단수를 낮추면 rpm이 치솟습니다.
차에 무리는 전여 없습니다.
오토인경우는 높은 단수에서 저단으로 내려봐야 그 단수에 해당하는 속도가 되어야 엔진브레이크가 먹습니다. 즉 적당이 브레이크를 함께 써야 합니다.
만약 자동에서 고단에서 1단으로 내리면 미션보호기능 때문에 1단이 안먹습니다.
고속에서는 급한경우 2단까지만 넣고 2단이 먹을 때까지 브레이크를 잡아야 됩니다.
매뉴얼에서는 고단에서 저단으로 변경하면 무조건 기어가 먹습니다. 차 속도가 갑자기 줄고 곧 안정을 찾습니다.
빙판 길에서는 조심해야 합니다. 무리하게 낮추면 슬립이 일어납니다. 즉 5단에서 2단은 급브레이크 잡은것처럼 차가 슬립하여 돌아 버릴 수 있습니다.
속도가 적당하면 빙판길에서 곧 자리를 잡고 안정적으로 속도를 줄일 수 있습니다.
빙판에서는 브레이크 밟는것보다 훨씬 안전합니다.
일반 도로에서도 급 브레이크 밟을때 얼른 저단으로 변속 하는것이 훨씬 났습니다.
차엔진에도 좋습니다.
연료공급없이 피스톤 회전수를 올리니 공짜로 실린더를 청소하는것이지요.
이렇게 하면 차가 더 부드러워지고 가벼움을 느낌니다.
30여년간 오토 매뉴얼 모두 그렇게 사용했는데 아무 문제 없습니다.
주변에서 엔진 망가진다고 걱정들 많이 했는데 엔진은 가혹하게 돌려야 제 성능을 냅니다.
자동차를 아는 사람들은 거의 최고 알피엠을 써서 변속하더군요.
엔진 브레이크할 때 그렇게 하지요. 장시간의 내리막길에서 풋 브레이크 계속 사용하면 브레이크 실린더 과열로위험합니다.이런경우 엔진브레이크를 씁니다. 고속에서 저단으로 바꾸면 엔진부하만큼 일정정도 꾸준하게 브레이크가 걸리는 셈이고 차를 적정 속도로 유지할수 있게 합니다. 그렇다고 고속으로 하다가 갑자기 1단으로 한다든지 하면 클러치 판에 무리가 가겠지요..엔진브레이크는 한 단씩 점진적으로 낮은 단으로 바꿔줘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