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관련 질문

  • #3587201
    삼성 관련 질문 117.***.10.146 5357

    삼성전자 ds는 사업부와 연구소가 있는데, 박사졸 분들은 보통 연구소로 가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반연이나 종기원은 회로 설계(디지털) 직무가 없는것 같은데, 사업부로 가기도 하나요..?

    파운더리 사업부에서 회로 설계 직무로 리서치 연구원으로 들어가는건 어떤가요?

    마지막으로 속물처럼 보일 수 있지만 너무 궁금해서 질문할게요… 삼성ds 사업부, 연구소들 중에서 페이와 워라벨은 어느쪽이 가장 좋은지 궁금합니다. (설계 혹은 소자 직무) lsi는 원래 진짜 박봉이었는데 최근들어 페이가 괜찮아졌다고 들었거든요

    • 궁금 121.***.112.221

      베이스 6500시작

    • 구삼성 223.***.23.219

      리서치 연구원? 경력직 직원일뿐이죠
      페이는 연구소나 사업부나 같을것이고 실수령액은 사업부가 많겠죠 야근이 많으니…
      삼성 사업부는 예전보다 좋아지긴 했지만 워라벨 찾는것은 난센스라고 생각합니다

    • 대부분사업부 207.***.43.2

      회로 설계는 전공자들은 파운더리, LSI, 메모리 사업부로 거의 다 가요. 알고 계신것처럼 종기원에는 설계 직무가 없습니다.
      파운더리 사업부에 리서치 연구원이 따로 있나요? 처음들어봐요. 양산팀말고 선행연구팀이 있긴한데 보통 선행연구후엔 양산으로 가죠. 계속 선행연구만 하기는 어려울 것 같아요.
      박사 기본급은 위에 말씀하신 것처럼 6500으로 거의 동일 하다고 보시면 되고, 다만 해외 박사는 우대가 있습니다 (사이닝, 상위고가보장 등등.. 협상필요). 그리고 PS에서 차이가 있는데 사업부는 알고 계시겠지만 연봉의 50프로까지 받을때가 많이 있죠. 작년에는 메모리/LSI/파운더리 모두 45%정도까지 받은걸로 기사를 봤습니다. 종기원은 그정도 절대 못받아요 (20% 정도).
      워라벨은 요즘 매우 좋아진 것 같습니다. 일단 업무는 주 40시간에 최대 50시간인가? 까지 못하게 강제로 막아놓은것 같아요. 그래서 일이 많아서 더 하고 싶어도 못하는 것 같던데요.. 한국은 리모트업무도 불가능해서 집에서 일은 못하고요. 초과업무를 너무 많이 하게 되면 팀장, 부장님한테도 타격이 가기때문에 업무 효율을 높이기 위해 노력을 많이 하는것 같습니다. 다만 회사 내부에서도 경쟁이 아주 치열하기 때문에 다들 집에가서는 자기전까지 논문읽고, 스펙보고, 공부하고 한다는.. 물론 안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열심히 하시고 노력하시는 분들이 진급도 빨리 하더라고요.
      회로 설계는 어딜가나 워라벨 좋기가 힘든것같아요. 제 주변분들은 다 그렇습니다. 혹시 워라벨 좋은 회사 다니시는 분 계신가요?? 저도 미국 메이저 회사에서 일하고 있는데 눈뜨고 자기전까지 일합니다 . 주말에는 안하려고 노력하고요.

      • ㅇㅇ 182.***.61.58

        자기전까지 논문 읽고 스펙 공부한다는 이야기 듣고 갑자기 겁이 생겨서 질문합니다… 말씀하신 생활은 디지털 회로 설계 현직자(vlsi, soc 설계 등등)도 마찬가지인가요..? 졸업하고 취업한 뒤에는 그래도 개인적인 생활 보장받으면서 이 직종은 평생 그럴 수 없는 운면인가요… 너무 겁나고 우울해지네요 ㅠㅠ

    • 지나가다 205.***.233.52

      저는 SET긴 하지만 사업부에 있었습니다. 퇴사 한지 2년 가까이 됬는데 제 경험은 워라벨은 지금 미국 에서 보다 좋았습니다. 제가 있던 곳은 리모트는 가능 하지만 서로 안하려는 분위기였구요. 제가 있던곳은 주52시간 때문에 부장이상은 6시인가 PC가 강제 종료 되었구요. 대부분 다시키고 일하긴 했죠ㅋ 어쩌다가 주 52시간 넘어갈거 같으면 그만 일하라고 여기 저기서 엄청 괴롭힙니다. 오히려 그게 더 스트레스 였어요. 출장 갔다가 주말에 들어 오면 자동으로 8시간이 업무시간에 추가 되는데 이것 때문에 주52시간 초과 할수 있으니 주말에 그냥 출장지에 있다가 월요일에 들어 오라고 하더라구요. 월요일날 해야할 일이 있어서 주말에 귀국 하겠다고 전무 결제까지 받았었습니다.

    • 삼성전자질문 117.***.10.146

      와..자기 전까지 논문보고 스펙보도 하신다니.. 엄청 빡세네요 ㅠㅠ 하지만 이 모든건 박사졸후 취업한 분들의 경우인가요??

    • 궁금 98.***.8.171

      종기원 20프로 보너스는 무슨 개소리. Ds통합으로 책정되서 대충 사람숫자많은 사업부의 보너스 따라가는데 사업부간 편차가 커지고 큰사업부가 적게받게 될때도 많이 받는 사업부에 가깝게 따라감. 워라밸 돈 다 좋은곳이지. 근데 회로설계는 없지싶네. 반연도 돈은 종기원과 같은 정책

    • 76.***.123.152

      종기원에 회로설계하는 사람 있어요. 선단연구하는 곳이라 필요하면 사람 뽑아서 직접 설계합니다. 매년 11월 초 개최하는 기술전가면 기술원에서 설계한 칩으로 만든 연구 결과도 가끔 발표합니다. 그리고 기술원 ps 높아요. DS처럼 50프로 인주지만 40 중후반 줘요.

    • 76.***.123.152

      논문보고 스펙보고 한다고요?
      기술원이나 일부 선단연구하는 사람 그리고 논문정리해서 기술트렌드 보고하는 사람말고 사업부 인력이.이렇게 하는 경우 개인적으로 본적이 없어요. 트렌드 보고하는 담당자도 논문 이해 못해서 박사급 인력에게 강제 할당해서 리포트 받아가죠. 특허도 할당량 줘서 분석 후 정리본만 가져가죠. 사업부에서 논문이나 특허 이해 못 해서 설명 부탁이 들어 오기도 하고요. 제 기억은 문서 작성 많이 했던거 많네요.

    • 512 39.***.46.73

      글 올리신 분은 어느 지역 이신가요? 반연이나 각 사업부 인사팀에서 주기적으로 채용팀이 구성되고, 요구되는 고급 인력이 배출되는 시기에 적절하게 해당 (학교가 존재하는) 지역에서 필요한 구인 활동을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UT Austin지역 만을 본다면, UTKSA (UT 한국 학생회) 에 들어가 보시면 이 전부터 채용에 대한 정보들이 나와 있습니다. 언제 어디서 하며 채용 분야등에 대해서도 비교적 소상하게 나와 있습니다. 다른 지역에서도 이와 같은 채용 활동을 하고 있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참석하셔서 궁금한 것에 대해서 현직 채용 담당자에게 직접 물어 보시는것이 훨씬 효과 적일 것으로 생각해 봅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 웃고갑니다 24.***.173.40

      삼성간다면서 워라밸을 묻는다?

      그냥 웃고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