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레이크 밞을때 핸들이 드드 떨림

  • #3768019
    운전자 68.***.172.72 3399

    요즘에 제차가 브래이크 밞을때 특히 빠른속도로 가다가 밞으면 핸들이 다다다 떨립니다. 아주 심하진 않은데 시작이 되었습니다. 보통 뭐가 고장이 난걸까요? 정비소 알고 가려구요.

    • ss501 73.***.178.169

      많이들 얼라인먼트 문제라고 착각하지만, 고속에서 브레이크 밟을때 핸들 떨리는건 100% 디스크가 휜 경우임.
      브레이크 디스크가 열받아서 휘어서 그런데, 증상이 심하지 않으면 연마해서 바로 펴는 방법도 있는데, 그래봤자 한번 휘기 시작했으면 조금 지나면 다시 휘어서 디스크를 교체하는게 근본적인 해결책임. 돈 좀 깨짐.
      예방책은 고속으로 달리다 갑자기 속도 줄이고 하는 습관을 없애면 됨. 고속에서 브레이크를 세게 밟으면 마찰열로 디스크가 변형이 될 수 있는 온도까지 뜨거워져서 휘어지면서 발생하는 증상임. 80마일로 달리다 갑자기 50마일로 줄이고 이러는거 감당할 수 있는 브레이크는 보통 한짝에 3만불 이상해서 람보르기니나 페라리 같은 고급차에나 들어고, 차값 자체가 10만불도 안하는 평범한 자동차에 들어가는 디스크 브레이크는 60마일 이하에서 천천히 살짝살짝 밟아야 차 수명만큼 쓸 수 있어서, 위험한 상황이 아닌 한 고속에서 급 감속을 아예 하지를 말아야 함. 천천히 가속하고 천천히 감속하는 습관이 연비도 절약되고 차 수명도 오래가고…

    • 174.***.112.80

      헛소리 하고 잇다

    • rv 76.***.225.68

      앞 바퀴에 있는 디스크, rotor가 정확한 명칭이죠.
      이게 휜거에요. 그래서 브레이크 밟으면, 브레이크 패드와 로터가 불균형한 마찰로 차가 떨게 되는거죠. 어차피 갈 수록 더 심해지니, 정비소가서 수리하세요.
      로터를 연마해서 갈기도 하고, 새 로터로 바꾸기도 합니다.
      브레이크 패드도 무조건 새거로 갈아야 하구요.
      주행 후에 브레이크에 물 뿌리고 세차하지 마세요. 이러면 직빵이라는 군요.

      • ㅋㅋ 96.***.40.95

        그러면 비 오는 날 운전은 차 바퀴 우산 씌우고 물길은 피하며 브레이크 잡아야 겠네요 ..ㅋㅋㅋ

        • rv 76.***.225.68

        • 24.***.145.21

          비오는 날은 마치 냉각수처럼 빗물이 처음부터 지속적으로 로터를 식혀주기 때문에 급격한 온도변화로 인한 뒤틀림열화현상이 갑작스러운 세차만큼 심하게 발생하지 않습니다.

    • 99.***.63.212

      rotor하고 패드갈면 될것같군요. 예전엔 로터 표면만 다시 갈아서 쓰기도했는데 요즘앤 소모품이라 생각하고 교환하는게 일반적이더군요. 로터가 얼만안되었고 두깨가 여유가 있우면표면을 갈아달라고 해보세요. 가능한지..아니면 교체가 답.

      오랜 주행후 뜨거워진 로터에 갑자기 차가운물로을 뿌리는건 안좋은거 맞아요. 로터표면이 휠수 있거든요. 비오는날 주행하면서 빗물튀는거하곤 다릅니다,

    • 1111 152.***.171.18

      로터랑 패드 교체 하시면 됩니다.
      임시방편으로 로터 표면만 갈아내서 다시 쓰기는 하는데 얼마 안되서 같은 또 같은 증상 나옵니다.
      그냥 이참에 교체하세요.

    • 쪼금아는 172.***.39.71

      위에 글쓰신 분들도 많은 경험을 가지시고, 겪어 보신 분들 같네요.
      저도 디스크 로터와 패드 관련해서 제동 시 떨림, 쏠림 문제를 겪었고
      해결책으로 디스크 로터 교체, 이후에는 정기적으로 연마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제가 위에서 겪은 문제는 출고한지 3년 된 자동차에서 발생하여 디스크와 패드를
      수리/수정한 것이지만, 제가 소유한 12년이지난 자동차에서도 동일한 현상이 발생하고 있네요.
      물론 더하여 험로를 주행할 때도 떨림과 함께 소음도 올라오더라구요.
      차를 들어올려보니 앞바퀴가 허공에서 앞뒤로 움직이는 것이, 로어암 부시고무의 손상 및 경화,
      그리고 로어암 자체의 마모도 좀 보이네요.

      원글 쓰신 님의 자동차가 어느 정도 되신지는 모르겠습니다만 (물론 정확히 문제를 파악하시어
      제동시에만 떨림을 감지하셨겠지만) 고무부품이나 작동부위 같은 경우는 세월을 무시할 수는
      없겠더라구요.

      지나다가 경험담 들려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