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7-09-0709:28:01 #3108654오스틴 71.***.21.239 3547
안녕하세요,
오스틴 S 전자 반도체에 근무 중입니다.
저의는 Senior Engineer에서 Principal 로 갈때 사내 Interview를 거쳐야 합니다.
이게 생각보다 쉽지 않아 2-3 년 시도하다가 포기한 Senior Engineer도 꽤 있습니다.
저의 회사 경우 Principal Engineer면 본사 직급으로 차장 / 부장 정도 대우 해줍니다.
Engineer Career Path로 보면 더 이상 올라갈 길은 없구요.미국계 회사도 이런 Career Path 인지, 또 Principal로 갈때 이런 인터뷰를 거치는지 궁금합니다.
고맙습니다.
-
-
저도 한국 S전자 principal로 근무하다 미국으로 이직했는데요. 한국과 미국 직급 체계가 좀 다른 듯 합니다. 한국에서는 연차 채우면 왠만하면 principal 진급을 해주지만 지금 미국회사의 principal은 더 높은 직급이네요. S전자로 치면 master급이죠. 아마도 쉽게 올라가기 힘든 직급인만큼 인터뷰같은거 하지 않을까요? 저희 회사도 왠만한 고참들은 대부분 senior staff으로 머물더라고요. ㅎㅎ
-
회사마다 다릅니다. 같은 Principal 타이틀이라고 하더라도 큰 회사의 경우가 진급이 훨씬 어렵습니다. 잘 아시는 I사의 경우 Principal 및 그 위 직급이 전체의 1%정도밖에 안됩니다. 당연히 review process도 복잡하구요. 본인이 특출나고 리더쉽도 뛰어나다고 생각하지 않으면, 대부분의 엔지니어들은 어느정도까지 올라가면 그냥 마음 비우고 편하게 삽니다.
-
EDA S사도 principal은 커미티가 열려서 인터뷰 및 각종 단계를 통과해야해요. 보통 소수만 통과하기 때문에 새로 프린시펄이 된 사람들은 전사적으로 알립니다. 직급코드가 Sr Staff만 해도 60대인데, 프린시펄은 100으로 뜁니다. 떨어지면 MTS가 된다던데 확실하진 않아요.
-
원글입니다.
얼마전에 NY Global 파운드리사에서 인터뷰 보러온 Principal 엔지니어가 있었는데,
저의 회사에서 오퍼를 Sr 도 못 받아 좀 의아했습니다.
회사마다 Principal 기준이 다르고 다른곳은 좀 쉽게 주나보다 하고 생각했었는데,
Top Tier 인 I 사도 1% 밖에 안 된다고 하니 조금이나마 위안이 됩니다.
답변 주신분들 모두 감사드립니다.-
그 회사는직급 체계가 Sr -> Principal -> MTS 순으로 상승합니다.
-
GF principal 은 박사 받고 바로 입사했을때..
평균 2~3년 정도 되면 올라가는 레벨입니다.
리뷰 이런거 없고 그냥 적당한 시기가 되었을때 적당한 퍼포먼스면 메니저 레벨에서 올려주는 직급입니다.
다른 회사들 principal 하고 달라요~
-
-
-
지금도 그러는지는 모르지만 10여년전 삼성 책임과 하이닉스 책임이 동급이 아니었죠. 미국도 회사마다 Principal이 다 자기맘대로에요. Title name만 보면 안되는 이유.
삼성은 뻥튀기가 좀 있어서 부장을 Principal이라 할텐데요. 상무가 VP이고. 미국선 어떤회사는 상무급이고 어떤회사는 부장급이죠.
-
제경험은 직책이름은 의미 없다 입니다.
결론은 연봉
A 중견 세계기업:principal engineer 17k/yr +보너스
B매우작은 기업:sr sw engineer 16k/yr +rsu-
B 작은 기업이 160K + RSU 면
S 전자 Principal 연봉은 이 그룹에도 못 끼네요..
-
-
뭐 삼성이면 날세서 일해야 하고
미국에선 8시간이니 시간 따져보면
별 차이 없을듯, 그리고 rsu를 무시 못합니다. -
언급된것처럼 principal 직급은 반도체 업계에서도 회사마다 차이가 많습니다. I사, Q사, EDA S사, FPGA 회사등의 principal은 다 비슷하고 진급이 상당히 까다롭습니다. 몇가지 예와 잘못된 정보 몇가지만 알려드립니다.
I사: 2015년 기준으로 미국에서 Grade 10 이상이 7.4%입니다. (Technical ladder Grade 10중에도 PE title 없는 사람도 있습니다,) 전체로는 3% 선이었습니다. 삼전 PE 출신은 보통 G8, 네고 잘한경우는 G9 정도로 offer나갑니다. B사 associate technical director, Q사 PE 에게는 보통 PE offer 나갑니다.
EDA S사: MTS 와 PE는 동급 (Pay Grade 100), Grade 100로 offer나갈때 title은 MTS로 나갑니다. PE level 경력과 실력은 인정해서 연봉, RSU, 보너스는 동등하게 나가지만 S사에 대한 기여도가 아직 없기에 title에 차이를 둡니다. Contribution이 생기면 title이 PE가 됩니다. G100 이상의 비율은 인텔과 비슷합니다.-
ㅈㄴ 님, 자세한 정보 감사드립니다.
EDA S 사와 B사는 어떤 회사인가요? B 사는 브로드컴 인가요?-
B사는 브로드컴같네요. 아바고 합병이후로 기존의 ATD/TD/SrTD가 다른 타이틀로 변경되었구요. Principal 달기도 어렵지 않고, 다른회사로 이직하면 타이틀이 한단계 내려간다고 들었습니다.
-
-
” (Technical ladder Grade 10중에도 PE title 없는 사람도 있습니다,) 전체로는 3% 선이었습니다. ”
PE title 없는 technical ladder grade 10은 정식 직함이 뭔가요,? Engineering Manager인가요?
PE, Senior PE 및 Fellow 직함 가진 분은 전체에서 1% 좀 넘는게 맞습니다. -
브로드컴, 시놉시스 입니다.
I사의 Engineering manager (management ladder)는 G7-G11까지로 lookup에서 pay grade를 알 수 없습니다. PE가 아닌 technical ladder G10도 lookup에선 알 수 없습니다. Graphic engineer, SoC design engineer, CAD engineer 등등에도 G10이 있습니다. 제가 언급한 자료는 다 public 자료입니다. 2015년까지는 leader (G12+), Sr(G10-G11), Mid(G7-G9), Early (G3-G6) 분포를 diversity report에서 발표했는데 2016년 부터는 발표하지 않아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2017년 부터는 G10-G11을 Mid-SR grade분류할 정도로 많아졌습니다. 물런 아직도PE되는것은 매우 힘들고 드문일이지요. 특히 반도체쪽은 더더욱 힘들죠.Published August 12, 2015 © Intel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TECHNICAL ONLY (US)
Senior Grade 2,716 6.0%
Leadership 192 0.4%2015년 미국 기준으로 technical G10+ 이상이 6.4% 이고 (7.4%는 Typo), 전세계 기준으로 3% 조금 넘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
-
댓글 읽다 궁금한대요. 오스틴 principal 직책정도면 베이스 rsu 등 연봉이 얼마나 되나요?
-
우리 회사, 시높시스,관련 댓글이 많네요. 제 매니져가 principal인데 팀에서도 얼마없는 매우높은 직급입니다. 삼성하고는 레벨이 틀리죠. 저도 삼성 principal이었는데 여기로 옮기면서 staff으로 왔어요. Senior staff이 삼성 고참 수서급 정도이고 시높의 프린시펄은 거의 삼성의 마스터라고 보면 될 듯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