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졸업 하려고 하는데요, 구직 정보 어디서 알아봐야 하나요?

  • #3209833
    초보 64.***.111.132 9502

    미국생활 초보 입니다.

    2019년 여름 박사 졸업 합니다.

    indeed 나 monster 가봤는데 제 전공과 일치 하는곳을 찾기가 힘드네요, 여기 이력서 올려두면 알아서 연락이 오나요?

    전 영주권도 없고 h1b 비자도 없는데 사기업도 갈 수 있나요?

    researchgate 에서 검색 가능한데 대부분 미국이 아닌 유럽 잡이 많더라구요.

    감사합니다.

    • ㅋㅌㅌㅋ 199.***.33.7

      ㅋㅋㅋㅋㅋ 빵터진다 굿럭

    • zzz 8.***.69.20

      교수랑 얘기는 해보셨는지;;;;

      • 초보 64.***.111.132

        보통 1년전부터 잡 알아보지 않나요? 교수님이제 갈 길 막으실거 같진 않으신데…

    • 이직 관련 63.***.73.50

      전공이 어떤건지는 모르겠지만..

      한국 돌아가시는게 가장 빠를거 같습니다…

      • 초보 64.***.111.132

        한국도 알아보고 있어요. 한국은 잡 서치하는 방법을 잘 아니까 놓치는 정보가 없는데 미국은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 지 모르겠어서 질문 드렸어요

    • 시마따 174.***.140.142

      낚시에 조금 더 공을 들였네요. 비록 빈약하나 스토리가 있고.
      충박이가 좋아하는 스토리네요. 어버버 박사 바보.

      • 초보 64.***.111.132

        낚시 아닌데요. 한국에서 학석 하고 미국 박사 졸업이 다가와 미국 포닥 기업들 정보좀 찾아보려고 했는데….. 정보 찾기가 힘드네요….. 왜 거짓말이라고 하시는지….

    • 트럼프 199.***.64.16

      박사졸업하는데 미국생활 초보라니.. ㅎㅎ
      원래 사람은 인생이 다 초봅니다. 처음 살아보거든요 ㅎ
      그리고 전공이랑 딱 맞는 포지션은 거의 없다고 보면 됩니다. 비슷하다싶으면 지원하세요.. 해본바로는 10개 지원하면 하나 면접 보더군요.

      • 초보 64.***.111.132

        답변 감사합니다. 한국은 hibrain.net 이라고 석박 연구직 위주로 채용공고가 올라오는 사이트가 있는데 미국은 그런곳이 있는건 아닌지 궁금했어요. 제가 indeed, monster, researchgate 에서 보고 있는데 방향은 맞다는거죠? 여기들 사이트 보고 제 전공이랑 비슷하다 싶으면 지원 하면 되는거죠?

        • 트럼프 199.***.64.16

          Linkedin 이 젤 나을겁니다. 한국은 잘 모르겠구요.
          가장좋은건 학교 잡페어예요.
          포닥포지션은 직접 교수 컨택해야합니다. 그리고 내셔널랩은 외국인도 포닥으로 뽑아요.
          젤 문제는 신분인데,
          보통은 opt – h1b – 영주권 이런순서로해요.
          STEM 이시라면 opt 3년입니다.
          2019년 여름졸업이시라면.. 다가오는 컨퍼런스에가서 포닥자리를 알아보는것도 괜찮음.
          포닥하면서 assistant professor 자리 지원하고 면접보러다니면 됩니다. 뭐 포닥없이 당장 올 연말부터 조교수자리 알아봐도 됩니다.

          • 초보 64.***.111.132

            트럼프님 답장 갑사합니다.
            Linkedin 가입하고 알아볼게요.
            제가 처한 상황이 약간 복잡해요. 제 처는 휴직기간이 끝나기도 하고, 일을 하고싶어해서 한국 리턴하고싶어 하고요.
            저는 계약직 신분을 벗어나 (포닥 & 박사) 안정적으로 연구 할 곳을 찾고있고… 한국만 보기엔 조금 좁기도 하고… 한편으론 이방인 생활도 그만두고 한국 가고싶기도 하네요. 무슨 부귀영화를 누리려고 처자식 한국에 두고 혼자 미국에서 포닥을 하나 싶기도 하고….

            생각이 깊어지는 하루네요
            언급해 주신대로
            opt – h1b – 영주권
            순으로 진행 알아볼게요

    • 123 97.***.246.2

      외국인 신분으로 잡 구하기는 거의 불가능. Niw 영주권이 뭔지 알아보고 post-doc 구해서 그 기간 중에 마무리 하고 잡 알아보면 가능합니다. 전공 분야 오프닝은 indeed와 LinkedIn 으로 알아보세요.

    • ㅇㅇ 152.***.224.12

      지금 시점에 인턴십 자리라도 구하신거 아니면 내년 회사 취직은 쉽지 않을듯요. 미국시민권자도 영주권자도 아니고….
      회사들은 박사 딱히 선호 안하구요, 프레쉬 박사한테 링크드인에 레쥬메 올려놓는다고 연락 오는 경우 거의 없습니다 (CS처럼 잘 뽑는 분야면 모를까, CS도 근데 박터지는건 마찬가지. 근데 글쓴분은 전공이 뭔지도 안적어놓으셨네요).

      같이 프로젝트 했던 회사들 위주로 연락 돌려보시거나, 아니면 지도교수님 통해서 회사 관계자들 연결해달라고 말해보세요. 내부 referral 없이는 학벌이 아주 좋지 않은 이상 레쥬메 쳐다보지도 않을 확률이 높습니다. 저같은 경우에도 내부 reference 통해서 추천받아서 인턴십하고 8개월 뒤에 박사 졸업 즈음 해서 풀타임 오퍼 받았거든요 (제 동기들 중에도 졸업과 동시에 취직한 애들은 다 박사 하는 중간에 그 회사에서 인턴십 했던 애들이었구요. 그나마 졸업하고 최소한의 갭으로 빨리 잡 잡은 애들은 미국시민권자들. 유학생들이 인턴십 경험 없으면 거의 포닥 1~3년 하면서 인더스트리 잡 잡았습니다). 분야마다 다르긴 하지만 박사가 인더스트리 잡 잡으려고 해도 학부애들 처럼 인턴십 경험이나 커넥션 없으면 학교 주변에 있는 회사나 작은 회사에서부터 시작해야합니다. 아니면 지도교수님 인맥으로 내셔널랩 포닥이나 다른 학교 포닥 알아보셔야 합니다. 아 그리고 과사를 통해 들어오는 리크루팅도 적극적으로 시도하셔야 하구요.

      • 초보 64.***.111.132

        ㅇㅇ 님 답변 갑사합니다. 전공은 화공이고 클린룸에서 반도체 소자도 꽤 다뤘습니다.
        CV 는 올리나 마나군요. 제가 적극적으로 찾아봐야 하는군요.

        교수님을 통해서 지원 하는게 가장 좋군요. 교수님이 지나가는 말로는 (물론 믿고 아무것도 안하면 안되겠지요) 아마 실리콘 벨리쪽 회사 원하는곳에 갈 수 있고 추천 해줄수 있다고 하셨는데, 믿지 않고 있었는데 아마 이 방향으로 더 의지 해야 할 것 같네요.

        인터넷에서 제가 직접 찾아보는것 외에 리쿠르팅 정보가 있을때 적극 지원 해볼게요

        답변 감사합니다.

        • 트럼프 199.***.64.16

          반도체 fab 쪽이라면 자리 많아요. 실리콘밸리쪽에도 많음.. 걱정마세요 ㅎ
          지역상관없으면 와이오밍으로 가서 경력쌓으면됩니다. 마이크론..

    • 초보 64.***.111.132

      123님 답변 감사합니다.

      영주권 없이 잡 구하기는 힘들군요. 일의 진행방향도 잘못되었네요. 영주권 신청부터 하고 잡 구해야하네요

      회사로부터 비자 영주권 지원은 어렵군요

      또 계약직 포닥을 해야하다니 … 이제 나이도있고 자리 잡고싶은데…. 미국 4년간 살면서 이방인 느낌을 받았는데 역시나네요

    • 박사 17.***.74.203

      박사 4년 계셨는데, 초보라 하시면, 어느 분야인지 모르지만, 학교에 캠퍼스 리크루팅 행사 같은 것 안오던가요?

      • 초보 64.***.111.132

        박사가 긴 과정이고, 일단 박사를 무사히 따야 한다는 생각때문에 공부 연구에 집중 했어요. 그래서 관심있게 안보거나 참석하지 않았죠.

        이제는 졸업이 1년앞으로 다가오니, 어떤 인재를 원하는지 어떤방식으로 공고가 나는지 관심있게 보고 있습니다.

    • 초보 64.***.111.132

      답변주신 모든분들 감사합니다.

      여전히 모르는것이 많지만, 그래도 이제 어떤 방식으로 준비해야할지좀 알 것 같습니다.

      답변주신분들 모두 성공하실거에요

    • 1111 24.***.198.14

      낚시?

      보통 교수가 반년전에서 1년전 미리 알아보라고 함
      그리고 못 구했으면 아직 졸업안하는게 좋음

    • 64.***.145.95

      박사던 학사던 이제 나가면 사회초년이지 뭐. 물어볼수도 있지 보아하니 박사근쳐도 안가본 사람들이 난리들이구만.

      일단 화공은 포닥 기본적으로 많이 하고, 포닥이 없으면 아마도 한국이나 미국이나 교수직은 거의 힘들다고 보시면 됩니다. 혹시 한국학벌 서울대나 과기대면 정출현 지원해 보셔요. 한국은 특히나 연줄이 많아서 이것도 혼자온라인으로 지원하면 그냥 원서 버리는 겁니다. 석사하셨다고 하니 한국에 지도교수님에게 말해보셔요. 가장 빠른길입니다. 정출현도 아니면 기업에 직접 지원해보시고. 근데 이건 좀 아쉽죠.

      미국에 포닥은 자기가 딱 하고 싶은분야를 정해서 교수에게 직접컨택합니다. 싸이언스나 네이쳐 잡에 보면 아카데미에서 잡공고 잘 올라와 있는데, 주로 대가들은 공고 잘 안내요. 둘다 지원해 보셔요. 저위에 잡페어 이런건 학부생이나 가는 겁니다. 그리고 지금 비자문제 나왔는데, 졸업1년 남았으면 지금 niw 만지작 거리면 늦었습니다. Niw 변호사 사도 지원서 준비하는데 보통 6개월 이상식 걸립니다. 할거 무지많아요. 그리고 지원하면 6개월 이내에 안나옵니다. 요즘 프로쎄스 엄청 늦어요. 그러나 학교잡은 h1b 숫자제한이 없어요. 로터리로 뽑는것도 아니고 학교에선 신청만 하면 나옵니다. 그러므로 포닥으로 가는건 비자걱정은 안해도 됩니다. 또 하나는 niw는 다 되는것 같아도 그렇진 않아요. 현제 논문이 꽤 되고 인용지수 높지않으면 F1으로 영주권 진행하는건 위험부담이 따르는 겁니다. 학생비자로 영주권 진행했다가 떨어지면 다른비자 안나옵니다. 한국바로 가야되요. 반면에 h1b는 떨어지면 다시 시도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보통 안전하게 논문실적 더 쌓고 h1b로 영주권 많이 가죠.

      • 트럼프 50.***.85.15

        정출현 ->정출연.
        학교에서 하는 잡페어가 박사 타겟이 많이 없는건 사실이지만 각종 내셔널랩에서도 옵니다. 사우스웨스트 리서치 (내셔널랩 아님) 에서도 오고 뭐 여기저기서 옵니다. 그냥 잡포스팅만 보고 지원하는거보다 잡페어가서 이름이라도 한번 등록하고 사람만나보고 하면 내가 낸 지원서가 tracking 이 됩니다. 내셔널랩에 그냥 application 내면 아무 소식없거든요.
        한국 정출연은 이미 내정자가 있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윗분말씀대로 한국교수님께 컨택하는게 빠를듯요. 하지만 거기는 자기들이랑 일 같이하던 박사학생을 채용하는경우가 많아서.. 음..
        NIW는 140 만 제출하고 485를 안내면 떨어져도 신분유지 됩니다.

        • ㅇㅇ 152.***.224.12

          정출연 내정자 있다는 말은 어폐에 가깝습니다. 요새 감사도 빡세고 능력자 분들도 많아서 옛날처럼 내정자가 판치기 힘듭니다.

          • 초보 64.***.111.132

            흠, 트럼프, ㅇㅇ님 답변 감사합니다.

            물론 정출연도 보고 있어요. 지금으로선 가장 좋은 선택 같아 보이지만 제 분야 공고가 나올지, 타이밍이 잘 맞을지가 모르겠네요. 선배들이 많이 있는데 제가 석사때와 분야를 조금 바꿔서 직접적으로 힘을 써 줄 수 있을지는 의문입니다.

            코맨트 해주주신것들 두번 세번 다시읽어보겠습니다.

    • 지나가다 205.***.22.173

      반도체 쪽 인더스트리는 제가 모르지만 티칭에 관심이 있으시다면 아래 사이트에서 찾아보시면 됩니다. 가을-겨울에 주로 올라와요.
      대기업은 아직 H1B->영주권 스폰서를 많이 해줍니다. 일단 회사에 지원해보시고 안 되면 포닥을 하시면서 H1B->NIW를 하시는 방안이 있습니다. 워크샵이나 인터내셔널 오피스 이벤트 등을 통해, 혹은 이 사이트를 통해 대략적인 이민 과정을 알아보시면 도움이 될 겁니다.
      꿋꿋한 모습이 멋지십니다. 이런 분은 성공하실 겁니다. 파이팅입니다!
      https://www.higheredjobs.com/faculty/
      https://chroniclevitae.com/jobs/position_types/1
      https://careers.insidehighered.com/

    • 64.***.145.95

      아….그리고 미국에 인더스트리는 영주권없으면 훨씬 힘들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래도 미쩌야 본전. 딱 맞는다 싶으면 지원해 보셔요. 기대는 하지 마시고.

      • 초보 64.***.111.132

        흠님 감사합니다.

        네, 도전 해 봐야지요. 잃을건 없으니까요. 떨어지더라도 멘탈 잘 잡고 한번 도전해보겠습니다.

    • 지나가다 205.***.22.173

      윗분 말씀이 맞습니다. 제 생각에도 일단은 여기저기 지원하시면서 배워나가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되면 좋고 아니더라도 손해볼 게 없지요. 이 사이트에 물어보신 게 행동의 첫걸음이신 거니까 잘하신 겁니다. 미국에서는 적극적으로 일단 부딪혀보는 사람이 잘 됩니다.

      • 초보 64.***.111.132

        감사합니다.

        님도 건승 하시길 바랍니다.

    • ㅇㅇ 108.***.51.179

      이사이트에서 구직관련 질문을 하는걸보니 미안하지만 직장 구하기 힘들겟네 ㅋㅋㅋㅋ신분 안되면 링크드인으로 존나쑤시고 교수들이랑 컨택 존나하면서 지역에서 인맥 존나넓혀도 될까말까인데 개인 사업하는게 더빠르겟다

      • 초보 64.***.111.132

        ㅇㅇ 님

        따끔한 충고 감사합니다.

        하지만 여기계신 여러분들께서 귀중한 정보를 많이 공유해주셔서 많이 배우고 갑니다.

        제가 많이 부족한가 봅니다. 미국 생활이 쉽지 않은데 다들 대단하십니다.

    • 1 174.***.14.72

      원글은 그냥 조용히 한국 가능게 최상일 듯.
      잡 구한다고 더 뻐팅기면 시간 낭비 돈 낭비가 분명하다.

      • 초보 64.***.111.132

        박사를 취득하면 한 분야에 전문가가 될 수 있지만 또한 제 분야를 한정하기 때문에 갈 수 있는 길이 많이 줄어듭니다.

        제가 미박을 한 이유는 그나마 선택 가능한 길이 넓기 때문이에요. 한국 미국 그리고 세계 잡 시장에 뛰어 들 수 있거든요.

        말씀해 주셧듯 한국도 물론 고려하고 있습니다.

        미국에서 박사 하시는분들은 다들 학비, 의료보험, stipend 를 받고 하기 때문에 돈과 시간 걱정은 안하셔도 괜찮습니다.

        다만 제가 아직 모르는게 많아 부족한게 많고, 미국 오래 생활하신분들이 보기에 얼토당토않은 질문으로 보일수도 있겠다 생각하고 있습니다.

        따끔한 충고 감사합니다.

    • 초보 64.***.111.132

      linkedin 조사 해봤는데 정말 중요한 사이트더군요

      덕분에 가입하고, 프로필 잘 정리하고, 좋은 정보도 많이 얻을 수 있을거 같네요 감사합니다.

    • Calvin 71.***.118.107

      혹시 관련학과 교수직으로 가시려면 https://www.higheredjobs.com/이나 https://chroniclevitae.com/ 가시면 됩니다.

    • 허허 12.***.5.145

      댓글 강하게 다시는 분들이 많네요. 하지만 틀린말은 아닙니다. 미국 취업에서 신분은 1순위입니다.
      최근에 H1B도 잘 안해주는 분위기이고… 논문 좋은거 많이 쓰셨으면 NIW 진행해보세요
      linkedin 은 돈내고 프리미엄으로 가입하시고, 친구들은 500+ 이상으로 만드시면
      여기저기 연락은 많이 옵니다.

    • 미국 살이 20년 63.***.130.112

      졸업을 1년 앞두고 취업 준비를 하신다니 좀 늦은감이 있네요. 연구 실적이 좋다면 교수랑 페이퍼 많이 내서 NIW 자격을 만드세요. 그리고 영주권 프로세스 진행하면서 취업 준비도 하시길. 졸업은 영주권이 나오거나 취업한 후 하셔도 안늦습니다. 체류 신분이 점점 중요해질겁니다. 각오하시고 졸업 준비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