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점 :
1.미국인이 되고 투표가능. (미국인이 되는것에 대해서 관심이 없거나 미국정치에 큰 관심없는 분들에게는 장점이 아닐수있음.)2.미국여권 사용가능(캐나다 여행갈때 편함..그것외에는 딱히…장점을 꼽자면 미국여권이 한국여권보다 디자인이 더 이쁜것같음. 독수리가 멋짐)
미국에 들어올때 자국인줄로 들어올수있음…(근데 영주권자도 자국인줄로 들어올수있다고함. 근데 또 어떤공항은 영주권자도 외국인줄로 보낸다고 하기도하고..)3.미국대사관이 해외에 있을때 한국대사관보다 더 잘 보호해줌
4.해외에 나갔다 들어와도 미국 신분때문에 쩔쩔맬 필요없음. 미국인이 미국으로 돌아오는거니까…
5.미국 에서 영주권갱신할 필요없음.
6.공무원취업가능(물론 영주권자들도 일부 공무원은 취업가능한데 제한이 있음. 시민권자이면 그 제한이 없어짐)
미군장교 취업가능(사병은 영주권자여도 가능) 일부 시민권자만 가능한 백그라운드체크가 필요한 기밀프로젝트수행시 시민권이 필요(항공이나 무기쪽은 시민권이 필요하다고 함)7.가족 미국으로 초청가능(형제초청이라면 기한이 굉장히 오래오래 걸림. 영주권자도 초청 가능하기는 한데… 시민권자보다 기한이 더 걸린다고 함.. 부모초청은 5년동안 미국정부혜택 입으면 안된다고 하던데… 의료보험은 알아서 해결해야할듯)
8. 자식에게 미국시민권 줄수있음.(배우자가 한국인인데 한국이나 타국에서 낳을경우에만 해당. 미국에서 낳거나 배우자가 미국국적자라면 해당X)
단점
1.한국의료보험이 까다로워짐(한국에서 3개월 이상 거주시 의료보험 가입가능… 근데 외국인먹튀문제로 올해 6월달에 또 개정된다고 뉴스나옴. 아마 최소 6개월~1년이상 머물러야 한국의료보험 가입가능하게 바뀔것으로 추정되고있음)2.더이상 한국인이 아님(재외동포비자를 받으면 체류하는데에는 큰 문제가 없지만 외국인이기때문에 여러모로 불편함이 있음.
대출문제나 한국복지혜택에서 차별을 받음. 미국에 비해 한국이 외국인에 대한 시스템이 그렇게 잘 갖춰진 나라가 아니기때문에 일상생활에서도 소소하게 불편함이 있음)단순노무(편의점 알바같은..) 공무원, 공기업, 군인 취업할수없음.
3. 한국여권 사용불가능(한국여권이 미국여권보다 무비자가 되는 국가들이 많고 만약 비자를 받더라도 미국국적자에게 훨씬 비자피를 많이 받는 경우도 꽤 있음. 미국이 다른 나라국적자들에게 까다롭게 굴기때문에 그거에 빡친 다른나라들이 미국국적자에게 까다롭게 대한다고 함.. 다양한 나라로 여행많이 하는 사람들에게는 단점이 될수있음)
한국에 들어올떄 외국인줄로 들어와야함(동포비자받으면 내국인줄로 들어올수있다고 함… 근데 정작 동포비자있어도 외국인줄로 보내는 경우가 많다고 함. 지켜지지않는법??ㅎㅎ)
4.자식에게 한국국적을 줄수없음.(미국은 속인주의, 속지주의 둘다 채택하는 국가라 설령 미국과 아무상관없는 외국인이 미국서 우연히 아이를 낳아도 무조건 미국국적을 얻지만 한국은 무조건 부모중 한사람이 한국인이어야 한국국적을 줌. 물론 배우자가 한국인이거나 한국에서 살일없으면 신경쓸 필요없는 문제임. 아들이면 병역문제때문에 국적탈퇴해야하니까 복잡해질수도 있고)
5.한국투표 불가능(한국정치에 관심많은 분들에게는 단점임. 한국정치에 영향력을 행사할수있는 권한이 없어진다는거니까)
6.한국비자받고 갱신하면서 살아야함 (그래도 미국보다는 절차가 훨 편할듯)
7.한국에 살아도 미국에 세금신고해야하고(이거는 무조건 해야됨. 그냥 미국에서 태어나기만 하고 한국에서 쭉 살았던 이중국적자들도 해야된다고 하니..) 운이 안좋으면 따로 세금도 더 내야한다고함.(세금 더내는 경우는 재산이 많을경우 해당될듯)
8.만약에 배우자가 한국과 관련없는 외국인이라면(교포X) 동포비자를 받지못하고 f1비자라고 동거비자를 받을수있음.
1년마다 갱신해야하며 취업이 불가능만약 한국국적을 유지하고있었다면 배우자는 f6비자라고 한국인과 거의 동등한 권리를 누릴수있는 비자를 받을수있으며
그 배우자의 국가가 복수국적을 허용하는 나라라면 한국에 귀화해도 본인나라의 국적을 포기할필요없이 복수국적을 가질수있음(다만 배우자가 외국인인 한국인이 외국국적을 취득하는 경우에는 해당안되니까 주의!!
한국인의 외국인배우자가 한국국적을 취득하는경우만 복수국적을 허용해줍니다…. 헷갈리시는 분들 많으시더군요)cf) 미국국적 포기세가 꽤 비쌈. 2000달러가 넘으니 참고. 한국에서만 쭉 자라고 미국에는 딱 한번 가본 이중국적자친구가 미국시민권 포기하는데에도 그정도 줘야했으니 재산많은 사람이면 더 받을수도있을듯….
대충 보면 한국 완전 정착이거나 재산이 많아서 한국에서 살아도 미국에 세금내야된다는 말 나올 가능성이 있거나 배우자가 외국인인데 한국에서 살거라고 하면 걍 한국국적으로 사는게 편하고
한국 돌아갈일 없고 미국에서만 살거나 한국 미국 왔다갔다할 사람들은 시민권 따는게 나을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