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퍼렌셜 lock 이 왜 오프로드 주행시 도움이 되는건가요?

  • #3727895
    차알못 107.***.35.62 4181

    최근에 차를 샀는데 구글로 설명을 들어도 차알못이라 잘 이해가 안가네요
    디퍼렌셜 락킹 기능이 있는데 (rear 에 있습니다)
    이게 오프로드시 최대견인 혹은 최대의 힘을 낸다고 하는데
    잠금다는 의미가 모든 바퀴가 동일하게 움직이게 한다는 의미인것 같은데 이게 오히려 나쁘지 않나요 험로 탈출시에는?

    예를 들어 바퀴가 한쪽은 바닥과 닿아있는데
    한쪽은 떠 있는경우
    굳이 락킹 기능을 사용해서 바닥과 닿지도 않는 바퀴에 똑같은 회전을 굳이 걸어줄 필요가 있나해서요

    또 한가지 더
    4h (즉 상시 사륜구동으로 ) 로 달리면
    55 mph 이하로 달리라고 권장하던데
    4a ( 즉 달리다가 미끄러짐이 감지되는순간 사륜구동으로 변함)
    로 달리는건 아무리 빨리 달려도 상관 없다고 하는데요
    4a 로 80마일로 달리다가
    갑자기 미끄러짐이 느껴져서 4h 로 들어가면
    80마일에서 4h 로 들어가는건데
    그때는 순간적인 부분이라 괜찮다는 의미일까요?

    의견좀 나눠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24.***.145.21

      설명하기 방대한 내용이라 다 말로 설명하기는 힘들고 아래 동영상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 카리타스 67.***.37.74

      제가 전문가는 아니지만 말씀하신 디프 락은 전문 오프로드 차량에 들어가있죠..대표적으로 랭글러가 유명하구요. 험로 주행시 차량 바퀴가 접지력을 잃지 않고 일정 속도를 유지하는게 중요합니다. 그렇기 위해서 4×4 차량들에 기본 트랜스미션 말고 트랜스포 케이스가 하나 더 달려 있습니다. 4L 모드에서는 속도는 2-3 mph로 제한되지만 높은 토크로 주행할수 있도록 해줍니다. 앞,뒤 디프렌셜 락은 일반 차량에 달려있는 LSD와 달리 락이 되어 있는 구동축에 50:50의 파워를 전달함으로써 어떠한 상황이 되어도 항상 락이 되어 있는 구동축의 두 바퀴가 동일한 힘을 전달 받게 해줍니다. 이게 오프로드에서 더 유리한게 보통 LSD들은 보통 접지력이 떨어진쪽에 힘을 더 보내서 접지력을 높이려 하는데 말씀하신 한쪽 바퀴가 공중에 떠있는 경우 LSD는 공중에 떠 있는 바퀴에 힘을 보내려 하는데 개부분 바퀴가 헛돌거나 마찰력이 아예 없으면 아예 힘을 전달하지 않게됩니다. 땅에 붙어 있는 바퀴에도 힘이 안가구요…이런경우 LSD대신 디프 락을 걸어 버리면 항시 동일한 힘으로 바퀴들이 돌기 때문에 빠져 나갈수 있구요…랭글러는 이에 한수 더떠서 스웨이바 디스커넥까지 할수 있죠..이경우 죄우 경사가 심한경우에도 양쪽 바퀴가 항상 땅에 닿아 주해하게 해줍니다.

    • bullet 198.***.35.14

      디프렌셜은 양 바퀴가 다른 속도로 움직이게 해주는 장치인데(커브주행시를 위해) 한 바퀴가 접지력을 잃으면 모든 엔진의 힘은 돌기 쉬운 쪽으로만 빠져나갑니다. 정작 접지력이 있는 바퀴에는 힘이 전혀 안들어가는거죠. 디프렌셜 락을 걸어주면 양쪽 바퀴가 50:50 똑같은 회전을 하기 때문에 한쪽 바퀴가 공중에 떠도 바퀴가 헛돌아 힘이 새는 일이 없습니다. 대신 커브를 못 틉니다.

      4A라는 모드가 있는거보니 포드 트럭이나 브롱코를 사셨나보네요.
      4H는 센터 디프렌셜이 기계적으로 락이 된 모드라서 고속주행하면 안되는거 같구요.(앞 뒤 차축이 동일한 속도로 돌기 때문에)
      4A모드는.. 추측컨데 센터디프렌셜(아마 기어가 아닌 클러치 식 커플링일 가능성이 큼)이 센서에 의해 자동으로 붙었다 떨어졌다 하는 방식일 것 같습니다.

      4H: 센터 디프렌셜 락, 앞/뒤 차축으로 힘이 50:50 배분
      4A : 평소엔 2WD로 달리다가 센서가 미끄러질 수 있는 상황을 감지하는 순간 센터 커플링을 붙여줌.
      4L: 로우 레인지에 센터 디프렌셜 락
      RW 디프 락: 뒤 차축 좌/우의 회전을 잠궈서 좌우 50:50 힘이 전달됨. 보통 좌우 디프락은 로우레인지에서만 걸리므로 실제 힘은 앞 차축에 50, 뒷바퀴에 각 25씩 배분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