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저자 순서

  • #3349621
    논문 141.***.190.54 2659

    안녕하세요.
    저는 현재 미국에서 포닥 중인데요,

    박사 말년차 중국학생이랑 최근에 협업을 해서 논문 작성 중인데, 논문 저자 순서라는 약간의 민감한 문제를 아직 협의 하지 않고
    저자는 비워둔채 논문만 서로 작성하고 있습니다.

    기여도가 확연히 차이나면 문제 없겠지만, 우열을 가리긴 힘든 상황이고요. 그래서 공동 1저자를 현재로는 생각하고 있습니다.
    포닥이나 박사든 논문은 많으면 많을 수록 좋은거고… (박사 학생의 졸업 주제와는 관계 없는 side work입니다.)

    저는 한국 학교도 생각하고있는데, 한국학교는 1저자 만큼이나 교신저자를 동일 혹은 그 이상으로 점수를 주더라고요.
    제가 A, 학생이 B라고 할때,

    1. B*, A*, Professor (공동 1저자, 공동 교신저자)
    2. B, A*, Professor (1저자:학생, 교신저자:저)

    지금 그룹은 보통 단독 1저자일 경우 1저자가 교신저자 까지 했으므로, 교수님이 크게 관여 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제 입장에서는 2번의 선택을 한 경우 저도 좋고, 학생도 단독 1저자라서 더 나은거 같은데…

    이렇게 제안 해보려고 하는데 학생 입장에서 안 좋은 점이 있을까요? 1번에 비해서.
    참고로 학생은 미국에서 교수하려고 합니다.

    • BB 50.***.77.185

      만약 학생이 A, B*, Professor 를 하자고 하시면 받으실건가요? 만약 받으실 의향이 있다면 공평한것 같습니다. 조금 꺼려지면, 위의 제안은 얼핏 공평한것 같지만 님에게 유리한 제안인거구요. 보통 이런경우 A*, B*, Professor, * equal contribution (순서는 알파벳순) 하고 교수를 교신저자로 하는게 일반인것 같습니다. 솔직히 저 같으면 제1 저자보다 교신저자를 하겠습니다.

    • dd 8.***.167.250

      제시하신 선택지를 보니 그 학생이 단독 이건 공 1저자이건 이름을 맨 앞에 두고 싶어하는 것 같네요. 미국 학교 (미국학교는 따지지 않으나)를 염두한다고 했으나, 공 1저자인 경우에도 중국 학교들은 매우 따지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 학생 속을 어떻게 알겠습니까? 플랜B로 중국 학교도 염두한다고 했을 때, 영향 있을 것입니다.

    • ㄱㄱ 75.***.250.213

      2번으로 하세요. 윈윈 상황입니다.

    • 애매 104.***.205.22

      뭔가 질문을 하신거랑 2개의 옵션을 준거랑 매치가 안되는것 같네요.

      질문은 누가 1저자를 해야되는지 모를정도로 둘다 기여를 많이 했다였는데 2개의 옵션은 일단 학생이 1저자하고 본인은 교신저자을 가지는것은 안바뀌고 결국 학생이 또 교신저자를 가실수있나를 물어보는거 같네요.

      1저자를 정하는게 가끔 애매해 보일수 있지만, 실제적으로 두팔 걷어 실험은 누가 많이 하는지, 시간 써가며 데이타 분석을 하는지, 그리고 제일 중요하거는 누가 논문을 직접 쓰는지를 보면 차이가 분명 있을겁니다. 보통 실험과 데이터 분석은 같이 해도, 논문은 혼자 쓰거든요.

      학생인 경우는 교신저자를 가져 가지 않습니다. 교신저자는 institution이 학교인 경우 PI가 가져가는데, 이번 경우는 포닥인 본인이 많이 개입한 경우이니 본인만 교신저자를 가져가면 되겠네요. 2번 선택. 근데 교수님이랑은 얘기가 마친건가요? 본인이 기여를 많이 했지만 일단 PI는 아니니깐요. 욕심많은 교수일 경우는 자기랩에서 나오는 논문은 자기가 다 교신저자 해야될수도있습니다.

    • 지나가다 129.***.150.136

      저라면 학생, 교수, 원글 순서로 하고 원글이 교신저자로 제출할 겁니다.

    • 1 172.***.111.43

      할수만 있다면 학생-교수-님, 그리고 님이 교신저자가 되는게 제일 좋은 것임.
      포닥이면 1저자가 중요한게 아니라 랩에 있는 다른 박사학생들을 얼마나 잘 이끌어갔냐도 중요. 님이 교신저자가 되면 님을 PI감으로 봄. 예시대로 할 경우 같이 일을 했어도 님이 프로젝트를 이끈 것처럼 보임.

    • EE 199.***.103.54

      한국 학교에서도 1 저자보다는 교신저자를 더 좋게 봐요
      교신 저자인 경우 (1저자와 점수는 서류상 같지만) 포닥인 경우는 윗분 말씀대로 프로젝트 전체 리드를 한것으로 봐요. 임프레션이 다르죠.

    • 글쓴이 35.***.85.218

      답글 감사합니다.
      네, 1번의 예시는 A*, B*, Professor 도 포함하는 것이 였습니다. 저도 한국에서 학위할때는 항상 지도교수님이 교신저자였는데, 여기 제가 속한 분야는 1저자가 교신저자까지 가져가는 구조네요. (교신저자가 그냥 연락을 취할 수있는 저자 정도로만 취급 되는듯 합니다.)
      공동 1저자로 했을때 누가 이름이 앞에 오냐는 지금으로선 상관이 없습니다. 다만 제 생각에는 학생 입장에서도 공동 1저자보다는 단독 1저자가 좋고, 포닥인 제 입장에서도 공동 1저자보다는 교신저자가 좋아 보이는 윈-윈 전략이 아닐까 해서요.

      다만 중국학교에서는 교신저자의 중요도가 높은지는 모르겠습니다. 좋은 의견들 감사합니다. 2번으로 제안해보고, 의견 충돌이 생기면 그냥 양보하고 다음에 더 좋은 논문 쓸 수있도록 해야 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