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자격증을 한 개만 더 따려는 이유….

  • #3678842
    brad 24.***.244.132 1205

    지금 못 따면, 평생 못 딸것 같아서….

    다른 사람은 모르지만, 나는 공부와 큰 인연이 없는 사람인데….

    Certified Medical Coder와 Pharmacy Technician은 땃고,
    AWS cloud practitioner 한개만 더 따려는데….

    혹시 나중에 써먹을 수도 있는 거고….

    그게 아니라도, 미국에서 자격증 세개면 괜찮잖아?

    한국에서는 한개도 딴 적 없는데…

    그리고 결정적으로 이사람….

    http://www.studyholic.com/world/?tn=PAR_005&action=read&cate=1&idx=57525

    • brad 24.***.244.132

      http://www.studyholic.com/world/?tn=PAR_005&action=read&cate=1&idx=57525

      2. 가능하면 굵은 자격시험, 행시니 노무사니 회계사니에 도전해서 1차라도 합격해라.

      – 고시와 같은 굵은 자격증에 합격하면 큰 도움이 되는 것은 사실이지만 만약에 떨어지더라도 1차만이라도 합격하라는 것은 크게 두가지 이유에서입니다.

      4. 만약 취업이 별로다 싶으면 그냥 취미로 하고싶은 것 자격증 따라.

      – 저도 몰랐습니다. 저는 대학시절에 무슨 바람이 들었는지 미용사 자격증을 땄습니다. 집에다는 비밀로 하고 그냥 혹시나 해서 땃습니다. 그 당시에 남자대학생이 미용사 자격증… 정말 희귀했습니다.

    • 공대땡 98.***.100.73

      그러겠죠 경영학을 하던 사람이 공학이 더 좋아 보일수 밖에.. 그렇다고 다 좋은것도 아니구, 라구 생각되네여. 공학도 어떻게 보면 노동에 가까워요.
      자격증은 미국에서도 필요로 하나요? 제가 교수에게 물어봤더니 그런거 안하는것 같다구 하시던데.. 미국은 자격증 그런거 안 따고 레쥬메 올리거나 그러나요?

    • brad 24.***.244.132

      “최근에 어떤 사립학교에서 상업교사 정교사를 뽑는데 기업경력 플러스에 상업교원자격증 있으면 즉시 채용해준다고 했는데 제가 그런 자격증을 안따서 갈 기회를 놓쳤네요.

      기업실무를 알고 상업교원자격증 소지자 솔직히 정말 안타까웠습니다.

      기회는 정말 준비된 사람에게 옵니다. ”

      I cannot buy licenses.

      Or I cannot get it suddenly.

      I will get those just in case.

    • 칼있으마 174.***.78.122

      자격증을 따고 안 따고가 문제가 아니라

      자격증을

      따야겠다는 생각

      을 하신 것만으로도

      전 브레드님이 부럽고
      존경스럽기까지 합니다.

      꼭 따시길 바라겠습니다~~~

    • brad 24.***.244.132

      Dear 칼있으마,

      I appreciate your article all the time.

    • 삼만불 75.***.46.173

      야 임마 한국가면 일반인들 대다수가 왠만한 자격증 다 2-3개는 가지고 있어. 근데 현실은 죄다 취준생들이지. 그래서 니가 만년 알바생을 못벗어나는 거여.

      • 공대땡 98.***.100.73

        그럼 자격증 없이 그냥 레쥬메 내는건가여? 궁금한데 저도..

        • brad 24.***.244.132

          저 놈은 그냥 찌질이입니다.

          주둥아리로 100개는 못딸까…

          • 공대땡 98.***.100.73

            앟. 그런가요. 자격증 따는거에 대해서 교수한테 물어보니 그런거 따는 사람 없는 마냥 대답하셔서 저도 잘 모르겠네여. 저도 한국에선 자격증들 따서 저도 미국에서 따야 되나 싶어 그러는데, 미국에선 오히려 레쥬메에 작성해놓으면 다른 분들한테서 없는것 까지 작성하니 불이익이 될수도 있을까 싶네여.

            • brad 24.***.244.132

              질문에 답을 하면,
              레주메 가장 돋보이게 쓰는게 자격증임.

              취업에 직접 연관 있습니다.

    • Gag 174.***.96.19

      정신병자 투톱 브래드 칼있으마 모인건가요?
      ㅎ핫팅 ㅋㅋ

    • 대장동 음성 파일 뉴스타파가 조작했답니다. 98.***.173.102

      ㅋㅋㅋ 브래드랑 칼있으마랑 대깨문 계묻기로 한거야? ㅋㅋㅋ 잘해봐 오늘까지만이쟎아 그짓도. 내일 윤석렬대통령되면 이재명 감옥갈텐데,

      글고 브래드야 두뇌를 놀리지 않는건 나쁘다고 할수없고 사실 잘하는 짓이야. 근데 그걸가지고 꼭 돈을 벌겠다든가 직장을 위해 딴다든가 하는 목표는 갖지 말아. 계산적으로 하지는 말란 말이야. 물론 계산적으로 해도 어차피 두뇌를 놀리지 않는것이니까 계산적으로 해도 결과가 어차치 나쁜건 아니지만, 사람맘이란게 승진하기 위해 자격증 땃는데 나중에 승진에 전혀 도움안되면 니가 괜히 그거 딴거같고 시간낭비한거 같고 돈낭비 한거처럼 느껴지게 되거든. 내말은 그런 생각할 필요가 없단 말이야. 어차피 너는 니 두뇌를 계속 굴려서 안한것보다 너 자신을 위해 좋은일을 한거거든. 그러니 꼭 계산적으로 생각하지 말고 니가 좋아서 한다고 니 두뇌와 정신건강에 도움이 되어서 한다고 생각하면 더 좋다는 거지. 그리고 어차피 할바엔 니가 좋아하는걸 찾아서 하면 더 좋고.

      • brad 24.***.244.132

        동감합니다.

        그런데, 아시잖아요?

        한국인들은 유유자적이 힘들다는 것.

        • brad 24.***.244.132

          그냥 불안감을 잠재우는 수단이 아닌가 싶음.

          이자, 배당금으로 돈은 좀 나오는데,
          일은 죽도록 하기 싫고….

          그냥 놀기는 불안하고….

          • brad 24.***.244.132

            그래도, 저는 자격증 중독까지는 안갈 거에요.

            책 읽는 것은 좋아하는데,
            시험 공부해서 시험치는것 싫어함.

            잘 한적도 없구요.

    • 대장동 음성 파일 뉴스타파가 조작했답니다. 98.***.173.102

      내말인 즉슨 공부를 너무 실속챙기려 또는 성공하는 수단으로 삼지 말라는 말이야
      예전에 한량들은 공부가 그냥 직업이였고 공부가 꼭 과거등용의 수단이 되지 않고도 그냥 풍류로 즐길 정도로 자신을 수양하거나 도를 닦는 과정으로 한 사람들도 있었을텐데 그런 태도가 바람직한듯하다. 오늘날처럼 시간의 생산성 따지고 자본주의에서 돈버는 연관도 에 따라서 프라이어러티 따지고 효율성 따지는건 너무 정신건강에 안좋아. 공부가 그냥 재밌다 이래야 스터디홀릭이라 할수 잇지. 그럼 돈은 어디서 벌어서 먹고 사냐고? 그거야 말로 진짜 효율성을 따져야지. 시간안들이고 노력안들이고 돈버는 방법을 찾아야 하고 먹고 살만큼만 벌고

    • brad 24.***.244.132

      “요리니 미용이니 허황되더라도 취미로 한두개 따 놓으면 미래에 어떤 일이 닥칠지 모르니 재미로 따놓는것도 좋다고 봅니다. ”

      저 링크에 있는 글인데,
      명심하세요.

      대기업에서 퇴직한 사람 말은 새길 필요 있음.

    • brad 24.***.244.132

      세상 일이라는게,
      한 번 기회를 놓치면 평생 못하는 일들이 있습니다.

      안철수도 대통령 될 기회 한번 놓쳐,
      평생 못하게 생겼는데….

      결혼이나 여행도 좀 그런 것 같아요.

      독신으로 죽는 사람 중, 모태 솔로 별로 없습니다.

      결혼할 기회 한 두번 놓치니, 평생 못하는 거지요.

      10대 때, 아이돌 할 기회 놓치면,
      평생 가수 못하구요 …

      공부도 좀 비슷한 것 같아요.

      인정하기 싫지만, 40대에 하는게
      20대 하는 것과 좀 다르더군요.

      앞으로 뭐 외우고, 시험치는 것은 점점 더 힘들어 질 것 같음.

    • 기모링 199.***.225.108

      자격증 딸시간에 본인이 일하고 있는 분야에 집중해서
      그 분야의 탑티어 되는게 더 의미있음

      본인 분야와 상관없는 저런 자격증을 딴다는건
      이것도아니고 저것도아닌 사용하기 애매한 사람이 될뿐

    • 98.***.173.102

      한국은 모르겠는데
      미국 저격증은 유지비도 장난 아냐. 쓸데없이 따두고 유지비 계속 내고..